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메타요약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of Sexual Minority (LGB) in Korea : A Qualitative Meta-Summar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2, pp.241-272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241
표소휘 (고려대학교)
이슬아 (고려대학교)
장애경 (고려대학교)
이준우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이은비 (고려대학교)
양은주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메타요약 방법론을 활용하여 국내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질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이질적인 질적 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국내 질적 연구들을 통해 보고된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이러한 요인들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는 것은 그들의 내적 경험을 이해하고, 심리적 적응을 돕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질적 메타요약을 통해 국내 질적 연구들이 제시한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성소수자들의 성정체성 수용과 통합, 더 나아가 긍정적 정체성 형성에 관여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요약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술DB 검색을 통하여 국내에서 2021년까지 발표된 총 9편의 관련 연구물을 확보하였다. 9편의 연구물의 질은 Critical Appraisal Screening Programme을 통해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 총 179개의 진술문이 추출되었고 관련 진술문들을 축약시킨 결과 34개의 축약진술문이 산출되었다. 34개의 축약 진술문은 성정체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과 촉진하는 요인,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크게 성정체성 발달을 촉진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성정체성 발달을 저해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네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영역별 주요 요인을 설명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성소수자, LGB, 성소수자 정체성, 정체성 형성, 질적 메타요약, Sexual minority, LGB, Sexual identity, Sexual identity formation, Qualitative meta-summary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meta-summary study was to integrate the findings of the heterogeneou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lesbian, gay, and bisexual groups in Korea. The integrative investigation of the universal or unique factors affecting the identity formation of sexual minority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internal experiences and to support psychological adaptation. Using a qualitative meta-summary,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at promote and impede sexual identity acceptance and integration of LGB individuals. First, a total of 9 studies were identified through research database published in Korea up to 2021. The included studies were critically evaluated by using the Critical Appraisal Screening Programme tool. A total of 179 stat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findings of each study and 34 abstracted statements were generated. The 34 abstracted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psychological factors that promote or impede sexual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 factors that promote and impede it. These four main categories and corresponding factors in each category were explain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성소수자, LGB, 성소수자 정체성, 정체성 형성, 질적 메타요약, Sexual minority, LGB, Sexual identity, Sexual identity formation, Qualitative meta-summar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