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인의 자존심 개념과 특성에 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onceptualizing Jajonshim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3, v.19 no.2, pp.203-234
한민 (우송대학교)
서신화 (고려대학교)
이수현 (고려대학교)
한성열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자존심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 논문들에서 자존심은 자존감(self-esteem)과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 결과 자존심에 대한 한국인의 표상 및 개념, 자존감과 구분되는 차이점들을 발견하였다. 일상적 문헌과 글짓기 분석을 통해 자존심의 문화적 의미와 사회적 표상을 알아본 결과 한국인에게 있어 자존심이란 인간이라면 반드시 가져야 하는 필요조건이자 평소에는 흠이 없고 반듯하게 유지되어 잘 인식되지 않는 개념으로, 자존심이 유지되지 못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야 비로소 자신의 자존심을 인식하며 자존심은 상하는 것, 지켜야 하는 것, 버릴 수 있는 것이라는 표상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자존심 경험에 대한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과 반구조화 면접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존심은 자기 가치를 손상 받았을 때 발생하며 특히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상대방과의 관계가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자존심 경험은 부정적인 감정이라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존심을 경험하면 사람들은 이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인 전략을 사용하며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 결과 세 가지의 자존심 상함에 대한 대처 유형이 발견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존심과 자존감의 차이를 규명하였는데, 자존심은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자기개념이 아니라, 사건이나 계기에 의해 경험하게 되는 자기인식으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자존감과 구별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고,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평가하는 자존감과 달리 자존심은 타인의 관점에서 평가되는 자신의 가치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존심이 한국인이 살아가는 삶의 맥락 속에 존재하며 그 만의 독특한 인식 체계 및 경험구조를 갖는 문화적 개념임을 밝혀낸 것에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jajonshim, self-esteem, ground theory, 자존심, 자존감(self-esteem), 근거이론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jajonshim’ which is different from self-esteem in its social representation and concept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refine the notion of ‘jajonshim’, we first referred to literature and short essay on jajonshim and analyzed its cultural meaning and social representation in Korea. As a result, jajonshim was considered necessary condition for human beings in Korean culture. Although jajonshim was not well recognized normally, it became critical when it was threatened by others and considered to be what one must save as well. Furthermore, the ground theory designed by Strauss and Corbin was utilized in order to analyze Korean interviewees’ experience of jajonshim. Koreans believed that their jajonshim was injured when others disrespected their values, which consequently produced negative emotions. When their jajonshim was damaged, people also used 3 coping strategies to recover it. Based on the results, jajonshim was distinguished from self-esteem. First, jajonshim is a type of self-awareness people experience when they are disrespected; thus, it is different from self-esteem which is maintained stable regardless of any events or situations. Second, unlike self-esteem which is solely evaluated by oneself, jajonshim is evaluated by other people’s point of view. This study shows that jajonshim exists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and has significance in clarifying the cognitive structure and experience process of jajonshim.

keywords
jajonshim, self-esteem, ground theory, 자존심, 자존감(self-esteem), 근거이론

참고문헌

1.

구본권 (1995). 과학 고등학생의 자존심과 방어기제. 인간발달학회, 2, 62-82.

2.

박아청 (1998). 자기의 탐색. 서울: 교육과학사.

3.

송대현, 박한기 (1992). 한국노인들의 자존심에 관한 연구. 韓國老年學. 12(1), 79-96.

4.

이누미야 요시유키 (2009). 주체성-대상성 자기와 긍정적 환상의 관계에 대한 한일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115-146.

5.

이누미야 요시유키, 최일호, 윤덕환, 서동효, 한성열 (1999). 비현실적 낙관성(unrealistic optimism) 경향에 있어서의 비교 문화 연구: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1), 183-201.

6.

이동식 (1989). 현대인의 정신건강. 서울: 한강수.

7.

이영의 (2011). 한국인의 대표 감성으로서의 한(恨)의 구조. 호남문화연구, 49, 149-186.

8.

장은영, 한덕웅 (2004). 사회비교의 목표, 대상 및 결과에 따른 자기정서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127-153.

9.

조긍호, 명정완 (2001). 문화성향과 자의식의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11-139.

10.

조자의, 한성열 (2008). 행위자의 화(火)가 한국 대학생의 도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47-75.

11.

정 욱, 한규석 (2005). 자기고양 현상에 대한 조절변인으로서 자존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99-216.

12.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13.

최상진, 김기범 (1999). 한국인의 self의 특성: 서구의 self 개념과 대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75-292.

14.

최상진, 한규석 (1998). 심리학에서 객관성, 보편성 및 사회성의 오류: 문화심리학의 도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7(1), 73-96.

15.

한 민,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소혜, 장웨이 (2009). 새로운 문화-자기관 이론의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들의 자기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49-66.

16.

한 민, 한성열 (2007). 신명에 대한 문화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83-103.

17.

한 민, 한성열 (2009). 신명의 심리학. 서울: 21세기 북스.

18.

홍기원, 김명소, 한영석 (2003). 성정체성, 자신의 성에 대한 만족, 그리고 집단 자존심이 남녀 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19-33.

19.

Cast, A. D. & Burke, P. J. (2002). A Theory of Self-Esteem.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041-1068.

20.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21.

Danziger, K. (Eds.). (1997). The historical formation of selves. In R. D. Ashmore, & L., Jussim, Self and identity: Fundamental issu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7-159.

22.

Harre, R., & Gillett, G. (1994). The discursive mind. London: Sage.

23.

Elliot, G. C. (1986). Self-esteem and self- consistancy: A theoretical and empirical link between two primary motivation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49, 218-297.

24.

Epstein, S. (1973). The self-concept revisited or a theory of a theory. The American psychologist, 404-416.

25.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2), 117-140.

26.

Gecas, V. (1982). THE SELF-CONCEPT. Annual Review of Sociology, 33.

27.

Giddens, A. (1991).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8.

Glaser, B. G.,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Aldine.

29.

Holland, D. (1997). Selves as culture: As told by an anthropologist who lacks a soul. In R. D. Ashmore, & L. Jussim(Eds.), Self and identity: Fundamental issu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61-190.

30.

James, W. 정양은 역 (2005). 심리학의 원리. 서울: 아카넷. Principle of Psychology. New York: Henry Holt.

31.

Kaplan, H. B. (1980). Deviant Behavior in Defense of Self. New York: Acad. Press.

32.

Longmore, M. A., & Alfred, D. (1997). Perceived Inequity and Depress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Esteem.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0(2), 172- 184.

33.

Mason, J. (1999). 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ing]. 김두섭 역. 서울: 나남출판. (원전은 1996년에 출판).

34.

Moscovici, S. (1988). Notes towards a description of social representation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8, 211-250.

35.

Slagle, S. J. (1965). Self esteem and patterns of defense. Unpublished doctro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36.

Rommetveit, R. (1984). The role of language in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social representations. In R. M. Farr & S. Moscovici(Eds.), Social Representations (pp.331- 35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Shweder, R. A. (1991). Thinking through cultures: Expeditions in cultural psycholog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9.

Spencer, S. J., Robert A. J., & Claude M. S. (1993). Low self-esteem: The Uphill Struggle for Self-Integrity. in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edited by Roy F. Baumeister. Plenum, 21-36.

40.

Spradley, J.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41.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New Deli: Sage publications.

42.

Tesser, A. (1988). Toward a Self-Evaluation Maintenance Model of Social Behavior.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1, 181-227.

43.

Thoits, P. A. (1994). Stressors and Problem- Solving: The Individual as Psychological Activis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35(2), 143- 160.

44.

Torres, R. & Fernandez F. (1995). Self-esteem and value of health as determinants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6(1), 60-63.

45.

Weiten, W. (1983). Sychology Applied to Modern Life: Adjustment in The 80s. Psychology Applied to Modern Life: Adjustment in The 80s, 522.

46.

Wertsch, J. V. (1991). Voices of the mind: A sociocultural approach to mediated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