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청소년의 안전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안전사고에 대한 표상과 안전효능감 및 부모의 영향을 중심으로

Korean adolescents' indigenous understanding of safety: With specific focus on cognitive representation of accidents, safety efficacy and parental influenc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3, v.9 no.특집, pp.89-105
박영신 (인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에서는 한국 사람들의 안전과 관련된 심리 중에서도 특히, 한국 청소년의 안전관련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선행연구 결과들을 개관하고 정리하였다. 첫째, 한국 청소년의 안전사고에 대한 고유한 표상을 파악하기 위해, 안전사고의 내용, 안전사고의 원인, 안전사고 후의 사회적 지원, 안전사고의 예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이 학교수준별, 성별, 안전효능감수준별로 어떠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둘째, 한국 청소년 안전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안전효능감의 개념을 정의하고, 초 중 고등학생의 안전효능감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셋째, 안전효능감과 안전사고 예방행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째, 부모가 청소년 자녀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였다. 즉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와 부모의 안전효능감 및 부모의 안전사고 행동이 청소년 자녀의 안전효능감 및 안전사고 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개관을 통해, 다섯 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1) 청소년 발달과정에서 안전효능감의 감소 경향성, 2)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의 관계, 3) 토착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 4) 부모가 청소년의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5) 한국 사회문제 맥락 속에서의 접근: 인간 생명 존엄성에 대한 인식과 사회 전반의 신뢰 구축.

keywords
안전에 대한 토착심리,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 안전효능감, 안전사고 예방행동, 부모의 영향, 안전사고의 내용, 안전사고의 원인, 안전사고 후의 사회적 지원, 안전사고의 예방, 자기효능감, Korean adolescent's indigenous psychology on safety, cognitive representation of accidents, safety efficacy, accident prevention, parental influence of children's safety efficacy, experience of accidents, cause of accidents, social support, self-eff, Korean adolescent's indigenous psychology on safety, cognitive representation of accidents, safety efficacy, accident prevention, parental influence of children's safety efficacy, experience of accidents, cause of accidents, social support, self-eff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orean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safety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es approach. This paper examines Korean adolescents' experience of the type of accidents they were involved in, what they perceived to be the cause of the accident, the type of social support received after the accident, and the prevention needed to avoid future accidents. The indigenous understanding of accidents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of the students, gender, and safety efficacy beliefs. Secon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afety efficacy beliefs, the differences across primar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examin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fficacy belief and attitudes toward preventing future accidents is explored. Third, the parental influence on adolescents' safety efficacy belief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safety efficacy belief on their children's safety efficacy belief and behavior. The review of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ve main points: (1) decrease in safety efficacy belief with increasing age, (2)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fficacy belief and behavior, (3) the utility of the indigenous psychologies approach, (4) the parental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safety efficacy beliefs and behavior, and (5) the need to further explore, promote, and educate the importance of human life and quality of life by preventing accidents and promoting safety consciousness and behavior in Korea.

keywords
안전에 대한 토착심리,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 안전효능감, 안전사고 예방행동, 부모의 영향, 안전사고의 내용, 안전사고의 원인, 안전사고 후의 사회적 지원, 안전사고의 예방, 자기효능감, Korean adolescent's indigenous psychology on safety, cognitive representation of accidents, safety efficacy, accident prevention, parental influence of children's safety efficacy, experience of accidents, cause of accidents, social support, self-eff, Korean adolescent's indigenous psychology on safety, cognitive representation of accidents, safety efficacy, accident prevention, parental influence of children's safety efficacy, experience of accidents, cause of accidents, social support, self-eff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