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익제보자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의 차이: 현상학적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ideal and reality that whistle-blowing people experience: focus on phenomenological method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7, v.23 no.1, pp.25-52
https://doi.org/10.20406/kjcs.2017.02.23.1.25
허성호 (중앙대학교)
이근영 (연변대학교)
정태연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익제보 과정에서 공익제보자들이 경험하는 동기, 기대, 결과, 태도의 측면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공식적으로 공익제보자로 등록되어 있는 공익제보자 14명을 대상으로 얻은 인터뷰 자료를 현상학적 접근에 기초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기적 측면에는 직업정신과 도덕적 가치 특성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이 기대하는 것은 공익의 증가와 공적 지지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돌아오는 것은 개인의 피해 경험과 사회적 관계 파괴, 조직적 차별 처우 등의 부정적인 결과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일부 긍정적인 사회변화의 경험이 포함되어 있었다. 즉, 공익제보자들이 기대한 것과 현실 간의 괴리는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상황에 다시 처하게 되는 경우 공익제보에 대한 태도를 분석했을 때, 제보의지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익제보에 따른 부정적 결과에는 문화적 특성 중 수직적 집합주의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그 개선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들이 제시되었다.

keywords
Whistle blowers, whistle blowing, phenomenological method, and vertical collectivism, 공익제보자, 공익제보, 현상학적 분석, 수직적 집합주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tivation for, expectations of, consequences of, and attitudes toward whistle-blowing. that whistle-blowers experience in the whistle-blowing process, and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Fourteen official whistle-blowers were interviewed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result, motivational themes appeared such as professional spirit and personal values. They also tried to pursue public interest such as social changes as well as public support for them.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such as vertical collectivism are responsible for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of whistle-blowing. In particular, They also suggested a few alternative for reducing the gap.

keywords
Whistle blowers, whistle blowing, phenomenological method, and vertical collectivism, 공익제보자, 공익제보, 현상학적 분석, 수직적 집합주의

참고문헌

1.

김수갑, 김민우 (2009). 공익신고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의 입법방향에 대한 소고. 공법학연구, 10(1), 29-51.

2.

김승태 (2010). 한국의 공익신고자 보호법안 평가. 외법논집, 34(3), 195-213.

3.

김현빈 (2015). “옳은 일 하고도 죄 지은 듯” 움츠린 공익제보자. 한국일보 2015년 7월 13일.

4.

박광국, 주효진, 김옥일 (2001). 조직내 내부고발에 대한 인식유형분석. 한국행정학보, 35(1), 109-125.

5.

박경철 (2007). 내부공익정보제공행위 보호의 헌법적 근거와 보호범위. 한국부패학회보, 12(3), 85-110.

6.

박주희 (2013). 카지노 종사원의 윤리경영인식이 내부고발과 조직시민행동의 참여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산업연구, 10(1), 1-17.

7.

박흥식 (1999). 내부고발의 논리. 서울: 나남출판.

8.

박흥식 (2003). 내부고발에 대한 유교 윤리 및 집단주의 태도의 영향. 행정총론, 41(3), 105-126.

9.

박흥식 (2005). 내부고발 의도의 설명과 예측: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4(2), 233-257.

10.

배재현, 문상호 (2006). 부패방지법의 효과성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분석: 내부고발자보호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보, 11(1), 72-98.

11.

삼성경제연구소 (2002). 윤리경영의 선진사례와 도입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2.

양대근 (2015). “부패사건 절반, ‘내부고발자’가 잡아냈다”. 헤럴드경제 2015년 10월 29일.

13.

이승재 (2015). “공익신고 제보↑… 제보자에 대한 보호․지원은 ‘미흡’”. 뉴스웨이 2015년 9월 15일.

14.

장용진, 박성은, 민지혜 (2011). 한국의 내부고발자 사례를 통해 본 효과적인 내부고발의 조건과 함의. 행정논총, 49(4), 111-144.

15.

장용진, 윤수재, 조태준 (2012).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내부고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보, 26(2), 113-136.

16.

장화익 (2007). 근로자 내부고발보호제도 국제비교: 영․미․일의 사례와 시사점. 노동정책연구, 7(2), 227-264.

17.

조윤오 (2010). 경찰의 내부고발 관련 요인 연구: 미국 경찰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41, 415-450.

18.

최정학 (2003). 내부고발자 보호제도의 법적 문제점. 형사정책, 15(10), 315-339.

19.

홍인기 (2014). “공익신고 2012년 1153건 → 올 9월까지 5374건 매년 급증”. 서울신문 2014년 10월 6일.

20.

Kim, E. K. (2014). 비리제보제도의 활성화. 법학논집, 19, 279-313.

21.

Appleby, P. C. (1989). Personal,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Obligations. In P. Y. Windt, P. C. Appleby, M. P. Battin, L. P. Francis, & B. M. Landesman (Eds.), Ethical Issues in the Professions (pp. 229-255).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2.

Bok, S. (1983). Whistle-blowing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In T. L. Beauchamp, & N. E. Bowie (Eds), Ethical Theory and Business (pp. 292-303).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3.

Chiu, R. K. (2003). Ethical judgment and whistleblowing intention: Examining the moderating role of locus of control. Journal of Business Ethics, 43, 65-74.

24.

Colaizzi, F. U.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5.

Creswell, J. W.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4th ed). London: Sage

26.

D’Andrade, R. G., & Strauss, C. (1992). Human motives and cultural model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Davis, M. (1989). Avoiding the Tragedy of Whistleblowing. Journal of Business and Professional Ethics, 8(4), 3-19.

28.

Denhardt, R. B. (1991). Public administration : An action orientation.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9.

Englehart, N. A. (2000). Rights and culture in the Asian values argument: The rise and fall of Confucian ethics in Singapore. Human Rights Quarterly, 22(2), 548-568.

30.

Giorgi, A. (1970). Psychology as a Human Science. New York: Harper & Row.

31.

Goodpaster, K. E. (1989). Note on the Corporation as a Moral Environment. In K. R. Andrews (ed.), Ethics in Practice: Managing the Moral Corporation (pp. 89-99).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32.

Keenan, J. P. (2000). Blowing the whistle on less serious forms of fraud: A study of executives and managers. Journal of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12, 199-217.

33.

Larmer, R. A. (2002). Whistleblowing and Employee Loyalty. In R. A. Larmer (ed.), Ethics in the Workplace: selected readings in business ethics(2nd ed) (pp. 208-216). Belmont, CA: Wadsworth Thomson Learning.

34.

Mesmer-Magnus, J., & Viswesvaran, C. (2005). Convergence between measures of work-to- 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 A meta- analytic examin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 215-232.

35.

Near, J. P., & Miceli, M. P. (2016). After the wrongdoing: What managers should know about whistleblowing. Business Horizons, 59, 105-114.

36.

Rothschild, J., & Miethe, T. D. (1999). Whistle- blower disclosures and management retaliation: The battle to control information about organizational corruption. Journal of Work and Occupations, 26, 107-28.

37.

Rothwell, G. R., & Baldwin, J. N. (2007). Ethical climate theory, whistle-blowing, and the code of silence in police agencies in the state of Georgia. Journal of Business Ethics, 70, 34-61.

38.

Sims, R. L., & Keenan, J. P. (1998). Predictors of external whistleblowing: Organizational and intrapersonal variabl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17, 411-421.

39.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40.

Vandekerckhove, W. (2006). Whistleblowing And Organizational Social Responsibility. Aldershot: Ashgate.

41.

Vikers. L. (2002). Freedom and speech in employm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2.

Vinten, G. (2000). The stakeholder manager. Management Decision, 38(6), 377-383.

43.

Zhang, J., Chiu, R. K., & Wei, L. (2009). Decision-making process of internal whistleblowing behavior in China: Empir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Journal of Business Ethics, 88, 25-4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