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과 부모 세대의 노부모 부양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elderly parents care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7, v.23 no.3, pp.409-449
https://doi.org/10.20406/kjcs.2017.08.23.3.409
박영신 (인하대학교)
박영자 (인하대학교)
남인순 (인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청소년과 부모 세대의 노부모 부양인식을 탐구하는데 있다. 더불어 세대 집단별 노부모부양효능감과 노부모 부양태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가 청소년 자녀의 노부모부양효능감과 노부모 부양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총 2,460명(청소년 820, 부 820, 모 820)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 부양할 때 어려움에 대해 청소년은 경제적 문제를, 부모는 의견 차이를 가장 대표적으로 제시하였다. 노부모를 부양할 때 좋은 점으로 청소년은 가정화목을, 부모는 자녀교육에 도움 됨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노부모 부양의 대표적 행동으로 청소년은 모시고 사는 것, 부모는 보살펴드림의 반응률이 가장 높았다. 노부모 부양의 좋은 방법으로 청소년과 부모 모두 마음 편하게 해 드림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나, 그 다음으로 청소년은 모시고 사는 것을, 부모는 대화함을 많이 응답하였다. 노부모를 부양하지 않았을 때 드는 마음으로는 청소년과 부모 모두 죄송함이 가장 대표적이었다. 둘째, 청소년과 부모 세대의 노부모 부양 관련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 집단이 청소년 집단보다 노부모부양효능감이 낮고, 노부모 부양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셋째, 청소년의 노부모부양효능감과 노부모 부양태도는 어머니의 노부모부양효능감의 영향을 받았다.

keywords
Perception of elderly parents care,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ttitude towards caring for elderly parents, generational differences, indigenous psychology, 노부모 부양인식, 노부모부양효능감, 노부모 부양태도, 세대차, 토착심리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nature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 of elderly parents care.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s the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n term of their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Further, an examination of the parental influence upon their children's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There were 2,460 participants in this study, with 820 adolescents, and 820 fathers and 820 m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caring for elderly parents”,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adolescents was financial difficulties, while for parents differences in opinions. When it came to “the best aspect of caring for elderly parents”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adolescents was harmonious family, while for parents good for children's upbringing. When it came to “actual acts (behavior) of elderly parents care”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adolescents was living together with their elderly parents, while for parents looking after their elderly parents. When it came to “the best method of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both adolescents and parents was providing a peace-of-mind for their elderly parents, followed by the second most frequent response of adolescents living together with their elderly parents, and for parents talking with their elderly parents. When it came to “how one feels when not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the most representative response for both groups was a feeling of indebtedness. Second, for the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the parents showed a lower level of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nd a higher level of negative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when compared to the adolescents. Third, for the parental influence upon the adolescents'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the only significant influence found was the mothers'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keywords
Perception of elderly parents care, elderly parents care self-efficacy, attitude towards caring for elderly parents, generational differences, indigenous psychology, 노부모 부양인식, 노부모부양효능감, 노부모 부양태도, 세대차, 토착심리

참고문헌

1.

김민희, 홍주연 (2010a). 배우자 부양스트레스의 이해: 심리통합모델의 제안.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389-414.

2.

김민희, 홍주연 (2010b). 대학생들의 부양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성역할 특성과 가족주의 가치관.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529-546.

3.

김윤정, 최유호 (2007). 성인자녀의 부모부양동기에 관한 연구: 성별 및 부양자-노부모 관계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313-334.

4.

김의철, 박영신, 김명언, 이건우, 유호식 (2009). 청소년, 성인, 노인 세대의 차이와 생활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119-145.

5.

김정현, Knight (2009). 문화적 가치가 수발부담 및 사회적 지지를 통해 남가주 한인 가족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문화적 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적용하여. 한국노년학, 29(2), 377-394.

6.

김지연, 도영임 (2014).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차이: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영향과 가치, 부모자녀관계, 규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3), 263-280.

7.

김해란, 김윤정 (2011). 중국 가족 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전통적 가족부양 가치의 현재적 양상. 동방학, 20, 277- 309.

8.

김혜경, 서경현 (2016). 도시거주 여성 독거노인의 삶에 대한 건강심리학적 차원의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2), 431-460.

9.

나은영 (2002). 탈문질주의 가치와 이동전화 이용 행동 및 태도에서의 세대차.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3(1), 17-32.

10.

문정희, 안정신 (2014). 노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양가감정 탐색. 한국노년학, 34(2), 409-429.

11.

박경숙 (2000).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34, 621-647.

12.

박영신, 김의철 (2004a).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토착심리탐구. 파주: 교육과학사.

13.

박영신, 김의철 (2004b). 한국의 청소년문화와 부모자녀관계: 토착심리탐구. 파주: 교육과학사.

14.

박영신, 김의철 (2005). 청소년과 성인 세대의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인식 및 신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3), 91-119.

15.

박영신, 김의철 (2013). 한국인의 성취의식: 토착심리탐구. 파주: 교육과학사.

16.

박영신, 김의철 (2014).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토착심리탐구. 파주: 교육과학사.

17.

박영신, 김의철 (2017). 한국인의 스트레스: 토착심리탐구(개정판). 파주: 교육과학사.

18.

박영신, 김의철, 박선영 (2013). 성인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가정,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0(2), 153- 184.

19.

박영신, 김의철, 신영이, 이임순 (2014). 청소년의 효도에 대한 지각과 학업성취: 부모 정서적 지원과 부모관계효능감의 영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1(10), 415-443.

20.

박영신, 김의철, 안자영, 이임순 (2014). 자녀가 지각한 효도의 구성개념과 형성: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부모관계효능감이 자녀의 효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8(3), 421-454.

21.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 (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37-59.

22.

박영신, 김의철, 한기혜 (2009). 부모가 지각한 자녀 효도의 구성개념 및 영향: 자녀양육효능감과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6(3), 203-241.

23.

박영신, 김정희, 전성숙 (2016). 가족형태별 중년 성인의 노부모 부양인식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3), 455-485.

24.

박영신, 이임순, 이상희, 김태우 (2015).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9(3), 505-542.

25.

변미리 (2015). 도시에서 혼자 사는 것의 의미: 1인 가구 현황 및 도시정책 수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3), 551-573.

26.

서경현, 김영숙 (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115-137.

27.

서경현, 천경임 (2009).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사회지원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3), 339-357.

28.

서수균, 신현희, 안정신, 정영숙 (2015). 중년자녀가 지각한 노부모와의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2), 1-18.

29.

서수균, 이윤희, 안정신, 정영숙 (2013). 한국 노인이 지각한 부부 및 성인자녀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389-409.

30.

성태제 (2010). 현대교육평가(3판). 서울: 학지사.

31.

유연지, 조현주, 권정혜 (2008).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 옹서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4), 433-451.

32.

이여봉 (2011). 부양지원과 세대 갈등: 딸과 친정부모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가족과 문화, 23(1), 41-76.

33.

이원준, 신성자 (2015). 노부모 수발에 대한 정서적 규범적 헌신과 부모자녀 친밀성의 세대간 전승효과: 부자, 모녀관계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8(1), 125-154.

34.

장성숙 (2007). 가족주의와 현실역동상담의 일체적 관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23-537.

35.

장휘숙, 김나연 (2011). 노년기 고독과 성격변인들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2), 1-19.

36.

전미애 (2006). 효 가치관이 가족 간병인의 적응양식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6(4), 665-680.

37.

전혜성, 김미영 (2012). 중년기의 노부모 부양의식 및 부양행동평가와 개인의 노후설계 간의 관계성 탐색. 보건사회연구, 32(2), 206-231.

38.

정규형, 박서영 (2014).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이 개인의 노후준비정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3, 115-147.

39.

정동하 (2009).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부모-조부모 친밀감 및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29- 39.

40.

정태연 (2001). 대학생 자녀와 그 부모가 평가한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2), 1-19.

41.

조성남 (2006). 노인부모부양에 관한 기혼자녀세대의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3), 139-157.

42.

최정혜 (2007). 기혼교사의 노부모부양의식과 부양행동.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2), 169-182.

43.

최정혜 (2009). 한국과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의 질과 부양행동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9(2), 611-627.

44.

최혜지 (2004). 손자녀 양육형태가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31-49.

45.

황상민 (2000). 사이버 공간의 경험에서 나타난 부모세대와 청소년 세대집단 간의 의식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2), 145-158.

46.

황상민, 양진영 (2002). 한국사회의 세대집단에 대한 심리학적 탐색: 전이적 공존 관점을 통한 대학생 집단의 세대 이미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3), 75-93.

47.

Abell, N. (2001). Assessing willingness to care for persons with AIDS: Validation of a new measur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11, 118-130.

48.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49.

Bastawrous, M. (2013). Caregiver burden: A critical discu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0(3), 431-441.

50.

Bryant, L., & Lim, S. (2013). Australian-Chinese families caring for elderly relatives. Ageing & Society, 33, 1401-1421.

51.

Chun, M., Knight, B. G., & Youn, G. (2007). Differences in stress and coping models of emotional distress among Korean, Korean-American and white-American caregivers. Aging and Mental Health, 11, 20-29.

52.

Cooney, T. M., & Dykstra, P. A. (2011). Family obligations and support behavior: A United States-Netherlands comparison. Ageing & Society, 31, 1026-1050.

53.

Daatland, S. O., Herlofson, K., & Lima, I. A. (2011). Balancing generations: On the strength and character of family norms in the West and East of Europe. Ageing & Society, 31, 1159-1179.

54.

Dilworth-Anderson, P., Goodwin, P. Y., & Williams, S. W. (2004). Can culture help explain the physical health effects of caregiving over time among African American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59B, S138-S145.

55.

Fingerman, K. L., Kim, K., Tennant, P. S., Birditt, K. S., & Zarit, S. H. (2016). Intergenerational support in a daily context. Gerontologist, 56(5), 896-908.

56.

Fingerman, K. L., Pillemer, K. A., Silverstein, M., & Suitor, J. (2012). The baby boomers'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Gerontologist, 52(2), 199-209.

57.

Funk, L. (2015). Constructing the meaning of filial responsibility: Choice and obligation in the accounts of adult children. Families Relationships and Societies, 4(3), 383-399.

58.

Guberman, N., Lavoie, J. P., Blein, L., & Olazabal, I. (2012). Baby boom caregivers: Care in the age of individualization. Gerontologist, 52(2), 210-218.

59.

Igarashi, H., Hooker, K., Coehlo, D. P., & Manoogian, M. M. (2013). “My nest is full:”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t mid life. Journal of Aging Studies, 27(2), 102-112.

60.

Igel, C., & Szydlik, M. (2011). Grandchild care and welfare state arrangements in Europe.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21(3), 210-224.

61.

Isengard, B., & Szydlik, M. (2012). Living apart or together? Coresidence of elderly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in Europe. Research on Aging, 34(4), 449-474.

62.

Kim, U., & Park, Y. S. (2004). Indigenous psychologies. Spielberger, C. (Ed.).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vol 2. 263-269. Oxford: Elsevier Academic Press.

63.

Kim, U., & Park, Y. S. (2006).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in relational cultures: The role of self, relational and collective efficacy.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267-285.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64.

Kim, U., Yang, K. S., & Hwang, K. K. (2006).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New York: Springer.

65.

Knight, B. G., Robinson, G. S., Longmire, C. F., Chun, M., Nakao, K., & Kim, J. (2002). Cross cultural issues in caregiving for persons with dementia: Do familism values reduce burden and distress? Aging International, 27, 70-94.

66.

Losada, A., Marquez-Gonzalez, M., Penacoba, C., & Romero-Moreno, R.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giver Guilt Questionnair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2(4), 650-660.

67.

Merz, E. M., Schulze, H. J., & Schuengel, C. (2010). Consequences of filial support for two generations: A narr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Journal of Family Issues, 31(11), 1530-1554.

68.

Nair, E. (2011). Urban career women and stress in southeast Asia.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8(2), 62-65.

69.

Paulson, D., & Bassett, R. (2016). Prepared to care: Adult attachment and filial obligation. Aging & Mental Health, 20(11), 1221-1228.

70.

Schwarz, B., Albert, I., Trommsdorff, G., Zheng, G., Shi, S., & Nelwan, P. R. (2010). Intergeneration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 comparison of Chinese, Indonesian, and German elderly mother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1(5-6), 706-722.

71.

Tsutsui, T., Muramatsu, N., & Higashino, S. (2014). Changes in perceived filial obligation norms among coresident family caregivers in Japan. Gerontologist, 54(5), 797-807.

72.

Watt, M. H., Perera, B., Ostbye, T., Ranabahu, S., Rajapakse, H., & Maselko, J. (2014). Care-giving expectations and challenges among elders and their adult children in Southern Sri Lanka. Ageing & Society, 34(5), 838-858.

73.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42726 박종욱 (2014).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 2017.7.1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