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재한 몽골 합법․불법 이주노동자들의 직업만족도, 사회적 지지, 희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매개효과와 체류자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Hope on Life Quality of Mongolian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gal Statu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4, pp.435-462
신성자 (경북대학교)
미칠도칠 오통도람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직업만족’, ‘사회적지지’ 그리고 ‘희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희망’의 매개효과 그리고 ‘체류자격’(불법, 합법)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 10개 도시에 거주하는 453 명의 재한 몽골 이주노동자들(합법 체류자, 333명, 불법 체류자 120명)을 임의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2011년 1월초-2월말)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는 편향수정 부트스트래핑(bias-corrected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절효과는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여 검정하였다. 합법집단과 불법집단간의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잠재평균 분석결과와 Cohen의 효과크기를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직업만족과 사회적 지지는 각각 희망 및 삶의 질에 정적 직접효과를 가졌다. 희망은 삶의 질에 정적 직접효과를 줄 뿐 만 아니라, 직업만족 또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한 층 더 증폭시키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집단의 각 경로에 체류자격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잠재평균 분석결과, 직업만족, 사회적 지지, 희망에서는 합법 체류자와 불법 체류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합법 체류자의 삶의 질이 불법 체류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체류자격 여부와 관계없이 직업만족, 사회적 지지 그리고 희망을 증진시키는 것이 이주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규명 규명하였고,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immigrant worker, Mongolian worker,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hope, life quality. legal status, illegal workers, 이주노동자, 몽골, 작업만족, 사회적지지, 희망, 삶의 질, 체류자격, 조절효과

Abstract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enters on: (1) the direct effects of the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hope on the individual's quality of life; (2) the direct effect of hope alone on the individual's quality life; (3)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ope between the job satisfaction/social support and life quality; (4)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orker's legal status(legal labors Vs. illegal labors) on each causal relationship.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453 Mongolian immigrant workers(333 legal workers, 120 illegal workers) from 10 cities including Seoul. In order for respondent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re explored. A variety of tests are conducted(metric invariance test, critical ratio for difference test, multi-group analysis, bias-corrected boot-strapping, latent mean analysis including Cohen's effect test). The notice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both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have a positive influence respectively on the individual's hope and the individual's quality of life. Second, we fou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both job satisfaction/social support and the individual's life quality. Third, we failed to find a moderating effect of the workers' legal status on each causal relationship. Final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latent means of each lat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hope, and life quality - between the legal group and the illegal group, except the latent mean of workers' quality of life. A range of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keywords
immigrant worker, Mongolian worker,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hope, life quality. legal status, illegal workers, 이주노동자, 몽골, 작업만족, 사회적지지, 희망, 삶의 질, 체류자격, 조절효과

참고문헌

1.

고민주 (2004). 근로조건 불이익변경의 한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고희준 (2005). 외국인 노동자의 근로조건과 직무만족도가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곽동혁 (2002). 우리나라 정규직 비정규직 근로자간의 격차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곽재호 (2006). 건설업내 외국인 노동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구은경 (2006). 외국인 노동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국가인권위원회 (2011. 10). 이주 인권가이드라인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7.

김선화 (2005). 외국인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신정, 이순희, 김숙영, 김애리, 박현태, 이영주 (2008). 이주노동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성인간호학회지, 제20(5), 791-803.

9.

김옥수, 백성희 (2003). 노인의 외로움과 사회적지지, 가족기능간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3(3), 425-432.

10.

김왕배 (1995). 한국근로자들의 삶의 질.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창간호.

11.

김은주 (1983). 입원환자의 영적 상호작용과 건강상태의 회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인규 (2003).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근로조건 격차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주환, 김인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14.

김현덕 (2003). 외국인노동자 복지실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남숙경, 이상민 (2012).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의 집단간 차이분석: 대상, 성별, 연령, 상담경험 유무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1), 341-366.

16.

노유자 (1988).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Qiality of Life)에 관한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대한민국 출입국 관리국 http://www.immigration. go.kr.

18.

람후 뭉크나릉, 진미정 (2010).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 노동자의 분거 부부관계 경험.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2), 21-32.

19.

미지도칠 오통도람 (Mijed-Ochir Otgndulam) (2011). 근로조건과 사회적 지지가 몽골 노동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20.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정신의학, 39(3), 571-579.

21.

바야르마 (2008). 재한 몽골 노동자의 고용 및 생활실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달순 (2003). 외국인 근로자와 한국 근로자의 근로조건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반월 시화 공단의 근로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박병선 (2007).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형기 (2004). 외국인노동자의 근로 및 사회적 조건과 심리적 적응.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배병렬 (2007).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26.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도서출판 청람.

27.

백은령 (2003).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설동훈 (1996). 한국사회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외국인노동자의 유입과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9.

설동훈 (2001).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인권 실태와 대책. 인권과 평화, 2(1), 53-87.

30.

설동훈 (2005). 외국인 노동자 보건의료실태 조사연구. 서울: 국제보건의료발전재단.

31.

신도철 (1981). 한국인의 삶의 질 대연구: 주관적 지표에 의한 분석. 서울: 정경문화.

32.

신선인 (2008). 정신장애인의 배우자 태도와 재발의 인과적 관계에 관한 탐색. 한국사회복지학, 60(3), 59-82.

33.

신성자 (2012). 몽골 이주노동자들의 결혼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학문연구회, 17(3), 211-244.

34.

신성자, 이원준 (2012). 재한 몽골 노동자의 직업환경이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의료혜택만족도의 매해효과. 한국사회보장학회, 28(3), 179-212.

35.

안주엽 (2000).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1).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36.

양옥경 (1994). 삶의 만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24.

37.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시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38.

윤영희 (2011). 외국인 근로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윤정주 (2004). 외국인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이경매 (2003). 한국거주 불법신분 조선족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명주 (2003).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만족도.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2.

이영진 (2007). 국내거주 외국인 보건의료제도 확립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43.

이인선 (2004).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외국인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재식 (2000). 운전분노에 대한 운전확신과 감각추구 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운전자의 연령대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3), 389-413.

45.

이주연 (2010).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삶의 질과 행복,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심리 분과학회 심포지엄,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6.

자야트 (2002). 동기유발요인이 근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한 몽골 근로자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장세진 (1992).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사무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8.

정규현, 배규환, 이달곤, 최영명 (2004). 21세기 한국의 사회발전 전략: 성장․복지․환경의 조화. 나남출판.

49.

정기선 (1996). 국내 외국인 취업자의 사회심리적 적응.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50.

정은희 (2005). 이주노동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조현태 (2008) 외국인 근로자들의 건강실태조사연구.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7(2), 224-227.

52.

조흥식, 김진수, 홍경준 (2001). 산업복지론. 서울: 나남출판.

53.

차츠랄 (Tsatsral B.) (2003. 8). 재한 몽골 근로자의 고용실태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최미영 (2003). 사회적 낙인이 화장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최상순 (1990). 일, 지역, 성인의 영적 안녕, 희망 및 건강상태에 관한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6.

최재윤 (2011). 외국인노동자의 무료진료 및 2차 진료실태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2011.10. 301-338).

57.

통계청. KOSIS Database(http://www.nso.go.kr).

58.

하은희, 이승길, 최재욱, 홍윤철 (2002). 한국인 근로자들의 근로실태, 산업재해 및 건강실태, 산업보건, 6, 151-178.

59.

한혜진, 오진주, 최정명, 이현주, 윤순녕 (2003). 산업재해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2(2), 300-350.

60.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적합도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61.

홍세희 (2007).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62.

홍세희 (2011). 구조방정식 모형: 증급, S & M 러서치 그룹. 138.

63.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2005). 청소년용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교육심리연구, 19(4), 1159-1177.

64.

황성동 (2005). 알기 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65.

Baldree, K. S., Murphy, S. P. & Power, M. T. (1982). Stress identification and coping pattern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Nursing Research, 31(2), 109-111.

66.

Berry, J. W. (1992).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a new society, International Migration, 34, 176-188.

67.

Burchhardt, C. S. (1985). The impact of arthrities on quality of life. Nursing Research, 34(1), 11- 16.

68.

Carni, E. (1988). Issues of hope and faith in the cancer patient. Journal of Religious and Health, 27(4), 285-290.

69.

Carson, V. B. (1980). Meeting the spiritual needs of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Perspective in Psychiatiric Care, 18(1), 17-20.

70.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71.

Cohen & Hoberman.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as buffer of life stress. Psychological Bulletin, 98, 398-403.

72.

Cousins, N. (1989). Head first: the biology of hope. New York: E. P. Dutton.

73.

Dalkey, N. C., & Roureke, D. L. (1973). The Delphi procedure and rating quality of life factors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The Quality of Life Concept.

74.

Ferran, C. J. & McCann, J. (1989). Longitudinal analysis of hope in community-based older adult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3(5), 293 -300.

75.

Gooddwin, R. & Plaza, S. H. (2000). Perceived and received social support in two cultures: collectivism and support among British and Spanish student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7(2), 282-291.

76.

Grffin, J. & Soskolne, V. (2003).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Thai migrant workers in Israel. Social Science & Medicine, 57, 769-774.

77.

Gerth, K. A.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hope and level of coping response and other variable in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of nursing Forum, 84(1), 42-54.

78.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and, Black, W. C. 2006. Multimedia data analysis, 6th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79.

Johnson, J. P., McCauly, C. R., & Copley, J. B. (1982). The quality of life hemodialysis and transplant patients. Kidney International, 22, 286-291.

80.

Kuo, W. H & Tsai, Yung-Mei. (1986). Social networking, hardiness and immigrant's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2), 133-149.

81.

Lynch, W. (1965). Images of hope: imagination as healer of the hopeless. Baltimore: Helican Press.

82.

Merton, T. (1967). No man is an island. New Yord: Image Books.

83.

Mitchell, A., Logothetti, T. J., & Kantor, R. E. (1973). An approach to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in EPA. The Quality of Life Concept.

84.

Noh, S. & Avison, W. (1996). Asian immigrants and the stress process: A Study of Koreans in Canada. Journal of Health & Socail Behavior, 37(2).

85.

Nowotny, M. L. (1989).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ogy Nursing Forum, 16(1), 57- 61.

86.

O'wein, D. C. (1989). Nurses'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a qualitative study. Oncology Nursing Forum, 16(1), 75-79.

87.

OECD (1976). Measuring social well-being. OECD, observer, 64, 36-37.

88.

OECD (1982). The OECD List of social indicators(Part Ⅱ: Selected Social Indicator Disaggregations), 17-46. Paris

89.

OECD (2000-2001). OECD Annual Report.

90.

Roberts, R. C. (1982). Spirituality and human emotion. Grand Rapids, MI: Wm, B. Erdmans Publishing.

91.

Siegel, B. (1986). Love, medicine and miracle. London: Rider

92.

Stoner, M. H. (1988). Measuring hope. In M. Frank-stromborg(Eds). Instrument for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140. Norwalk: Conneticut: Appleton & Lange.

93.

Travelbee, J. (1971). Interpersonal aspects of nursing (2nd Eds.). Philadelphia: F. A. Davis Co.

94.

Zastrow, Charles (1992). The practice of social work(4th ed). Wadsworth, Inc.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