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광주ㆍ전남 출신 대학생이 5ㆍ18민주화운동에 대해 지니는 암묵적 표상

The Implicit Representation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c Movemen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7, v.23 no.4, pp.497-525
https://doi.org/10.20406/kjcs.2017.11.23.4.497
배재창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5ㆍ18민주화운동 이후 광주와 전남지역에서 성장한 대학생들이 5ㆍ18과 관련하여 민주공동체처럼 긍정적인 내용과 광주시민들의 희생처럼 부정적인 내용 중 어떤 내용을 더 빠르게 떠올리는지 암묵적 차원에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광주출신 대학생들은 광주시민들이 희생당하는 모습을 담고 있는 사진들이 5ㆍ18과 연합된 조건에서 더욱 빠르게 반응하였다. 하지만 전남출신 대학생들은 민주공동체와 관련된 사진들이 5ㆍ18과 연합된 조건에서 반응이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조금 더 빨랐다. 아울러 두 지역 대학생들의 5ㆍ18에 대한 암묵적 평가를 측정해본 결과, 광주출신 대학생들은 5ㆍ18을 조금 부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전남출신 대학생들은 5ㆍ18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광주출신 대학생들은 사건의 피해자와 같이 5ㆍ18에 대해 외상에 가까운 암묵적 표상을 지니며, 5ㆍ18을 참담한 사건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남출신 대학생들은 5ㆍ18을 잘 모르지만 그 희생이 갖는 가치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keywords
5․18민주화운동, 외상, 민주공동체, 암묵적 표상, 암묵적 평가

Abstract

This study verified whether university students of Gwangju and Jeollanam-do recall negative information like violence and death faster than positive information like democratic community about the May 18 Gwangju democratic movement in implicit dimension. University students of Gwangju responded faster when the May 18 combined with the pictures of negative content. However, university students of Jeollanam-do responded marginally faster when the May 18 combined with the pictures of positive content. In addition, the students performed implicit evaluation test towards the May 18. The students of Gwangju showed a slightly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May 18, while the students of Jeollanam-do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May 18. This study acquires significance because it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of Gwangju have an implicit representation similar to trauma and a terrible feeling about the May 18.

keywords
Gwangju democratic movement, trauma, democratic community, implicit representation, implicit evalu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17-09-15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7-11-16

참고문헌

1.

권용철, 유성은 (2013).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과 관련된 인지적, 정서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649-665.

2.

권해수, 김소라 (2006).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 외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95-518.

3.

김용철 (2015).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민주화. 민주주의와 인권, 15(3), 275-320.

4.

나간채 (2007). 5월운동에 있어서 의미틀의 형성과 발전. 지역사회연구, 15(3), 3-21.

5.

나은영 (1998). 강한 태도의 편파적 처리과정을 포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이중처리과정 이론의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2(1), 37-70.

6.

나은영, 권준모 (2002). 암묵적 연합 검사에 의한 지역 편견의 강도 측정 및 응용: 사투리 음성자극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51-74.

7.

민지원, 주혜선, 안현의 (2016). 재난 자원봉사인력의 소진 양상에 따른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세상에 대한 신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3), 363-385.

8.

배재창 (2016). 5․18민주화운동이 광주지역 대학생에게 미치는 암묵적 영향. 민주주의와 인권, 16(4), 75-102.

9.

배재창, 안상수, 한규석 (2004). 암묵적 연합검사를 통한 지역정체감 연구: 광주의 사례.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41-49.

10.

배재창, 한규석 (2015). 우리성과 개별성 점화가 대인평가에 미치는 영향의 암묵적 측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4), 39-62.

11.

서지원 (2016). 투사/피해자 이중 정체성과 인권운동에의 기여: 인도네시아 민주화 이행기 활동가 납치 사건의 경우. 민주주의와 인권, 14(1), 191-232.

12.

안종철 (2001). 광주민주화운동과 무장투쟁. 한국동북아논총, 20, 275-299.

13.

양야기 (2014). 5,18민주화 운동과 광주지역에서의 간호활동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20(1), 82-94.

14.

오수성 (1990). 광주5월민중항쟁의 심리적 충격. 광주5월 민중항쟁, pp. 187-209.

15.

오수성, 신현균 (2008). 5․18 피해자들의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스트레스, 심리건강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595-611.

16.

오수성, 신현균, 조용범 (2006).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59-75.

17.

이숙의, 진두현 (2017). 코퍼스를 이용한 ‘호남’과 ‘영남’ 지역신문에서의 ‘5.18’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한국어학, 76, 83-112.

18.

이재의 (2005). 1980년 광주: 10일 간의 민주공동체. 기억과 전망, 10, 20-35.

19.

이흥표, 최윤경, 이재호, 이홍석 (2016). 세월호 뉴스 노출을 통한 간접 외상의 심리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3), 411-430.

20.

정근식 (2007). 광주민중항쟁에서의 저항의 상징 다시 읽기: 시민적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16, 143-183.

21.

정홍주, 오수성, 이영호, 박중규, 신현균, 김석웅, 정명인 (2015). 한국전쟁전후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자 및 가족의 심리적 트라우마. 민주주의와 인권, 15(3), 385-414.

22.

조진태 (2005). 광주는 아프다. 기억과 전망, 10, 36-51.

23.

Baccus, J. R., Baldwin, M. W., & Packer, D. J. (2004). Increasing implicit self-esteem through classical conditioning. Psychological Science, 15(7), 498-502.

24.

Bargh, J. A. (1989). Conditional automaticity: Varieties of automatic influence in social perception and cognition. In J. S. Uleman & J. A. Bargh (Eds.), Unintended thought: The limits of awareness, intention and control (pp. 3-51). New York: Guilford Press.

25.

Blair, I. V., Ma, J. E., & Lenton, A. P. (2001). Imagining stereotypes away: the moderation of implicit stereotypes through mental image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5), 828-841.

26.

Elwood, L. S., Mott, J., Lohr, J. M., & Galovski, T. E. (2011). Secondary trauma symptoms in clinicians: A critical review of the construct, specificity, and implications for trauma-focused treatment. Clinical Psychology Review, 31(1), 25-36.

27.

Fazio, R. H. (1990). Multiple processes by which attitudes guide behavior: The MODE model as an integrative framework.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3, pp.75-109). New York: Academic Press.

28.

Fazio, R. H., & Williams, C. J. (1986). Attitude accessibility as a moderator of the attitude -perception and attitude-behavior relations: An investigation of the 1984 presidential ele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3), 505-514.

29.

Gewirtz, J. C., & Davis, M. (2000). Using Pavlovian higher-order conditioning paradigms to investigate the neural substrates of emotional learning and memory. Learning & Memory, 7(5), 257-266.

30.

Greenwald, A. G., & Banaji, M. R. (1995). Implicit social cognition: Attitudes, self-esteem, and stereotyp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2(1), 4-27.

31.

Greenwald, A. G., & Farnham, S. D. (2000). Using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to measure self-esteem and self-conce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6), 1022- 1038.

32.

Greenwald, A. G., McGhee, D. E., & Schwartz, J. L. K. (1998).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licit cognition: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6), 1464-1480.

33.

Greenwald, A. G., Nosek, B. A., & Banaji, M. R. (2003). Understanding and using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 An improved scoring algorith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197-216.

34.

Jones, E. E., & Nisbett, R. E. (1972). The actor and the observer: Divergent perceptions of the causes of behavior. In E. E. Jones, D. E. Kanouse, H. H. Kelley, R. E. Nisbett, S. Valins, & B. Weiner (Eds.), Attribution: Perceiving the causes of behavior (pp. 79-94). Morristown, NJ: General Learning Press.

35.

Karpinski, A., & Steinman, R. B. (2006). The Single Category Implicit Association Test as a Measure of Implicit Social 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1), 16-32.

36.

Kiefer, A. K., & Sekaquaptewa, D. (2007). Implicit stereotypes and women’s math performance: How implicit gender-math stereotypes influence women’s susceptibility to stereotype threa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3(5), 825-832.

37.

Lane, K. A., Goh, J. X., & Driver-Linn, E. (2012). Implicit science stereotyp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academic participation. Sex Roles, 66(3), 220-234.

38.

McNally, R. J., Hornig, C. D., Otto, M. W., & Pollack, M. H. (1997). Selective encoding of threat in panic disorder: Application of a dual priming paradigm.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5(6), 543-549.

39.

Nock, M. K., Park, J. M., Finn, C. T., Deliberto, T. L., Dour, H. J., & Banaji, M. R. (2010). Measuring the suicidal mind: implicit cognition predicts suicidal behavior. Psychological Science, 21(4), 511-517.

40.

Nosek, B. A., Smyth, F. L., Hansen, J. J., Devos, T., Lindner, N. M., Ranganath, K. A., Smith, C. T., Olson, K. R., Chugh, D., Greenwald, A. G., & Banaji, M. R. (2007). Pervasiveness and correlates of implicit attitudes and stereotypes.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18(1), 36-8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