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의 자발적 봉사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Processes of Voluntary Services Delivered by Korean Undergraduates: An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3, pp.287-304
허성호 (중앙대학교)
정태연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패러다임과 그 양상을 알아보고자 했다. 자료수집은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총 여섯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서울 및 경북지역에서 활동하는 평균 연령 23세(남 24세, 여 22세)의 대학생 자원봉사자 총 23명(남: 10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 자료를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으로 이루어졌다. 개방코딩 결과, 119개의 개념과 41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과정을 패러다임별로 구분하였다. 축코딩 결과는 심리적 동기, 사회적 맥락, 개인 인식, 실천 활동, 심리적 반응, 심리적 결과의 6가지 패러다임으로 구성하여 상위범주들로 도식화하였고, 범주의 본질은 ‘자발적 봉사활동자의 활동 유형은 단순실천, 자기본위, 공동체추구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화 된다’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자원봉사자들의 단순실천형, 자기본위형, 공동체추구형 범주에 따라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결과를 자원봉사활동 연구 의의와 그 제한점에 관련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자원봉사활동, 대학생 자원봉사자, 자발적 봉사활동의 유형, 근거이론, volunteering, undergraduate volunteers, volunteer types, and grounded theor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hases and paradigms related to voluntary services offered by undergraduates and the processes in which voluntary services are implemented. For this, interviews for 23(men: 10, women: 13) undergraduates were conducted from Aug., 2008 to Apr., 2009 were conducted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ose interview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Main analysis procedure is known as codings(open coding,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This analyses produced 119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in open coding. Then, axial coding was conducted to organize the basic framework of generic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motivation, social context, personal perception, practical action, psychological response,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 Core essence is “Volunteer types are categorized simple practice type, self-serving type, and community type.” Finally, undergraduate volunteers were explained in 3 types(simple practice, self-serving, and community) on the basis of paradigm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further research and limitation.

keywords
자원봉사활동, 대학생 자원봉사자, 자발적 봉사활동의 유형, 근거이론, volunteering, undergraduate volunteers, volunteer types, and grounded theory

참고문헌

1.

김기원 (1997). 자원봉사 참여욕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10(3), 1-48.

2.

김용길 (2000). 사회복지관의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정용 (2002). 청소년 자원봉사의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 복지연구, 6(2), 55-67.

4.

안찬우 (2011). 한국 시민사회의 자발적 봉사정신과 스포츠 자원봉사의 동역학적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양창삼 (1997). 사회봉사의 철학과 기능, 대학의 사회봉사. 한양대 사회봉사단.

6.

이경은, 김중대 (2000). 청소년 사회참가활동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10. 375-395.

7.

전진호 (2000).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정덕기 (2002). 자원봉사의식과 봉사활동 및 성과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정수경 (2004).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3), 327-355.

10.

정미정 (2007).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정진경, 조정아 (2008).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위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487-518.

12.

정태연, 박준성, 박은미 (2008). 초,중,고 대학생 간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3), 371-388.

13.

정태연, 전경숙, 박은미 (2008). 한국사회와 교육적 성취: 한국 사회의 맥락과 과제 : 공동체의식의 함양에서 본 한국 학교교육의 문제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469~485.

14.

조수민(2006). 실습경험이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조휘일 (1991). 한국사회복지분야의 자원봉사행동과 관련된 개인 및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조휘일 (1998).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서울: 홍익재.

17.

최훈석, 양애경, 이선주 (2008).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 수용성: 안산과 영암의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39-69.

18.

한국자원봉사협의회 (1998). 21세기와 자원봉사. 한국자원봉사전국대회 자료집.

19.

허성호, 정태연 (2010).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1(3), 143-164.

20.

현외성, 조추용, 박차상 (1998). 대학사회봉사론. 서울: 유풍출판사.

21.

홍연숙 (2002).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결정요인. 청소년복지연구, 4(1), 75-97.

22.

Baron, R. A., & Byrne, D. (1981). Social psychology: Understanding human interaction. Boston: Allyn & Bacon. Inc.

23.

Chenitz, W. C., & Swanson, J. M. (1986). From practice to grounded theory: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Menlo Park, CA: Addison-Wesley.

24.

Carvill, G., & Munday, B. (1984). volunteers in the personal social service. London & New York: Tavistock.

25.

Francies, G. R. (1982). The volunteer needs profile. Greenbay. Wisconsin: University of Wisconsin.

26.

Ilsley, P. J. (1990). Enhancing the volunteer experience. San Francisco: Jossey-Bass.

27.

Sieder, V. M. (1971). Volunteers.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6th ed.). Washington, DC: NASW.

28.

Strauss, A. L.,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 York: Sag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