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직업소명의식과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파병 군인의 파병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Occupational Call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Anxiety of Korean Navies Dispatched Oversea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8, v.24 no.1, pp.63-77
https://doi.org/10.20406/kjcs.2018.2.24.1.63
박용욱 (연세대학교)
설정훈 (연세대학교)
손영우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파병 군인들의 심리적 정신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군 파병 군인을 대상으로 직업소명의식과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파병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8명의 해군 파병 군인을 대상으로 한국판 소명척도, 다차원적 지각된 사회적지지 척도, 상태불안 검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소명의식과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각각 군인들의 파병 불안을 유의미하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소명의식과 사회적지지가 파병 불안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났다. 직업소명의식이 높은 경우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정도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낮은 불안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직업소명의식이 낮은 경우 사회적지지가 높아짐에 따라 불안수준 또한 낮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파병 군인들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소명의식과 사회적지지의 긍정적 효과와 연구의 실무적 함의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파병 군인, 파병 불안, 직업소명의식, 지각된 사회적지지, navy, occupational calli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xie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improve psychological health of Korean navies who are dispatched oversea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navies' occupational calli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ir interaction on anxiety. One hundred thirty-eight dispatched navies were recruited, and they completed the Korean calling scale, multifaceted social support scale, and anxiety scale-Y form. Results show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dispatch, those who had a higher level of occupational calling and social support experienced a lower level of anxiety respectively before they were dispatched overseas. Furthermore,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occupational calling and social support on anxiety confirms tha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nxiety is more prominent for those who have a lower level of occupational calling.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study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파병 군인, 파병 불안, 직업소명의식, 지각된 사회적지지, navy, occupational calli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xiety

참고문헌

1.

강성록, 김세훈, 이현엽 (2014). 베트남전 참전 제대군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대한 예측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 35-50.

2.

김정희 (2001). 서부사하라 국군의료지원단원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희연, 채규만 (2010). 심리도식, 가족응집성-적응성, 스트레스 취약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인지행동치료, 10, 39-55.

4.

나기석 (1997). 빈곤 노인의 사회적지지 체계에 관한 연구: 강서구 영구임대 아파트 거주 생활보호 대상 노인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박영주, 정원철 (2006). 병사의 군 부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2, 73-93.

6.

설정훈, 박수현 (2015). 해군 장병의 스트레스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 553-578.

7.

심예린, 유성경 (2012).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 847-872.

8.

어유경, 정안숙, 박수현 (2015). 여자 대학생의 일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 571-589.

9.

우정희 (2012). 해외파병군인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5, 72-103.

10.

유치성, 박인조, 손영우 (2016). 군 간부들의 학습된 무력감, 우울, 조직몰입 및 직무열의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소명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 431-453.

11.

이경은, 하은혜 (2011). 청소년 사회불안에 대한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1, 39-57.

12.

이기은 (2006). 연구원의 경력몰입과 직무태도간의 관계에서 개인특성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19, 1419- 1440.

13.

이주희, 김정규 (2015). 자기존중감 및 통제소재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 299-315.

14.

이지영 (2007). 해외 파병 부대원의 스트레스 유형이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정인, 손영우 (2016). 군 초급간부의 관계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어적 침묵과 소명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3, 303-321.

16.

장재현, & 이기학 (2013). 외상경험에 의한 심리적 어려움과 회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천안함 피격사건 생존장병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 1145-1164.

17.

정효현 (2003). 아프가니스탄 파병 한국군의 파견 명분 인식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상관성 연구-동의부대 제3진․다산부대 제 1진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7, 99-126.

18.

하유진, 최예은, 은혜영, 손영우 (2014). 한국판 다차원적 소명척도 (MCM-K) 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 191-220.

19.

한덕웅, 전겸구,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 60-78.

20.

한인영, 이지영, 구승신 (2009). 군 병사들이 복무 중 경험한 외상적 사건과 PTSD 증상, 우울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 군사회복지학, 2, 25-51.

21.

한태근, 정윤수 (2009). PKO 활동과 전장 스트레스관리에 관한 연구-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09, 35-62.

22.

홍규덕 (2008). 북한의 핵 모호성 유지에 따른 우리의 대응전략. 전략연구, 15, 180-220.

23.

Aiken, L. S., West, S. G., &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24.

Beehr, T. A., Bowling, N. A., & Bennett, M. M. (2010). Occupational stress and failures of social support: when helping hurt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5, 45.

25.

Bellah, R. N., Madsen, R., Sullivan, W. M., Swidler, A., & Tipton, S. M. (1985). Habits of the heart. New York: Harper & Row.

26.

Brewin, C. R., Andrews, B., & Valentine, J. D. (2000).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 748-766.

27.

Connor, K. M., Vaishnavi, S., Davidson, J. R., Sheehan, D. V., & Sheehan, K. H. (2007). Perceived stress in anxiety disorders and the general population: A study of the Sheehan stress vulnerability scale. Psychiatry Research, 151, 249-254.

28.

Davidson, J. C., & Caddell, D. P. (1994). Religion and the meaning of work.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33, 135-147.

29.

Dik, B. J., & Duffy,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 424-450.

30.

Dik, B. J., Eldridge, B. M., & Duffy, R. D.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and brief calling scale(BC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 242-263.

31.

Dik, B. J., Eldridge, R. D., & Steger, M. F. (2008, August). Development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32.

Duffy, R. D., Allan, B. A., & Bott, E. M. (2012).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vestigating mediators and moderato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 469-479.

33.

Engel, G. L. (1978). Psychologic stress, vasodepressor (vasovagal) syncope, and sudden death. Annuals of Internal Medicine, 89, 403-412.

34.

Hagmaier, T., & Abele A. E. (2012). The multidimensionality of calling: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 bi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81, 39-51.

35.

Holahan, C. J., & Moos, R. H. (1991). Life stressors, personal and social resources, and depression: A 4-year structural model.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 31-38.

36.

Mathews, A., & MacLeod, C. (1985). Selective processing of threat cues in anxiety stat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3, 563-569.

37.

Peterson, C., Park, N., Hall, N., & Seligman, M. E. P. (2009). Zest and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0, 161-172.

38.

Pietrzak, R. H., Johnson, D. C., Goldstein, M. B., Malley, J. C., & Southwick, S. M. (2009).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ostdeployment social support protect against traumatic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soldiers returning from Operations Enduring Freedom and Iraqi Freedom. Depression and Anxiety, 26, 745-751.

39.

Sippel, L., Pietrzak, R., Charney, D., Mayes, L., & Southwick, S. (2015). How does social support enhance resilience in the trauma-exposed individual? Ecology and Society, 20, 10.

40.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41.

Steger, M. F., Pickering, N. K., Shin, J. Y., & Dik, B. J. (2010). Calling in work: Secular or sacred?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8, 82-96.

42.

Viswesvaran, C., Sanchez, J. I., & Fisher, J. (1999).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work stress: A meta-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14-334.

43.

Wrzesniewski, A., McCauley, C., Rozin, P., & Schwartz, B. (1997). Jobs, careers, and callings: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21-33.

44.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