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균형적 시간관이 청년기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 balanced time perspective on growth after adversity in adolescenc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2, pp.163-186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163
김민진 (중앙대학교)
박정윤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청년기 역경 후 성장을 일으키는 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만18~39세 청년 2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5.0,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경 후 성장을 긍정심리학적 요인들의 결과물로 보고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 각각의 영향력과 두 변인의 관계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변인들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역경 후 성장에 주요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는 종교가 역경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역경 후 성장에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균형적 시간관이 사회적 유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본 과정을 통해 역경 후 성장이 나타났다. 역경 후 성장을 위해서는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 모두 중요하며 상담이나 임상현장에서 긍정적 요인을 활용하여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청년기, 역경후 성장, 균형적 시간관, 사회적 유대감, young adults, growth after adversity,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balanced time perspective, social connectednes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iable affecting young adult’s growth after adversity to promote post-adversity growth in the counseling and treatment field. For this purpose, date were collected from 208 young adults aged 18 to 39 living in Kore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the AMOS 26,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growth after adversity as a result of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ocial connectedness and the relation of the two variables on growth after adversity.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major variables,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on growth after adversity, a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using the bootstrap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demographic variables, relig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after adversity. Second,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ocial connectedness tended t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growth after adversity. 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ath leading to growth after adversity showed that balanced time perspective affects social connectedness and this process leads to growth after adversity. The finding of this thesis is that the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ocial connectedness are important in order to have growth after adversity, and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progressing related programs by utilizing positive factors in counseling or clinical settings.

keywords
청년기, 역경후 성장, 균형적 시간관, 사회적 유대감, young adults, growth after adversity,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balanced time perspective, social connectedn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