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

Korean Sense of Community Scal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1999, v.5 no.2, pp.19-30
정진경(Jean-Kyung Chung)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사회내의 공동체적 정체감을 분석하여 그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그를 기반으로 하여 공동체의식을 측정하는 검사를 개발하고 그 산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공동체의식의 개념을 정립하고 검사 문항이 측정하여야 할 정확한 분야를 설정하기 위해서 공동체주의 철학에 대한 논의, 공동체의식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의 공동체의 성격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이 집단주의와는 구별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 사회의 공동체의식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그를 기반으로 공동체의식 검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조사에 기초하여 많은 수의 예비 문항을 작성하여 시행한 후(N=269), 문항-총점간 상관계수와 요인분석을 통하여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적절한 문항들을 선정하고 검사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들을 밝혀내었다. 24문항으로 구성된 공동체의식 검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가 .92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위에서 작성한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경험적으로 밝혀진 바람직한 공동체인 공동육아 협동조합의 부모들과 그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단체이지만 공동체의식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일반 어린이집의 부모들을 비교해 본 결과(N=352), 공동육아 협동조합이 공동체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공동체의식 검사가 목표하는 바를 대체로 적절하게 측정하고 있음을 일차적으로 보여주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Korean Sense of Community Scale', and the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sense of communit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sense of community, and to define the psychological areas that need to be measured, a literature review was done on three domains, the discussion on the philosophy of community, the psychological studies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community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In the process, a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authoritarian collectivism. Study 1 earned out an analysis of the sense of community in contemporary Korea empirically, and developed a sense of community scale based upon it. Item analyses of the pilot items revealed the major factors construct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helped to select the items for the scale. The scale made of 24 items was found to have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92. Study 2 was done to test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members of the 'Cooperative Childcare' which was found to be a very well-functioning community in a previous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members of a more ordinary and not very close-knit day care facilities.. As predicted, the 'Cooperative Childcar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higher sense of community establishing the validity of the new scal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