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비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심리적 특성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for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Never married Choic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7, v.23 no.2, pp.183-214
https://doi.org/10.20406/kjcs.2017.05.23.2.183
이정하 (중앙대학교)
박정윤 (중앙대학교)
윤나나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목적은 비혼 남녀들을 대상으로 결혼에 대한 생각과 비혼 선택 이유에 대한 심층면접 내용을 분석하여 비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장기적으로 결혼의향이 없다고 밝힌 9명의 20대 중반에서 30대 후반 남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을 분석한 결과 2개의 영역, 10의 하위영역, 2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그 연구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결혼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결혼에 대한 기대가 없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부모의 가부장적인 역할수행에 대해 자녀로서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었으며, 부모처럼 살고 싶지 않음이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결혼생활을 부모로부터 분리하여 바라보고 있지 못함도 보고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친밀한 대상과의 관계형성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반복되는 관계갈등 패턴으로 인해 배우자나 결혼에 대해 기대를 갖는 것이 더욱 어려웠음이 나타났다. 넷째, 참여자들이 결혼하지 않으려는 선택에 있어 경험 회피적 성향과 개별성 추구 성향이라는 심리적 측면이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결혼생활에 대한 실패를 예견하였고, 비혼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예상하는 불편한 감정과 고통들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시도임을 보고하였다. 또한 타인과의 연결(연합성)보다 개별성을, 집단적 가치보다 개인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부모나 주변 사람들의 결혼생활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는 비혼의 유형에 있어 소극적 요인에 더 가깝다고 보이는 바, 적극적 비혼 요인에 해당되는 대상들의 특성이 어떠한지 대해 차후의 연구로서 기대해 본다.

keywords
never married men and women, marriage intenti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QR, 비혼 남녀, 결혼 의향, 심리적 특성,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ffecting never married men and women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 of in-depth interviews about the idea of marriage and the reason for never married choice.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9 men and women aged mid-20s to late 30s who said to choose never married life for a long time, and then the content of interview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of in-depth interview, it was derived into 2 areas, 10 sub-areas, and 25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research participants negatively recognized the marriage and had unrealistic expectation rather than no expectation for marriage. Secondly,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elt negative feelings about their parents' patriarchal role, and they did not want to live like their parents. They also reported that they did not see their marriage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Thirdly,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elt difficulty in forming relationships with intimate person, and it became more difficult to have expectations about spouses and marriage due to repeated relationship conflict patterns. Fourthly,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psychological asp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eeking for individuality in terms of never married choice.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redicted the failure of married life, and reported that they were trying to prevent uncomfortable feelings and sufferings by choosing never married life. Also they reported that individuality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onnection with others(togetherness) and individual valu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ollective valu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howed negative evaluation or had negative influences on the marriage life of parents and acquaintances. This is more likely to be a passive factor in never married choice, so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factors in never married choice.

keywords
never married men and women, marriage intenti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QR, 비혼 남녀, 결혼 의향, 심리적 특성,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

참고문헌

1.

강은영 (2010). 자발적 비혼 여성에 대한 자전적 생애사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경기웅, 장성숙 (2015).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차원적인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6(2), 55-66.

3.

고선강, 어성연 (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4.

고재원 (2011). 고학력 남성 미혼자들이 결혼을 늦추는 심리사회적인 요인 질적 탐색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원 (2005). 질적 연구를 통한 독신동기요인과 실태 조사. 문명연지, 14, 121-157

6.

김교현, 김원식 (2001).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체계(BAS/BIS)척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19-37.

7.

김승권, 김유경, 조애저, 김혜련, 임성은 (2009). 2009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90.

8.

김승권, 박종서, 김유경, 김연우, 최영준, 손창균, 윤아름 (2012).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27.

9.

김예리 (2009). 가족생태이론에 기초한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관련 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은영, 이지은 (2015). 대학생들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3), 345-358.

11.

김정석 (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12.

김중백 (2013).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차이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연구. 경희대학교 신진연구. 1-24.

13.

김현실 (2010). Bridge33+세대의 애착 형성 및 자기분화 향상을 위한 기독교 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혜영, 선보영, 김상돈 (2010)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77.

15.

나보영, 정혜정 (2008).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분화 및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155- 168.

16.

남정미 (2006).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스트레스 수준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노미화, 이인수 (2011).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1), 77-101.

18.

류연희 (2007). 고학력 미혼여성의 결혼관에 나타난 주체성 모순의 양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은영 (2002). 애착이론과 자아분화이론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반석우 (2014). 대학생의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백영수 (2002). 부모의 부부간 갈등이 청년기 자녀의 결혼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천안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심경미 (2003). 비혼(非婚) 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양명숙 (1996). 예비 부모세대의 결혼관과 자녀관 그리고 성역할관에 대한 연구- 대전 지역의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4(2), 167-181.

24.

오영아 (2009).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검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원아름, 박정윤 (2016). 이성교제 중인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및 이성교제 관계의 질과 결혼이미지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24(1), 145- 166.

26.

유홍준, 현성민 (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27.

윤병수 (2007). 접근성향과 회피성향에 따른 정서자극에 대한 평가와 정신생리적 반응 차이.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67-982.

29.

이경선, 이지영, 장진이 (2013). 부모와의 애착과 중독적인 인터넷 사용의 관계: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91-106.

30.

이삼식 (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원, 26(2), 95-140.

31.

이삼식, 박종서, 이소영, 오미애, 최효진, 송민영 (2015).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44.

32.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신인철, 도세록, 조숙경, 강주희 (2005). 2005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12.

33.

이삼식, 최효진 (2010). 생애주기변화와 출산행태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교육, 경제활동 및 결혼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22.

34.

이선미, 박기환 (2013). 행동활성화/억제체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3(3), 407-422.

35.

이정은, 조용래 (2007). 걱정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일반화된 불안증상 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939-961.

36.

이지은 (1996). 청년기자녀가 지각한 부-모간 상호작용과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이 자녀의 결혼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7.

이창순 (2012). 한국사회 비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과학연구. 38(3), 49-71.

38.

임선영, 박주희 (2014).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77-193.

39.

장현숙 (2002). 독신의 심리적 성향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185-195.

40.

정도현 (2015). 부모와 동거중인 40대 미혼여성의 결혼지연과 정서적 독립에 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정윤경․최지현 (2010), 부모의 부부관계의 질과 자녀세대의 부부 적응 및 결혼에 대한 가치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여성, 15(3), 331-353.

42.

조명현 (2009). 접근동기와 회피동기에 따른 자기중심성 집단의 성격적, 적응적 특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조성호, 변수정 (2014). 한국과 일본 미혼인구의 결혼 및 자녀양육에 대한 태도. Issue & Focus, 267, 1-8.

44.

조영미, 이희경 (2013).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2), 1227- 1245.

45.

조용래, 채숙희, 최연숙 (2009). 우울과 불안증상 및 안녕감에서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 주의 자각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135-1154.

46.

조은수 (2007).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이 결혼관 및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조호리 (2009). 성인초기 미혼남녀의 부모간의 갈등과 자기분화가 결혼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진미정, 정혜은 (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한국인구학, 33(3), 31-51.

49.

차정화, 전영주 (2002). 이성교제 커플의 원가족 건강성과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39-57.

50.

최새은, 옥선화 (2003). 30대 기혼남녀의 초혼연령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1), 53-73.

51.

하보란 (2012). 미혼여성의 결혼에 대한 태도 변화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한유정 (2013).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경험회피와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허재홍 (2008). 사회불안 발생과정에 자기효능감과 체험회피가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73-1189.

54.

홍은영 (2011). 미혼성인의 결혼의향 및 태도와 부모의존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56.

Buhr, K., & Dugas. M. J. (2008). Fear of emotions, experiential avoidance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worry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Manuscript submitted to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57.

Chuuingham, M., Thornton, A. (2006). The influence of parent’s marital quality on adult children’s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its alternatives: main and moderating effects. Demography, 43(4), 659-672.

58.

Forsyth, J. P., & Eifert, G. H. (2005). The mindfulness & acceptance workbook for anxiety: A guide to breaking free from anxiety, phobia & worry using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Oakland, CA: New Harbinger Publications.

59.

Gray, J. A. (1990). Brain systems that mediate both emotion and cognition. Cognition and Emotion, 4, 269-288.

60.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61.

Hill, C. E., Thompson, B. J., & Nutt-Williams, E.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62.

Michael E. Kerr & Murray Bowen (1988). Family Evaluation, Norton.

63.

Martin Rovers (2004). Family of Origin Theory, Attachment Theory and the Genogram: Developing a New Assessment Paradigm for Couple Therapy, Journal of Couple & Relationship Therapy, 3(4): 43-63.

64.

M. E. Kerr, M. Bowen. (2010).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Family Education]. 남순현, 전형주, 황영훈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8년에 출판)

65.

Michael. Nichols. (2009). 가족치료 개념과 방법.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송성자, 정문자, 김영애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9년에 출판)

66.

Pickering, A. D., Corr, P. J., & Gray, J. A. (1999). Interactions and reinforcement sensitivity theory: A theoretical analysis of Rusting and Larse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 357-365.

67.

Stein, P. J. (1981). Single Life: Unmarried Adult in Social Context. New York: st. Martin’s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