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및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owerment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4, v.20 no.1, pp.45-65
오옥선 (제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정정서로 인한 삶의 만족도 저하를 완화시키기 위한 요인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심리요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첫째, 부정 정서의 경우 연령, 결혼 연수, 본인의 최종학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임파워먼트에 있어서도 연령, 결혼연수, 본인 및 배우자의 최종학력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정 정서,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부정 정서-임파워먼트, 부정 정서-삶의 만족, 심리적 안녕감-삶의 만족도에 대한 경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부정 정서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 나아가 삶의 만족도라는 3가지 차원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심리적 요인을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위 연구결과는 향후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을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본다.

keywords
다문화가정 어머니,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 삶의 만족도,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empowerment, life satisfaction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look into whether there is any 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owerment on the path of the negative emotion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urning into the life satisfaction and tried to demonstrate empirically factors to mitigate the decline in the life satisfaction due to negative emotion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we verified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logy of populatio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ross the n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negative emotion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groups depending on ages, years of marri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ca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owermen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groups with different age, years of marriage, their own or their spouse's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path through which negative emotions turned into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the path effects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empowerment,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life satisfaction, and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dealing properly with negative emotions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three dimens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empowerment, and eventually th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ook psychological factor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to consideration and the results can be used as useful data to come up with political measures for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uture.

keywords
다문화가정 어머니,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 삶의 만족도,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empowerment, life satisfaction

참고문헌

1.

강경미 (2013).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활동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공영길 (2009).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거무민감성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곽금주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2008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6.

4.

김경민․임정하 (2012). 대학생의 낙관성과 행복추구경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0(1), 89-101.

5.

김경순 (2006).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남희 (2005). 희망과 사회적지지,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도희, 이경은 (2010). 결혼이민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로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5(2), 5-25.

8.

김명성 (2009).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8, 6-27.

9.

김명소․김혜원․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10.

김미옥 (2005). 장애인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2, 351-381.

11.

김봉선 (2010). 장애인 자립생활운동에 나타난 임파워먼트 과정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375-397.

12.

김순이 (2010). 다문화가정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산시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승권 (2010). 한국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18.

14.

김오남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3), 63-106.

15.

김은경 (2010). 다문화가정 모-자녀의 긍정심리성향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 개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은영 (2001). 사회적 지지가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18.

김현실 (201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0(2), 188-198.

19.

김현옥 (2010).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김희주․주경희 (2008).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 125-158.

21.

박경동 (2007).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한국의 광주, 전남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2.

박병선․진혜민․허만세 (2011). 남성알코올중독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가족기능과 가족지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8, 172-204.

23.

변미희, 강기정 (2010). 다문화 가족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15(2), 127-141.

24.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안.

2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다문화가정 지역정착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26.

성현란 (2011).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2), 219-239

27.

송미경․지승희 (2007).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총서) 130. 1-89.

28.

송선화․안효자 (2011).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양육경험. 정신간호학회지, 20(2), 167-179.

29.

안미숙 (2010). 직장인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관계에 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양옥경, 김연수 (2007).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26, 79-110.

31.

어용숙․김문정 (2009). 양육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가 장애아동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건강간호학, 15(4), 409-416.

32.

오세연․신인봉 (2012). 다문화가정의 사회유대관계정도에 따른 가정폭력발생 위험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9(1), 37-65.

33.

오옥선, 김성봉 (2012).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경험 들여다보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2) 235-260

34.

유은광․김혜진․김명희 (2012).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ㅈ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2(2), 171-180.

35.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친밀감.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36.

이기영, 박영희, 엄태완, 김현경, 김현아 (2009). 이주난민의 정신건강과 상담. 서울: 나눔의 집

37.

이명자 (2010).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요인과 대책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이상준․남영옥 (2008). 스트레스 고위험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와 정신건강. 정신보건과사회사업, 30, 136-161.

39.

이선미․이경아 (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71-105.

40.

이윤희 (2009).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은우 (2005).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이향범 (2012).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결혼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현희․김은정․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44.

임 혁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4), 189-221.

45.

장은순 (2011). 다문화가정 여성의 심리 및 가족관계적 특성이 자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전성무 (2013.09.14). 곧 추석인데… 매 맞는 다문화가정 여성 폭증. 『뉴스 1』. available: http://news1.kr/articles/1323115

47.

정지혜 (2007). 노인의 임파워먼트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조성례․문재우 (2012).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38(2), 21-40.

49.

지은진․최지명․김교헌․권선중․박은진․이민규 (2012).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243-252.

50.

차경호 (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8, 575-595.

51.

최명민․이기영․엄태완 (2006).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세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4, 94-124.

52.

최삼욱․나란희․김한호․최성빈․최영숙 (2006). 남성 알코올 의존 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영적 특성과의 관계. 신경정신과학, 45(5), 459-467.

53.

최정숙, 오지영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미술활동활용 집단프로그램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9), 319-348.

54.

통계청 (2013). <인구통계 연보>. 대전: 통계청.

55.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56.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57.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oo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58.

Hobfoll, S, E. (2002).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 and adapta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6, 307-324.

59.

Parsons R. J. (1999). Empowerment pratice in social work. Canadian Scholars' Press Inc.

60.

Rogers, E. S., Chamberlin, J., Elloson, M. L., & Cream, T. (1997). A consumer constructed scale to measure empowerment among users of mental health services. Psychiatric Services, 48(8), 1042-1047.

61.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