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for female workers who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0, v.26 no.2, pp.69-97
https://doi.org/10.20406/kjcs.2020.5.26.2.69
김은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왕은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직장 내에서 괴롭힘 피해를 경험한 여성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을 탐색하여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 내에서 괴롭힘을 경험한 여성 직장인 5명을 심층 면접하고 수집된 자료를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여성 직장인들은 직장 내에서 괴롭힘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여성 직장인들이 경험한 직장 내 괴롭힘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19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5개의 구성요소는 ‘걸림돌로 인식되어 교묘하게 괴롭힘을 당함’, ‘괴로움에 발목 잡힌 채 허우적거림’, ‘좌절감 속에서 다시 일어서기 위해 애씀’, ‘여성으로서의 나를 돌아보며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됨’, ‘누구의 잘못인지 분간할 수 없는 미로 속에 남겨짐’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공통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일반적 구조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에 적용할 수 있는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직장 내 괴롭힘, 여성 직장인, 현상학, 질적 연구, workplace bullying, female worker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stud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emale office worker’s bullying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nd deriv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For this study, five female workers who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Giorgi.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How do female workers experience bullying in the workplace?’ and ‘What does it mean to experience bullying in the workpla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ndicated 5 main themes and 19 sub-themes. The 5 main themes are as followed: ‘tactfully bullied by perpetrators perceived as a stumbling block’, ‘struggling with the suffering’, ‘trying to stand up in a frustration’, ‘getting a new perspective looking back on herself as a woman’, ‘being left in the maze, unable to discern who was wrong’.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ed common and core elements of female worker’s bullying experience, and proposed a generic framework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elements. Finall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pplicable to counseling were presented.

keywords
직장 내 괴롭힘, 여성 직장인, 현상학, 질적 연구, workplace bullying, female worker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study

참고문헌

1.

강지연, 윤선영 (2016).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6권 제2호.

2.

고진희 (2012). 병원간호사의 직장내 성희롱에 대한 인식과 경험실태 및 관련요인.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용노동부 (2019). 직장 내 괴롭힘 판단 및 예방․대응 매뉴얼.

4.

구미영, 천재영, 서유정, 정슬기 (2015). 여성근로자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의 실태와 보호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

김금란 (2004). 직장 내 성희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공공기관 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영희 (1988). 한국형 성역할검사 (Korean Sex Role Inventory) 개발 연구. 아시아 여성연구, 27, 153-182.

7.

민문기 (2015). 직장 내 괴롭힘과 우울의 관계에서 개인 내/외적 변인의 조절 효과 검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경규, 최항석 (2007). 직장 내 집단 따돌림(mobbing)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25(4), 43-70.

9.

박광옥, 김종경, 김세영 (2014). 병원 간호사의 조직 잔류의도에 대한 질적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6(6), 681-692

10.

박소영 (2016).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승민, 김광수, 방기연, 오영희, 임은미 (2012).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서울; 학지사.

12.

박연옥 (2012). 항공사 승무원이 지적하는 직장 내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은선 (2014). 중년남성의 나이듦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복선임 (2015). 임상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자기효능감, 재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유정 (2013). 직장 내 따돌림: 기초분석과 해외 주요국의 관련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Working paper, 2013-2

16.

서유정, 김수진, 이지은 (2014). 「직장 따돌림의 실태조사와 방지 방안 연구: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서유정, 이지은 (2016). 국내 직장 괴롭힘의 실태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성영모 (2013). 은퇴자 부부들의 부부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송근혜 (2014). 직장 내 괴롭힘 발생의 기제 연구: 지각된 동료의 인상관리 및 리더 나르시시즘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경림 (2004).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1.

신경림 역. (1997).『질적간호연구방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2.

유태균, 이선혜, 서진환 역. (2001). Padgett, D. K.『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출판.

23.

윤선영 (2015).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영향요인과 결과에 대한 구조모형.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남인 (2014). 현상학과 질적 연구. (주) 도서출판 한길사.

25.

이윤주 (2014).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개념 및 도구 개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은심 (2010). 남성의 성문화를 통해 본 직장 내 성희롱 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이준희 (2009). 직장 내 집단 괴롭힘(mobbing)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현애 (2014).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직장 내 괴롭힘, 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진경 (1989). 성역할 고정관념 및 특성이 기혼여성의 취업에 따르는 적응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4 (2), 169-184.

30.

최소영, 전희선, 이승연 (2017). 남녀 사무직 직장인의 특성분노, 사회적 회피,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1), 53-74.

31.

최윤정 (2003). ‘산업재해’로서의 직장내 성희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재승 (2007). 조직 내 따돌림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항석, 박혜상 (2010). 심리적 작업환경과 직장 내 따돌림의 관계-조직구성원의 불안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1(2), 209-233.

34.

한국여성민우회 (2013). 여성노동상담실 2013 상담사례집.

35.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한국의 직장 내 괴롭힘 실태 및 법․제도적 보호 현황 자료.

3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국내 15개 산업분야의 직장 괴롭힘 실태.

37.

Balducci, C., Alfano, V., & Fraccaroli, F. (2009). Relationships between mobbing at work and MMPI-2 personality profil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Violence and Victims, 24(1), 52-67.

38.

Branch, S., Ramsay, S., & Barker, M. (2013). Workplace bullying, mobbing and general harassment: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15(3), 280-299.

39.

Buhrmester, D. (1998). Need fulfillmen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developmental contexts of early adolescent friendship.

40.

Ciby, Mariam (2014) mariamciby@gmail.com; Raya, R. P.2 drrpraya.dms@gmail.com; Vikalpa: The Journal for Decision Makers. Apr-Jun 2014, Vol. 39 Issue 2, p69-81. 13p.

41.

Crawshaw, L. (2009). Workplace bullying? Mobbing? Harassment? Distraction by a thousand definitions.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61(3), 263.

42.

Crick, N. R., & Nelson, D. A. (2002). Relational and physical victimization within friendships: Nobody told me there’d be friends like thes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6), 599-607.

43.

Crothers, L. M., Field, J. E., & Kolbert, J. B. (2005). Navigating power, control, and being nice: Aggression in adolescent girls’ friendship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3(3), 349-354.

44.

Dehue, F., Bolman, C., Völlink, T., & Pouwelse, M. (2012). Coping with bullying at work and health related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9(3), 175.

45.

Einarsen S, Hoel H, Notelaers G. (2009). Measuring exposure to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Validity,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Work and Stress. 2009; 23(1): 24-44. http://dx.doi.org/10.1080/02678370902815673

46.

Einarsen S., Hoel H, Zapf, D., Cooper, C. L. (2003). Bullying and emotional abuse in the workplace: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research and practice. London: Taylor & Francis.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research and practice, 203-218.

47.

Giorgi. A. (2004). 신경림 외 역.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48.

Glasø, L., & Notelaers, G. (2012). Workplace bullying, emotions, and outcomes. Violence and Victims, 27(3), 360-377.

49.

Hansen, Å. M., Hogh, A., Persson, R., Karlson, B., Garde, A. H., & Ørbæk, P. (2006). Bullying at work, health outcomes, and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0(1), 63-72.

50.

Hatch, H., & Forgays, D. K. (2001). A comparison of older adolescent and adult females’ responses to anger-provoking situations. Adolescence, 36, 557-570.

51.

Iglesias, M. E. L., & Vallejo, R. B. B., (2012). Prevalence of bullying at work and its association with self-esteem scores in a Spanish nurse sample. Contemporary Nurse, 42(1), 2-10.

52.

Mathisen, G. E., Einarsen, S., & Mykletun, R. (2008). The occurrences and correlates of bullying and harassment in the restaurant sector.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9(1), 59-68.

53.

Matthiesen, S. B., & Einarsen, S. (2004). Psychiatric distress and symptoms of PTSD among victims of bullying at work.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32(3), 335-356.

54.

Niedhammer, I., David, S., & Degioanni, S. (2006).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French working popul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1(2), 251-259.

55.

Nielsen, M. B., Nielsen, G. H., Notelaers, G., & Einarsen, S. (2015). Workplace bullying and suicidal ideation: a 3-wave longitudinal Norwegian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5(11), 23-28.

56.

Park KO, Kim SY, Kim JK. (2013). Hospital nurses’experience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and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201319(2): 169-180. Clinical

57.

Salin, D. (2005). Workplace bullying among business professionals: Prevalence, gender differences and the role of organizational politics. Perspectives Interdisciplinaires sur le Travail et la Santé, (7-3).

58.

Salin, D. (2001), Prevalence and Forms of Bullying among Business Professionals: A Comparison of Two Different Strategies for Measuring Bullying, European Journal of Work &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10 No.4

59.

Seo, Y. N. (2010). The role of culture on workplace bullying: The comparison between UK and South Korea. PhD Thesis submitted at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UK.

60.

Simmons, R .E. (2002). Odd girl out: The Hidden Culture of Aggression in Girls. New York: Orlando, FL: Harcourt.

61.

Spence Laschinger HK, Nosko A. (2015). Exposure to workplace bullying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ology: The role of protective psychological resourc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523(2): 252-262. http://dx.doi.org/10.1111/jonm.12122

62.

Stephanie A. Smyth.(2016). The lived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finding a new job: a grounded theory study. Dissertation of Capella University. July 2016.

63.

Surrey, J. L.,(1991) The “self-in-relaion”: A theory of women’s development. In J. V. Jordan, A. G. Kaplan, J. B. Miller, I. P. Stiver, & J. L. Surrey (Eds.), Women’s growth in connection (pp.51-66). New York: The Guilford Press.

64.

Yildirim A, Yildirim D. (2006). Mobbing in the workplace by peers and managers: Mobbing experienced by nurses working in healthcare facilities in Turkey and its effect on nurses. Journal of Nursing. 200716(8): 1444-1453. Clinical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814.x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