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사회와 정부에 대한 태도에서 진보·보수 집단 간 차이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Society and Politics Between Liberals and Conservativ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3, v.19 no.4, pp.529-552
안혜정 (중앙대학교)
이민주 (중앙대학교)
정태연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진보와 보수 집단 간 사회 및 정부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특히 진보와 보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20-60대의 성인 533명(남성 249명, 여성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보․보수집단 간 연령차와 지역차이는 뚜렷하였으나, 사회와 정부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에서는 집단 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특정 정치성향을 띠는 개별 정부를 평가할 때에는 진보와 보수 집단 간의 태도 차이가 매우 뚜렷했다. 즉 진보 성향의 참여정부에 대한 평가는 진보집단이 보수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보수적 성향의 실용정부의 평가에서는 그 반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태도의 차이는 정치적 이념 척도를 통한 개념적 측정을 바탕으로 진보와 보수 집단을 나누었을 때보다 자신의 성향에 대한 주관적 판단을 토대로 하거나 선호하는 정당을 토대로 진보와 보수 집단을 나누었을 때 더 뚜렷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가 갖는 사회적, 학문적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keywords
진보·보수, 정치성향 측정방법, 한국 사회와 정부, 참여정부, 실용정부, conservatism and liberalism, measurement methods of political orientation, Korean society and government, Participation Government, and Pragmatism Government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individual attitudes towards government and society are affected by political conservatism and liberalism. With survey data from 533 adults(M=249, F=284) who live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we examine the general attitudes towards society, expectation on general government and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s the Roh Moo-hyun Gov’t and the Lee Myung-bak Gov’t between liberals and conservatives. Results show that liberals and conservatives vary by age and residence, whereas attitudes towards the general government and society are not. By contrast, liberals and conservatives are distinctly different evaluating governments with specific political tendency. Liberals are more positive to the Roh Moo-hyun Gov’t than conservatives whereas the evaluation appears conversely on the Lee Myung-bak Gov’t. These differences of attitudes are more distinctive when dividing liberals and conservatives by subjective judgement and political party preference than conceptual measurement of political ideolog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tical conservatism and liberalism is the factor that has powerfully affected individual attitudes in the specific political context rather than a consistent ideological framework in Korean society.

keywords
진보·보수, 정치성향 측정방법, 한국 사회와 정부, 참여정부, 실용정부, conservatism and liberalism, measurement methods of political orientation, Korean society and government, Participation Government, and Pragmatism Government

참고문헌

1.

강원택 (2005). 한국의 이념 갈등과 진보ㆍ보수의 경계. 한국정당학회보, 4(2), 193-217.

2.

강현창 (2004). 한국의 이념성향과 보혁갈등의 관계 연구: 이념적 일관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곽한영 (2007). 법교육이 청소년의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여자 비행청소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국민일보 (2012, 12. 5). 보수 對 진보 총집결로 가는 대선전. 27면 3단.

5.

김동수, 김옥환, 정태연, 최영진. (2013). 소득양극화에 대한 한국인의 입장과 정부정책에 대한 판단.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2), 87-108.

6.

김무경, 이갑윤 (2005). 한국인의 이념정향과 갈등. 사회과학연구, 13(2), 6-32.

7.

김병규, 이곤수 (2009).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본 정부신뢰의 영향요인-이명박정부에 대한 국민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1(3), 893-915.

8.

김상돈 (2009).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치적 성향이 국가기관 불신에 미치는 영향-정부정책 불신의 매개효과. 한국사회학, 43(2), 25-54.

9.

김용현, 박영주. (2011). 국가정체성 확립을 위한 대학생의 안보의식 실태 및 고취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7(1), 187-213.

10.

김장수 (2005). 정당일체감에 따른 인식의 양극화-기제와 완충요인을 중심으로. 國際政治論叢, 45(4), 145-168.

11.

김주찬, 윤성이 (2003). 2002 년 대통령선거에서 이념성향이 투표에 미친 영향. 22세기정치학회보, 13(2). 87-103.

12.

김호기 (2003). [논단]이념 구도와 이념 논쟁의 사회학. 당대비평 통권, 22,. 103-119.

13.

노병만 (2007). 21 세기 초 한국정치의 이념적 지형. 대한정치학회보, 14(3). 143-165.

14.

박경미, 한정택, 이지호 (2012).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성적 특성. 한국정당학회보, 11(3), 127-154.

15.

박종민 (1991). 정책산출이 정부신뢰에 주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25(1), 291-305.

16.

신정음 (2011) 법교육과 법의식 발달의 관계. 교과교육학연구. 15(.4). 893-911.

17.

안신호 (2000). 투표에서의 연고주의: 집단주의 경향성과의 관계 및 기저 동기.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1), 145-180.

18.

양승태 (2011). 국가정체성 문제와 한국의 정당-거대 담론의 출발을 위한 정치철학적 시론. 한국정치학회보, 45(4), 5-27.

19.

윤성이, 이민규 (2011). 한국사회 이념측정의 재구성. 의정연구, 34, 63-82.

20.

이갑윤 (2002). 지역주의의 정치적 정향과 태도. 한국과 국제정치 (KWP), 18(2), 155- 178.

21.

이내영 (2009). 기획논문: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이념투표. 평화연구, 17(2), 42-73.

22.

이숙종 (2006). 정부신뢰와 거버넌스. 국정관리연구, 1(1), 143-172.

23.

이진안, 최승혁, 허태균 (2012). 정치적 판단에서 심리적 요인의 역할: 변화가능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2), 69-86.

24.

이현송 (2005) 미국인의 국가 정체성. 영미연구 13, 165-190.

25.

이현우 (2008). 이념투표의 영향력 분석-이념의 구성, 측정 그리고 의미. 현대정치연구, 1(1), 137-166.

26.

이현지 (2003). 한국인의 정치의식: 정치적 이념의 형성과 가치변화: 16 대 대선에 나타난 “비동시성의 동시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연구, 7, 125-148.

27.

정세구 (1983). 국가정체성의 형성. 한국교육개발원, https://www.kedi.re.kr/ 에서 1983, 12, 1 인출

28.

정은경, 정혜승, 손영우 (2011). 진보와 보수의 도덕적 가치 판단의 차이: 용산재개발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4), 93-105.

29.

정한울, 정원칠 (2009). 여론조사를 통해 본 2009년 안보위기와 국민여론. East Asia Institute 오피니언 리뷰. 1-16.

30.

조기숙, 남지현 (2007). 대통령의 리더십과 정부신뢰: 노무현 대통령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KWP), 23(2), 61-92.

31.

조학래 (1996), 집단사회복지실천론.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32.

주간한국 (2012, 9, 17). 진보와 보수 대결… 중도층이 ‘열쇠’. 008면.

33.

한국일보 (2012. 12. 6). 보수-진보 대결집 극한대결 우려한다 .31면 2단.

34.

황윤원, 신중호, 박희봉 (2012). 누가 어떤 정부정책을 선호하는가? 보수와 진보의 이념가치인가?. 한국정책학회보, 21(1), 1-28.

35.

Batson, C. D., Klein, T. R., Highberger, L., & Shaw, L. L. (1995). Immorality from empathy-induced altruism: When compassion and justice confli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6), 1042.

36.

Converse, P. E., & Apter, D. E. (1964). Ideology and discontent. New York: Free Press.

37.

Crouse, J., & Stalker, D. (2007). Do right-wing authoritarian beliefs originate from psychological conflict? Psychoanalytic Psychology, 24, 25-44.

38.

Hinich, M. J., & Munger, M. C. (1996). Ideology and the theory of political choice. East Lansing,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9.

Jost, J., Glaser, J., Kruglanski, A., & Sulloway, F. (2003). Political conservatism as motivated social cognition. Psychological Bulletin, 129, 339-375.

40.

Lilli, W., & Diehl, M. (1999). Measuring national identity. Mannheimer Zentrum für Europäische Sozialforschung. http://www.mzes.uni- mannheim.de/publications/wp/wp-10.pdf

41.

Martino, E., & Cocoran, D. (2008). Levels of empathy and altruism in society: An analysis of five distinct age groups. Doctoral Dissertation. Southampton Solent University, Hampshire. United Kingdom.

42.

McClosky Jr, H., & Bann, C. A. (1979). On the reappraisal of the classical conservatism scale. Political Methodology, 6(2), 149-172.

43.

Miller, A. H. (1974). Political issues and trust in government: 1964–1970.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8(3), 951-972.

44.

Robinson, J. P., Shaver, P. R., & Wrightsman, L. S. (1999). Measures of political attitudes. San Diego, CA, US: Academic Press.

45.

Wrightsman, L. S., Wuescher, M. L., Stack, L. C., & Young, C. E. (1974). Assumptions about human nature: A social-psychological approach. Monterey,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46.

Zakrisson, I. (2005). Construction of a short version of the right-wing authoritarianism (RWA)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863-872.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