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연령, 공정성 인식 간의 관계: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ge and Perception of Justice: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Ag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2, pp.219-239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219
정주리 (전남대학교)
이지혜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국내 성인 남녀 5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자기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 일반 분배공정성, 일반 절차공정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연령(20대와 30대 이상)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공정성 인식과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SPSS 27과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연령대에 따른 연구변인의 차이를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여 연령구분이 타당한지 살펴본 후,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기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 일반 분배공정성, 일반 절차공정성 모두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연령은 자기 분배공정성, 자기 절차공정성, 일반 분배공정성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일반 절차공정성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연령대별 연구변인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20대와 30대 이상은 상이한 특징을 보였으며, 30대 이상에서는 유의한 연령대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기 분배공정성과 일반 절차공정성에 대해서만 연령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기 분배공정성의 경우, 30대 이상의 집단에서 20대보다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기분배공정성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일반 절차공정성의 경우, 20대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 절차공정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하였으나, 30대 이상의 경우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 절차공정성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대와 30대 이상의 연령대를 비교하였을 때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 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밝혀 사회경제적 지위와 공정성 인식 간에 세대 간 인식 차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keywords
socioeconomic status, perception of justice, age, moderation effect, 사회경제적 지위, 공정성 인식, 연령, 조절효과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ES) of 508 Korean adults and their perception on justice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and general others), and verifi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age (20s versus 30s and over). A self-report survey on SES and perception on justice was conducted. Then, using the SPSS 27 and PROCESS Macro 4.0 program., a correlation analysis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y variables was performed along with the ANOVAs comparing the mean differences of study across age-groups to support the group division criteria. Next, a moder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E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ub-factors of justice perception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e. Second, age had a inverse relationship on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and general others,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but significant relationship on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Third, when looking into the mean differences of the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age, the 20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30s and ov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30s and over group.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perception of justi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and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In the case of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the positive slope of the graph in which SES predicts distributive fairness for self was steeper in the 30s and older group compared to the 20s. Regarding the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SE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20s. However, SES positively predicted procedural justice in the 30s and old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g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justice by revealing the different relationships of SES and perception on justice according to age.

keywords
socioeconomic status, perception of justice, age, moderation effect, 사회경제적 지위, 공정성 인식, 연령,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