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활동적인 노인의 일상적 활동 참여가 시민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Active elderly’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on Citizen Particip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Cohe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Selfishn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0, v.26 no.2, pp.47-68
https://doi.org/10.20406/kjcs.2020.5.26.2.47
이주일 (한림대학교)
김태웅 (한림대학교)
김필현 (한림대학교)
이한송 (한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국내 고령인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연령과 상관없이 노년기의 활동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노년기 인구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활동이론에 기반을 둔 활동적 노년에 관심을 갖고 활동적인 노인의 소공동체활동 참여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활동적 노인의 일상적 활동과 소공동체활동 참여가 지역사회 문제해결이나 선거 참여 등 사회적 시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공동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노인 700명을 대상으로 일상적 활동 참여, 소공동체 응집성, 소공동체 이기주의, 시민참여를 측정하여 단계적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상적 활동 참여와 시민참여 간의 관계에서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사회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점증하고 있는 노년기 인구의 활발한 시민참여가 사회에 미칠 영향력이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국가 및 이해관계자들이 노인의 일상적인 활동 참여와 소공동체 응집성 및 소공동체 이기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노인들의 시민참여 정책이나 사회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Active aging,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y, Citizen participation, Small community cohesion, Small community selfishness, Small community, 활동적 노년, 일상적 활동 참여, 시민참여, 소공동체, 소공동체 응집성, 소공동체 이기주의

Abstract

Since the early 2000s, Korea has continu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low fertility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As a result, Korea has now entered the aging society. Because of this demographic change, proportion of active elderly have increased, and many academics, such as sociology, economics, and psychology,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the active elderly. This study focused on active elderly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of old age and the positive effect of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y on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ctive elderly’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ffect citizen participation actively in society as a citizen, and in the process, mediates the effect of small community cohe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selfishness. This study performed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700 elderly people who are participated actively in various small communities. As a resul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cohesio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selfishness was also show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and interested parties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policies for the small community participation of elderly citizens in consideration of their small community activities, small community cohesion and small community egoism.

keywords
Active aging,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y, Citizen participation, Small community cohesion, Small community selfishness, Small community, 활동적 노년, 일상적 활동 참여, 시민참여, 소공동체, 소공동체 응집성, 소공동체 이기주의

참고문헌

1.

구희곤, 임수원 (2011). 군 병사의 스포츠참여와 집단응집성, 군생활적응성, 조직효과성 간의 인과모형. 한국체육학회지, 50(5), 295-307.

2.

권순복 (2002). 읍ㆍ면ㆍ동 기능전환과 주민자치센터-문제점과 발전방향. 한국지방자치학회 세미나, 279-309.

3.

권영숙, 이영민 (2011). 지역사회 자원봉사활동 특성 유형과 사회적 자본 형성의 관계 분석. 지방행정연구, 25(1), 137-156.

4.

권해수 (1994). 주민의 집단행동과 지역이기주의 극복방안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5(1), 305-319.

5.

김민희, 이주일 (2017). 노년기 활동 참여가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5), 100-113.

6.

김보현, 안영선 (2008).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15(1), 141-160.

7.

김석일 (2012).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 경험과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1), 333-344.

8.

김은아 (2015). 소외계층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14, 89-112.

9.

김정유 (2013). 이기주의, 이타주의, 자기집단중심주의. 사회경제평론, 42, 1-18.

10.

김주현, 한경혜 (2001). 노년기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한국노년학, 21(2), 209-224.

11.

김춘남 (2018). [정책제안] 실질적인 지원으로 노인 사회참여 활성화해야. 월간 공공정책, 150, 59-61.

12.

김태준, 최상덕 (2009). 한국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연구. 한국 교육 개발원.

13.

대한상공회의소 (2011). 종합직무적성검사 K-Test 활용, Retrieved fromhttp://license.korcham.net/k_test/ktest/ktest 01021.jsp?m_cd=2&s_cd=1&d_cd=2

14.

류영아 (2013). 시민참여 활성화 영향요인 연구. 지방정부연구, 17(2), 317-338.

15.

문인수 (2011). 지역이기주의와 K-2 공군기지 이전 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29(2), 103-127.

16.

박래효, 김경수, 이경근 (2008). 노조의 집단따돌림 및 노조사회화가 파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과정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2, 151-178.

17.

박정열, 허태균, 최상진 (2001). 사회적 범주과정의 심리적 세분화: 내집단 속의 우리와 우리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1), 25- 44.

18.

박현춘, 홍진혁, 최민재, 권영대, 김진석, 노진원(2014). 중노년기 은퇴자의 은퇴 전후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753-763.

19.

보건복지부 (2019). 2019 자살예방백서. https:// 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9734

20.

서태열, 임은진 (2013). 저출산ㆍ고령화 시대에 대응한 사회와 인구교육의 방향과 전략. 사회과교육, 52(4), 23-35.

21.

송경재 (2006). 자발적인 시민참여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사례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9, 221-255.

22.

원미순, 박혜숙 (2010).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7(3), 225-245.

23.

위광희 (1998). 내집단 개별화가 집단간 차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2(2), 141-159.

24.

유 경, 장재윤, 한태영, 이주일 (2014). 활동적 노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노년학, 34, 613-630.

25.

유재원 (2003). 시민참여의 확대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7(2), 105-125.

26.

유희경, 박선숙, 박행묵, 김효상 (2007). 패밀리레스토랑 종업원의 성격요인, 조직응집성, 조직성과의 관계 분석. 관광학연구, 31(5), 9-28.

27.

윤종설 (2001). 적극적 시민참여를 통한 도시공공서비스 평가. 한독사회과학논총, 11(1), 67-92.

28.

이기영 (2017). 은퇴여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 생명연구, 43(1), 309-366.

29.

이기홍 (2005).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한국노년학, 25(3), 1-21.

30.

이방식, 구정대 (2004). 호텔기업에 있어서 리더십이 집단응집력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13(1), 79-97.

31.

이영문, 박영신, 임만택 (2007). 지역이기주의와 갈등조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7(1), 89-92.

32.

이재훈, 최익봉 (2004).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2, 93-132.

33.

이해경, 이수원 (1994). 사회적 범주화, 가치 선호 및 내집단 편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8(2), 108-123.

34.

잡코리아 (2017). “직장인 체감 퇴직 연령 ‘51.7세’”(http://www.jobkorea.co.kr/GoodJob/ News/View?News_No=11979&schCtgr=0&schGrpCtgr=100&schTxt=%ED%87%B4%EC% A7%81&Page=1)

35.

정안숙 (2015). 현대한국사회에서 공동체심리학의 역할: 공동체심리학의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3), 667-683.

36.

정유리, 이신숙 (2013). 노년기 여가활동 활성화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5(2), 49-63.

37.

정희재, 원영신 (2010). 은퇴한 남성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동기가 재사회화 및 행복한 삶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3), 209-220.

38.

조선배, 김석영, 정승환 (2009). 직무특성이 집단응집력과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의 객실 및 식당 종사자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8(4), 201-215.

39.

조욱연 (2012). 스포츠클럽 참여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3), 363-372.

40.

최희경 (2010). “신노년” 정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한국사회정책, 17(3), 41-65.

41.

통계청 (2017). 장래인구추계.

42.

통계청 (2018). 2018 고령자 통계.

43.

한상금 (2006). 가족여가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44.

홍숙자 (2010). 노년학 개론. 서울: 하우.

45.

황성식, 김세현 (2019). 노년층의 은퇴와 삶의 만족도: 복지수준과 문화적 성향에 따른 국가 간 비교. 한국인구학, 42(3), 27-54.

46.

Adler, R. P. & Goggin, J. (2005). What do we mean by “civic engagement”?. Journal of Transformative education, 3(3), 236-253.

47.

Verba, S. & Almond, G. (1963). The civic culture: Political attitudes and democracy in five nation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49.

Carron, A. V. (1980). Social psychology of sport. Ithasa, NY: Mouvement Publications.

50.

Carron, A. V. (1982). Cohesiveness in Sport Groups: Interpretations ani Considerations. Journal of Sports Psychology, 4(2), 123-138.

51.

Carver, C. S. & Baird, E. (1998). The American dream revisited: Is it what you want or why you want it that matters? Psychological Science, 9(4), 289-292.

52.

Cowgill, D. O. & Holmes, L. D. (1972). Aging and modernization. Appleton-Century-Crofts and Fleschner Publishing Company.

53.

Fernández-Ballesteros, R. (2008). Active aging: The contribution of psychology. Hogrefe Publishing.

54.

Fernández-Ballesteros, R., Robine, J. M., Walker, A., & Kalache, A. (2013). Active aging: a global goal. Current Gerontology and Geriatrics Research.

55.

Fonda, S. J., Clipp, E. C., & Maddox, G. L. (2002). Patterns in functioning among residents of an affordable assisted living housing facility. The Gerontologist, 42(2), 178-187.

56.

Granovetter, M.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13), 60-1380.

57.

Grootaert, C. (2001). Does social capital help the poor?-a synthesis of findings from the local level institutions studies in Bolivia, Burkina Faso, and Indonesia. The World Bank.

58.

James, L. R. & Brett, J. M. (1984). Mediators, moderators, and tests for medi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2), 307.

59.

Klein, J. R. (2007). A national study of civic engagement and moral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honors students. The University of Iowa.

60.

Mowday, R. T., Porter, L. W., & Steers, R. M. (2013).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Academic press.

61.

Mullen, B. & Copper, C. (1994). The relation between group cohesiveness and performance: An integr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5(2), 210.

62.

Newton, K. (1999). “Social and political trust in established democracies” in Norris, P. (ed) Critical Citizens: Global Support for Democratic Governanc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69-88.

63.

Peter E. Mudrack. (1989). Defining group cohesiveness: A legacy of confusion?. Small Group Behavior, 20(1), 37-49.

64.

Por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5), 603.

65.

Putnam, R. (1995a).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65-78.

66.

Putnam, R. (1995b). Tuning in, tuning out: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PS: Political Science & Politics, 28(4), 664-683.

67.

Putnam, R.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The American Prospect, 4(13), 35-42.

68.

Swanda, J. R. (1978). Organizational behavior: systems and applications. Sherman Oaks, CA: Alfred Pub. Co.

69.

Walker, A. (2008). Commentary: The emergence and application of active aging in Europe.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21(1), 75-93.

70.

Weick, K. E. (1976). Educational organizations as loosely coupled syste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19.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