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0, v.26 no.2, pp.99-119
https://doi.org/10.20406/kjcs.2020.5.26.2.99
송연주 (동의대학교)
하문선 (공주교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개입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아동기 외상과 내면화된 수치심 및 거절민감성을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주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46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거절민감성 척도, 관계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영향을 미치고 내면화된 수치심은 거절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은 관계중독에, 거절민감성은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아동기 외상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효과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중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동등성 검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기에 경험하는 외상이 관계중독에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아동기 외상은 수치심을 내면화시키고 이는 거절민감성을 야기함으로써 관계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keywords
관계중독, 아동기 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거절민감성, 중독, Relationship Addiction, Childhood trauma, Internalized shame, Rejection sensitivity, Addi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about impact of childhood trauma on Relationship Addiction of Korean adult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nalized shame. A purposive sample of 465 Korean adults was recruited from three provincial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Multiple mediating effects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 and bootstrapping were implemen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e foun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relationship addiction, but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on Relationship Addiction were successively multi-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B=.265, p<.01), and single-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B=.496, p<.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in order to prevent relationship addiction of adults, it is necessary to first explore whether he has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and thereby has not only internalized shame but also rejection sensitivity.

keywords
관계중독, 아동기 외상, 내면화된 수치심, 거절민감성, 중독, Relationship Addiction, Childhood trauma, Internalized shame, Rejection sensitivity, Addiction

참고문헌

1.

김가령, 박준호, 이인규 (2018). 아동기 대인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4), 1051-1073.

2.

김미림, 정여주, 이도연, 윤서연, 김옥미 (2019). 관계중독 개념 도출 델파이 연구. 열린교육연구, 27(3), 199-218.

3.

김은경 (2016). 불안정 성인애착,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정, 김진숙 (2010).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2(3), 605-630.

5.

김지연, 심혜원 (2016).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2), 73-100.

6.

김택호, 정형화 (2018).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이버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교정담론, 12(3), 103-126.

7.

김후남, 정현희 (2018). 청소년의 초기 외상 경험과 우울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위축, 대인관계 문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8(3), 247-265.

8.

김희송, 이봉우, 최영식, 정규희 (2019). 법의부 검자료를 기반으로 한 아동학대 사망의 현황과 유형. 형사정책연구, 30(1), 229-263.

9.

박연주 (2008). 성인의 애착과 낮은 자존감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변은실, 이주영 (2016).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성별에 따른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125-1149.

11.

선미진 (2019).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승희 (2017).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9(3), 743-763.

13.

송연주 (2019a).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성인기 관계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939-959.

14.

송연주 (2019b). 관계중독에 대한 개념 및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가족과 가족치료. 27(4), 699-721.

15.

신은정 (2018).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자기체계손상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이중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심현진 (2013). 이동기 외상경험과 대학생의 사회불안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안명란, 홍혜영 (2016). 부정적 초기 대상관계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8(1), 75-100.

18.

우상우 (2014).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이론적 모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복동 (2000). 성인애착과 이성관계 만족: 거부민감성과 귀인 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수정 (2017). 미혼남녀의 내현적 자기애와 거절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윤연, 장현아 (2017). 아동기 외상과 데이트 폭력 피해의 관계-유기도식과 관계중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191-209.

23.

이인숙, 최혜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24.

이태영, 심혜숙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6), 2273-2291.

25.

차혜련, 김종남 (2016).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및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12), 373-401.

26.

최가연, 송연주 (2019). 아동기 외상이 성인기 관계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4), 853-870.

27.

최은영, 안현의 (2011).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의 대인간 외상 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285-302.

28.

최임정, 심혜숙 (201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79-492.

29.

하수홍, 장문선 (2013). 정서적 학대 경험과 경계선 성격특성 간의 관련성에서 거절민감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833-852.

30.

한성희 (2002). 아동기 외상의 정신과적 개관.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3(1), 3-14.

31.

홍상황, 박혜정 (2013). 아동의 정서적 학대와 또래괴롭힘의 관계에서 거부불안 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4(2), 59-74.

32.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적합도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33.

홍진이, 한기백 (201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5), 367-389.

34.

황은수, 성영혜 (2006). 아동의 학대경험이 자기인식정서와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9(3), 67-84.

35.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36.

Bernstein., D. P., & Flink, L. (1996).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37.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and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CA: Sage.

38.

Chan., M. A., Hess, G. C., Whelton, W. J., & Yonge, O. J. (2005). A comparison between female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BPD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rauma, internalized shame and psychiatric symptomatology. Traumatology, 11(1), 23-40.

39.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 Health System Inc.

40.

Downey, G., & Feldman, S. (1994).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1), 231-247.

41.

Downey, G., & Feldman, S. (1996).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 Journal of Personal Social Psychology, 70(6), 1327-1343.

42.

Downey, G., Lebolt, A, Rincon, C, & Freitas, A L. (1998).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ren’s interpersonal difficulties. Child Development, 69(4), 1074-1091.

43.

Feldman, S., & Downey, G. (1994).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of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1), 231-247.

44.

Graham, J. W., & Hofer, S. M. (2000). Multiple imputation in multivariate research. NJ: Mahwah.

45.

Grant, M. (1991). When Good Things Become Addictions. Victor Books. 임근석 역 (1994). 좋은 것도 중독이 될 수 있다. 서울: 생명의 말씀사.

46.

Litchfield, B., & Litchfield, N. (1992). Christian Counseling & Family Therapy. 정동섭, 정성준 역 (2002). 가족과 가족치료(제4권). 서울: 예수전도단.

47.

Levy, S. R., Ayduk, O., & Downey, G. (2001). The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people’s relationships with significant others and valued social groups. In Leary, MR, (Ed.), Interpersonal Rejection (pp. 251-28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8.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

Rudolph, K. D. (2009). The interpersonal context of adolescent depression. In S. Nolen-Hoeksema and L. M. Hilt (Eds.), Handbook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pp. 377-418). New York: Routledge.

50.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51.

Tucker, L. R., & Lewis, C. A. (1973).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1-10.

52.

van der Kolk, B. A. (2005). Developmental Trauma Disorder: Toward a rational diagnosis for children with complex trauma histories. Psychiatric Annals, 35(5), 401-408.

53.

Webb, M., Heisler, D., Call, S., Chickering, S. A., & Colburn, T. A. (2007). Shame, guilt, symptoms of depression and reported history of psychological maltreatment. Child Abuse Neglect, 31(11-12), 1143-1153.

54.

West, S. G., Fl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Sage.

55.

Whiteman, T., & Petersen, R. (1998). Victim of love?: How you can break up the cycle of bad relationships. 김인화 역 (2004). 사랑이라는 이름의 중독. 서울: 사랑플러스.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