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Drop-Out Adolescents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8, v.14 no.특집, pp.299-317
금명자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2000년대를 전후로 급증한 청소년들의 학업중단을 실태와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조망하였다. 용어, 실태, 원인과 과정 및 학업중단 이후 과정으로 나누어 우리나라 청소년의 학업중단을 이해하고, 이를 다시 12가지 특성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들을 생태학적 모형으로 재구조화하였다. 1990년대 중반에 시작된 사회적 안정구조의 흔들림과 1998년의 IMF 사태는 청소년들의 1차 환경인 가정과 학교에 영향을 미쳤다. 가정은 이혼 등의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청소년에 대한 심리적 지지와 경제적 지원을 약화시켰고, 학교에서는 교권과 교칙이 약화되면서 교사와의 갈등, 학업의 목적과 흥미 상실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우울, 무력감, 공격성과 같은 정서적 반응, 미래의 불투명성, 학업적 의미 상실과 같은 인지적 반응 및 부적절한 성행동, 폭력과 같은 표면화된 비행행동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심리적 상태는 가출과 학업중단이라는 표면화된 행동으로 드러나게 되었고, 이후 이들의 학업 유지 의도에도 불구하고 준비되어 있지 않은 사회에 의해 비행화가 가속되었다. 이들에 대한 국가적 대처에 대한 제안과 제한점들이 논의에 첨가되었다.

keywords
학업중단청소년, 원인과 과정, 생태학적 모형, drop-out adolescents, causes and process, ecological model

Abstract

The school drop-out among the youth has grown to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since about 2000 and calls for an attention to its seriousness.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statitistical reports and the previous empirical findings on the school drop-out and integrat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is social phenomenon. The main concepts and terminologies on school drop-out, the current statistics, the possible causal factors and the usual trajectory the youth take after dropping-out of school were discussed to conceptualize the issue. Analyses indicated 12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Those 12 characteristics were restructured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onceptual model. The social instability and the financial crisis in the 1990's has eroded the stability of the primary environments of adolescents such as family and school. The family breakdowns from divorce and other reasons weakened psychological and financial support for adolescents. The diminished authority of teachers and school over students exposed conflict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students' loss of purpose and interest in academic attainment. The adolescents showed emotional reponses like increased level of depression, helplessness, aggression, indicated cognitive reponses such as the loss of purpose and interest in studying, a heightened sense of uncertainty of the future, and behavioral responses like sexual acting out behaviors, and bullying. The unmet psychological needs of adolescents result in run-away and school drop-out behaviors, which in turn progress into juvenile delinquency as the society fails to provide adequate and appropriate guidance and interventions. The intervention strategies at the national level were propos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학업중단청소년, 원인과 과정, 생태학적 모형, drop-out adolescents, causes and process, ecological model

참고문헌

1.

구본용 ; 유제민, (2003) 중퇴에 관한 위험 및 보호요인의 신경망 모형,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

금명자, (2003) 상담 사례를 통해 본 청소년의 변화, 우리 청소년, 어디로 가고 있는가? 청소년의 삶과 고민: 10년의 변화,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 48, 한국청소년상담원

3.

금명자, (2004) 학교밖청소년 종합지원체제구축운영연구, 청소년상담연구

4.

금명자, (2004) 학교밖청소년 욕구조사, 학교밖청소년 길찾기,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50,

5.

금명자, (2005) 학교밖청소년 평가도구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6.

김규태, (2002) 학업중단 청소년 종합대책, 한국청소년개발원

7.

김동민, (2003)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협의체구성 및 운영연구, 청소년상담연구

8.

김 민, (2000) 학교붕괴, 신화인가 현실인가?, 교육인류학

9.

김민정 ; 김혜영, (2001)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및 과제, 청소년복지연구

10.

김순규, (2004) 가족 환경요인 청소년학업 중퇴에 미치는 영향 -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1.

김옥엽 ; 이연숙 ; 원유미, (2004) 전라북도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의식 및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분석, 상담학연구

12.

김용훈, (2006) 학교 중퇴 청소년의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13.

김혜영, (2002) 학교중도탈락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4.

박경애, (2001) 상담활동의 경향과 특성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5.

박현선, (2003) 청소년의 학업중퇴 적응과정에 대한 현실기반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

16.

배영태, (2003) 중고생의 중도탈락 인과모형 검증과 판별척도 개발,

17.

송복, (1996) 학업중퇴자 연구-실태와 대책,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8.

신현숙 ; 구본용, (2002) 중퇴생, 중퇴 고위험 및 저위험 재학생의 비교: 개인 및 사회 환경변인들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

안현의, (2002)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46, 한국청소년상담원

20.

안현의, (2002)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의 욕구와 심리적 경험 조사,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46, 한국청소년상담원

21.

오현애, (2002) 학교중퇴 청소년에 대한 지원방안 연구:학교중퇴 청소년의 사회적 지원 체계에 대한 욕구조사를 중심으로,

22.

유성경, (1998)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에 대한 개입 체제 개발 연구, 청소년대화의광장

23.

윤미경, (2002)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적응유연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24.

윤미원, (2006) 학업중단청소년 실태: 실업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25.

윤여각, (2002) 학업중단 청소년 정책 및 실태 분석, 한국청소년개발원

26.

윤여각, (2002) 학업중단 청소년 및 대안교육 실태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7.

이병환, (2002)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응방안, 한국교육

28.

이소영, (2000) 학교중단 청소년의 중퇴 이후 적응 결정요인,

29.

이숙영, (1997)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 연구, 청소년 대화의 광장

30.

이승재, (2004) 청소년의 학교중퇴 원인과 선도 방향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31.

이창호, (2002) 학업중단 청소년 사회적응을 위한 지역단위 관련 기관간 연계협력체제 구축방안, 문화관광부, 한국청소년상담원

32.

장석민, (1988) 중퇴 및 비진학 청소년의 진로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3.

전경숙, (2006)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34.

정홍자, (2005) 경기도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35.

조아라, (2001) 중고등학교 학업중퇴생 증가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36.

조영승, (2001) 경기도 지역 중퇴생 선도,보호 방안 프로그램 개발연구, 경기도청

37.

조한혜정, (1996)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38.

최정자, (2007) 학업중단 청소녀의 사회적응관련 결정요인, 대구한의대학교

39.

추병식, (2003) 학교붕괴의 탈근대적 의미, 청소년학연구

40.

표갑수, (1992) 학교중퇴의 원인과 과제, 청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41.

홍임숙, (2004) 학교를 떠난 아이들의 세계: 학교중퇴자에 대한 사례 연구, 서강대학교

42.

황선미 ; 신현숙, (2007) 고등학생과 진로적응훈련 중인 중퇴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장애 및 진로결정의 관계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43.

Danish, S. J., (1980) Developmental interaction: Enhancing life-event processes, Life-Span Developmental Behavior

44.

Elder, G. H., (1978) Economic depression and postwar opportunities in men's lives. In: Research in community and mental health, JAI Press

45.

Hetherington, E. M., (1981) Children of divorce. In: Parent-child interaction, Academic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