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또래 따돌림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The Bullying and Psychosocial Dysfunc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0, v.6 no.2, pp.103-114
한종철(Jongchul Ha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김인경(Inkyung Kim)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또래 따돌림 행동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발달 수준과 정서 및 행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서울 시내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생 1212명 중에서, 또래 따돌림에 대한 자기보고식 및 또래 거명 행동평가에서 일관된 행동특성을 보인 450명(가해, 피해, 가해/피해,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발달(SIQYA), 정서 및 행동 평가(CBCL) 수준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비교집단에 비해 따돌림 행동과 관련된 학생들의 심리사회적 발달 수준이 낮았다. 그러나, 가해집단은 다소간의 자존감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피해집단은 전형적인 부적응 문제를 보였고, 특히 가해/피해 집단은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드러나 가족관계에서 더욱 부정적인 상태이여서 큰 심리적 위기를 겪고 있었다. 또한, 가해집단은 직접적인 신체적 공격행동이 많았고, 피해 집단은 자기통제가 부족하거나 과시적 행동을 하는 경향을 보여 미성숙함을 드러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집단 유형에 따른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차별화된 접근을 취해야 함을 함축한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irected to explore the level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manifested by those who are involved in bullying at school. For 450 out of 1212 students of the 4th to 7th grade, self ratings were congruents with peer nominations in status for school bullying and so further analyses were based on their data. The participants were partitioned into four groups (bully, victim, bylly/victim, and comparison group) and completed the Self-Image Questionnaire for Young Adolescents and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arison group reached the higher level of psyco-social development than the other three groups. However, the bully group had somewhat self-esteem, whereas the victim and the bully/victim group had typical dysfunctional problems. In particular, the worst bully/victim group formed very derogatory family relationships. Finally, the bully group manifested physical aggressions and the victim group related to a lack of self-control and show-off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service programs should be required for different group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07-29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