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공식낙인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낙인이론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Longitudinal Mediated Effects of Informal Labe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buse and Academic Achievement: Application of Labeling Theory wit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6, v.22 no.4, pp.567-593
https://doi.org/10.20406/kjcs.2016.11.22.4.567
이택호 (성균관대학교)
한윤선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낙인이론과 여러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욕설 및 폭력 등의 피학대경험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공식낙인이 매개하는지 종단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비공식낙인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 패널 2차년도~4차년도 데이터(N=3,168)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ARCL)로 분석을 진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은 비공식낙인에 종단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청소년의 비공식낙인은 학업성취에 종단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은 학업성취에 종단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이 경로를 비공식낙인이 부분 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예방의 방향성과 비공식낙인에 대한 예방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공식낙인을 받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했을 때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낙인이론을 검증한 경험적 뒷받침이 됨과 동시에 피학대경험과 비공식낙인의 지속적인 영향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 할 수 있게끔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keywords
Adolescent Abuse, Informal Labeling, Academic Achievement, Labeling Theor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피학대경험, 비공식낙인, 학업성취도, 낙인이론,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mediated effects of informal labe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buse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econd, third, and fourth wav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cohort (N=3,168)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The major longitudin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abu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ssociation with future informal labeling. Second, informal labeling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association with future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buse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informal label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adolescent abuse prevention. The need for education and prevention of informal labeling was discussed, as well as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experience of informal labeling. Furthermore, this study may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labeling theory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awareness on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adolescent abuse and informal labeling.

keywords
Adolescent Abuse, Informal Labeling, Academic Achievement, Labeling Theor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피학대경험, 비공식낙인, 학업성취도, 낙인이론,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참고문헌

1.

강민아, 김경아 (2006). 행정학 및 정책학 조사연구에서 결측치 발생과 처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행정학보, 40(2). 31-52.

2.

곽상은, 김춘경 (2013). 애착, 비공식낙인, 공격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0(1), 77-95.

3.

곽수란 (2014).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관계가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4(2), 1-24.

4.

권이종, 김용구 (2006). 청소년이해론. 서울: 교육과학사.

5.

권지은, 이은정, 노충래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방임과 학대가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교사관계 및 교우관계 매개효과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42, 29-54.

6.

김마리아 (2013).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이 자녀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117- 139.

7.

김민강 (2002). 부모의 학대가 아동의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민정, 김순석 (2014). 비공식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9(3), 127-147.

9.

김민주 (2016).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보영, 이지혜, 이수정, 김혜자, 이상민 (2015). 청소년의 비공식낙인과 공격성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1), 277-295.

11.

김선숙, 고미선 (2007).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18(3), 5-29.

12.

김소현 (2010). 다층성장모형(HLM)을 통한 청소년의 비공식적 낙인 변화 추정.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7(-), 7-31.

13.

김영숙 (2002). 청소년의 애착유형,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예수, 조붕환 (2009).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2(1), 87-103.

15.

김유정 (1994).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사업적 접근 방법: 신체적 학대를 중심으로.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김자영 (2014). 아동의 정서학대 경험 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4(3), 286-316.

17.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8.

김학령, 김정화, 정익중 (2011).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 검증-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6, 261-288.

19.

김현주, 이병훈 (2007).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영향. 한국인구학, 30(1), 125-148.

20.

김효수, 김성천, 유서구 (2010). 비공식낙인과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인과모형-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2(4), 185-206.

21.

문영숙, 한진숙 (2003). 지각된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건강학회지, 6(2), 93-102.

22.

박병선, 배성우 (2012).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 비교. 청소년복지연구, 14(3), 215-238.

23.

박영신, 김의철 (2000).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중․고․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학업성취,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8(2), 109-147.

24.

박영신, 김의철 (2003). 연구논문: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청소년학연구, 10(1), 139-165.

25.

박은미 (1999).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박재현, 강민수, 이진오, 강상조 (2005). 결측치 처리: 어떤 방법이 최선인가?. 한국체육학회지, 44(1). 385-398.

27.

박현선, 박지명, 김정은 (2014). 부모의 학대와 자녀의 공격성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빈곤 및 비빈곤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9, 1-24.

28.

박현수, 박성훈, 정혜원 (2009).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0(1), 227-251.

29.

박현정, 이진실 (2013).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부모자녀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6(1), 83-106.

30.

배현주 (2004). 결측값 대체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배화옥 (2004). 아동학대 재발생 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과권리, 8(4), 611- 628.

32.

배화옥 (2010).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 아동과 권리, 14(2), 193-217.

33.

보건복지부 (2014). 2013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34.

보건복지부 (2015). 2014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35.

서미경, 김홍석 (2013). 초기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과 일탈적 자아낙인의 관계-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성별 다집단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41, 161- 183.

36.

서영근 (2002). 학습성격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전략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서영숙 (2001). 청소년에 대한 가정폭력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송미령 (2005). 부모의 정서적 방임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송설희 (1994). 가족유형과 지각된 부모의 수용-거부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송인섭 (199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서울: 학지사.

41.

송인섭 (2001). 자아개념의 多元性과 학업성취간 관계. 사회 교육과학연구, 5(1), 3-17.

42.

신승례 (2008). 피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신이나, 손원숙 (2015).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효과. 교육심리연구, 29(3), 591-610.

44.

안병철 (2007).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업성취 불균등도 평가. 경제연구, 25(2), 21- 38.

45.

안형숙 (2014).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85-203.

46.

양애경, 조호제 (2009).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 8(3), 61-82.

47.

오연희 (2012). 피학대경험이 아동의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실천, 11, 95-117.

48.

오정석, 김성백, 박찬정 (2014).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계획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과학연구, 16(2), 119- 131.

49.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50.

우해봉, 윤인진 (2008). 불완전한 반복측정 자료의 보정방법. 조사연구, 9(2), 1-27.

51.

윤태희, 조영일 (2014). 부모-자녀 애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종단적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61-90.

52.

이경은, 이주리 (2008).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을 적용한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 간 종단관계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135-141.

53.

이만표 (2012). 중ㆍ고등학생의 성장과정 상처와 열등감, 성격장애,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4), 505-532.

54.

이명숙 (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행동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이명숙, 이규민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0(1), 167-193.

56.

이성식 (2007).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형사정책연구, 71, 1105-1127.

57.

이숙정 (2006). 중, 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20(1), 197-218.

58.

이순형, 이영미 (1993). 아동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불일치. 청소년학연구, 1(1), 59-75.

59.

이은아 (2010). 고등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의 의미.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0(12), 917-930.

60.

이재연, 홍강의, 조흥식, 이양희, 안동현, 곽영숙, 한지숙 (2000). 한국의 아동학대 실태에 관한 연구 I. 아동과권리, 4(2), 97-112.

61.

이정미, 양명숙 (2006). 청소년 전환기 문제행동: 가정 및 학교환경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7(3), 865-883.

62.

이종미 (2006). 치료적 음악활동이 피학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3.

이태준, 권정혜 (2007). 피학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377-389.

64.

이택호, 이석영, 한윤선 (2015). 체육시간과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131-158.

65.

이혜영 (2015).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교정복지연구, 37, 89-119.

66.

이호택 (2012).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청소년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논단, 11(1), 25-52.

67.

장은비, 최현주, 하규영, 박은혜, 이상민 (2014). 성별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비공식 낙인, 비행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185-205.

68.

장화정 (2004). 아동학대와 피해아동의 특성. 아동권리연구, 8(4), 777-792.

69.

전현정, 정혜원 (2015). 중학생의 시험불안,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관계-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7), 247-274.

70.

정미라, 원유미 (2001). 부모의 양육태도 및 의사결정유형이 초등학교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14(2), 65- 85.

71.

진혜민, 박병선, 배성우 (2011). 비공식낙인,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경로분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121-148.

72.

최경숙 (2006). 아동발달심리학. 서울:교문사.

73.

최수미, 조영일 (2013). 부정문항이 포함된 척도의 요인구조 및 방법효과 검증과 남녀 간의 차이 비교: Rosenberg 자기존중감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71-589.

74.

최수형 (2008). 청소년의 반복적 비행과정에서 나타난 비공식낙인의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9(3), 33-55.

75.

최유선, 손은령 (2015). 청소년이 지각한 대인관계 양상, 학업성취, 삶의 만족도의 관계-성별, 학교급별 비교. 상담학연구, 16(2), 233-247.

76.

추상엽, 임성문 (2007). 연구논문: 가족구조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부모소득, 학업지원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4(3), 135-157.

77.

한경혜, 김영희 (1999). 부모의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신체적 폭력실태와 관련요인: 개인과 가족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2), 27-39.

7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7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Ⅲ: 총괄보고서.

80.

한상철 (2004). 청소년학: 청소년 이해와 지도. 서울: 학지사.

81.

한지숙 (2005). 학대 및 격리보호가 아동의 심리행동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권리, 9(4), 765-787.

82.

허 균 (2014). 중학생의 성취가치와 학업성취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분석. 사고개발, 10(2), 113- 126.

83.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84.

홍세희, 박민선, 김원정 (2007).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21(1), 129-143.

85.

홍세희, 박언하, 홍혜영 (2006).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자아개념 변화 추정. 한국청소년연구, 17(2), 241-263.

86.

홍세희, 유숙경 (2004).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한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8(1), 381- 392.

87.

황은수, 성영혜 (2006). 아동의 학대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인식정서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9(2), 73-89.

88.

황혜자, 최윤화 (2003).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술저널, 22(1), 285-304.

89.

Adams, M. S., Robertson, C. T., Gray-Ray, P., & Ray, M. C. (2003). Labeling and delinquency. Adolescence, 38(149), 171-186.

90.

Agnew, R., & Brezina, T. (2012). Juvenile delinquency: Causes and contro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91.

Akers, R. L., & Sellers, C. S. (2011). 범죄학 이론. (민수홍 외 역). 파주: 나남.

92.

Arslan, G. (2016). Psychological maltreatmen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and self-esteem. Child Abuse & Neglect, 52(-), 200-209.

93.

Auslander, W., Sterzing, P., Threlfall, J., Gerke, D., & Edmond, T. (2016). Childhood abuse and aggression in adolescent girls involved in child welfare: the role of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Trauma,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1-10.

94.

Bartusch, D. J., & Matsueda, R. L. (1996). Gender, reflected appraisals, and labeling: A cross-group test of an interactionist theory of delinquency. Social Forces, 75(1), 145-176.

95.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96.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255.

97.

Cole, D. A., & Maxwell, S. E. (2003). Testing mediational models with longitudinal data: questions and tips in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2(4), 558-577.

98.

Coohey, C., Renner, L. M., Hua, L., Zhang, Y. J., & Whitney, S. D. (2011). Academic achievement despite child maltreatment: A longitudinal study. Child Abuse & Neglect, 35(9), 688-699.

99.

Deković, M., & Meeus, W. (1997). Peer relations in adolescence: Effects of parenting and adolescents' self-concept. Journal of Adolescence, 20(2), 163-176.

100.

Iwaniec, D. (2006). The emotionally abused and neglected child: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Chichester: Wiley-Blackwell.

101.

Kinard, E. (1979).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abuse for the child. Journal of Social Issues, 35(2), 82-100.

102.

Kline, R. B. (2010).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이현숙 외 역). 서울: 학지사.

103.

Lopez, M. A., & Heffer, R. W. (1998). Self-concept and soci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 victims of childhood physical abuse. Child Abuse & Neglect, 22(3), 183-195.

104.

Matsueda, R. L. (1992). Reflected appraisals, parental labeling, and delinquency: Specifying a symbolic interactionist the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7(6), 1577-1611.

105.

Matsueda, R. L. (2012). The natural history of labeling theory. Labeling Theory: Empirical Tests, 18, 13-41.

106.

Oyserman, D., & Destin, M. (2010). Identity-based motiv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8(7), 1001-1043.

107.

Rice, F. P., & Dolgin, K. G. (2009). 청소년심리학. (정영숙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08.

Sandstrom, K. L., Martin, D. D., & Fine, G. A. (2010). Symbols, selves, and social reality: A symbolic interactionist approach to sociology and social psychology. Los Angeles: Roxbury.

109.

Siegel, L. (2008). 범죄학: 이론과 유형. (이민식 외 역).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110.

Silverman, A. B., Reinherz, H. Z., & Giaconia, R. M. (1996). The long-term sequelae of child and adolescent abuse: A longitudinal community study. Child Abuse & Neglect, 20(8), 709-723.

111.

Solomon, C. R., & Serres, F. (1999). Effects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marks. Child Abuse & Neglect, 23(4), 339-351.

112.

Triplett, R. (1993). The conflict perspective, symbolic interactionism, and the status characteristics hypothesis. Justice Quarterly, 10(4), 541-55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