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의 사회문제에 대한 심리학 연구의 경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1994~2015) 게재 논문에 대한 분석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Research on the Social Issues in South Korea: Publications of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Culture and Social Issues](1994-201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7, v.23 no.2, pp.159-181
https://doi.org/10.20406/kjcs.2017.05.23.2.159
정안숙 (유타대학교아시아캠퍼스)
어유경 (연세대학교)
한규석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내의 심리학자들은 사회문제를 다루는 연구와 실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를 표방하여 발간되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이같은 노력을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1994년 발간 후 2015년까지 22년간 게재된 논문들을 연구유형, 연구내용, 연구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총 464편의 논문 중, 실증적 연구 337편의 연구내용은 대부분이 개인수준의 변인으로 다루어졌고, 이 중 개인을 둘러싼 공동체 또는 사회문화적 환경을 분석수준으로 다룬 연구들의 비중이 낮았다(예측변인 기준 29.1%). 사회적 소수자를 비롯한 특정성격의 인구보다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특정 직업군 일반인 포함 80.9%), 연구참가자의 인구학적 특성이 논문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연구들도 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한국인이 인식하는 사회문제로 지적된 주제들(한덕웅, 최훈석, 2006)에 대한 연구는 희소하여 일반인이 인식하는 사회문제와 연구되는 주제로서의 사회문제와는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대한국사회에서 심리학 및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가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체계적 개관, 사회문제, 사회적 소수자, 문화적 다양성, 심리학의 역할, Systematic review, social issues, social minority, cultural diversity, role of psychology

Abstract

The current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Culture and Social Issues] systematically. For the past 22 years from 1994 to 2015, 464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We analyzed the 337 empirical research articles, with respect to their objectives, predictor and outcome variables, and their methodologies. Most of the studies dealt with variables at individual level; some dealt with variables of the community and socio-cutural environment level. Many of the studies included general population, not necessarily social minoritie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literature on the social issues that Koreans perceive as social issues. Also it is noteworthy that many studies failed to specify suc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ge, gender, and locality of their participants in the articl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discussed the roles of psychology and of the Journal in the contemporary Korean context.

keywords
체계적 개관, 사회문제, 사회적 소수자, 문화적 다양성, 심리학의 역할, Systematic review, social issues, social minority, cultural diversity, role of psychology

참고문헌

1.

경제정의신철시민연합 (2013).『2013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결과. https://ccej.or.kr/index.php?document_srl=382892 에서 2016. 9. 25일 자료 얻음.

2.

교육부 (2016). 커리어넷 학과정보. http://www.career.go.kr/cnet/front/base/major/FunivMajorView. do?SEQ=330#tab2.에서 2016. 5. 2. 자료 얻음.

3.

김계원,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 (2011).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 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521-542.

4.

김영기, 박재규 (2002). 기업의 구조조정과 노동자의 건강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11, 41-66.

5.

김교헌, 김세진, 권선중 (2009). 태안 주민들의 재난 적응 과정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이론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189- 208.

6.

김정연, 이은주, 하은희 (2001). 산업재해 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3(2), 141-151.

7.

안전행정부 (2016). 연령별 인구현황. http://rcps.egov.go.kr:8081/ageStat.do?command=month에서 2016. 5. 2. 자료 얻음.

8.

정안숙 (2015). 현대한국사회에서 공동체심리학의 역할: 공동체심리학의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3), 667-683.

9.

정홍주, 오수성, 이영호, 박중규, 신현균, 김석웅, 정명인 (2015). 한국전쟁 전후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자 및 가족의 심리적 트라우마. 민주주의와 인권, 15(3), 385-414.

10.

오수성, 신현균 (2008). 5․18 피해자들의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스트레스, 심리건강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595-611.

11.

오수성, 신현균, 조용범 (2006).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59-75.

12.

이혜림, 김수현, 박은혜, 김나현, 최승원 (2014). 한국 임상 심리학의 연구 동향: 1967∼2013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 919-942.

13.

이혜민, 박주영, 김승섭 (2014).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과 사회과학, 36, 43-76.

14.

차재호 (1994). 사회문제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5- 19.

15.

차재호 (1996). 사회문제연구학회. 한국심리학회 50년사, 323-332. 교육과학사.

16.

최상진 (2011). 한국인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17.

최상진, 한규석 (2000). 문화심리학적 연구방법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23-144.

18.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5). 한국인의 종교: 1984-2014. 한국갤럽조사연구소.

19.

한국 문화 및 사회 문제 심리학회 (2016). http://www.kpacsi.or.kr 에서 2016. 2. 13. 자료 얻음.

20.

한규석, 최상진 (2008). 마음의 연구와 심리학: 마음의 문화심리적 분석에 바탕한 심리의 작용 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 281- 307.

21.

한규석 (2002). 한국적 심리학의 전개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67-95.

22.

한덕웅. (1994). 한국 사회 문제에 대한 국민의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20- 53.

23.

한덕웅. 최훈석 (2006). 한국 사회문제의 변화 - 지난 10년간 세 시점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1), 103-128.

24.

Arnett, J. J. (2008). The neglected 95%: Why American psychology needs to become less American. American sychologist, 63, 602-614.

25.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6.

Kloos, B., Hill, J., Dalton, J. H., Elias, M. J., & Wandersman, A. (2013). Community Psychology: Linki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dependence, KY: Wadsworth.

27.

Linkov, V. (2017). Psychology is not primarily empirical science: A comparison of cultures in the lexical hypothesis tradition as a failure of introspection. Integra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Science, in press. Available at http://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2124-016-9375-1

28.

Marku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29.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t: Why we think the way we do. New York: Free Press.

30.

Shweder, R. A., & Bourne, E. J. (1982). Does the concept of the person vary cross-culturally?. In A. J. Marsella & G. M. White (eds.), Cultural conceptions of mental health and therapy. Dordrecht, Holland: D. Riedel.

31.

Socicety for Psychological Study of Social Issues. (2016).http://www.spssi.org/index.cfm?fuseaction= Page.ViewPage&pageId=1977 에서 2016. 2. 13. 자료 얻음.

32.

Trickett, E. J., Espino, S. R., & Hawe, P. (2011). How are community interventions conceptualized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published account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9(5), 576-591.

33.

Weltfich, G. (1945). Introduc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1(1), 2-4.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