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가족간 식사, 통화 및 여가활동과 중년기의 행복

Family Activities and Well-being in Midlife: Meal, Phone Conversation, and Leisur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2, pp.279-300
김경미 (서울대학교)
류승아 (서울대학교)
최인철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가족은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구체적인 가족활동이 미치는 영향력을 광범위하게 살펴보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 함께 식사하고, 통화하며, 여가활동을 보내는 것이 중년기의 행복, 건강 및 가족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5세(평균연령: 50.13세) 사이의 총 283명이었다. 독립변인은 배우자 및 자녀와의 식사횟수와 통화횟수, 가족과 여가활동을 보내는 시간이었고, 이에 따른 종속변인은 행복, 심리적․신체적 건강 불편증상, 가족만족도, 성생활 만족도 및 부모 효능감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에는 배우자 및 자녀와 식사를 자주 할수록 행복, 건강, 가족생활 만족도가 높았으며, 통화를 자주 하는 것 역시 행복, 건강, 가족 및 성생활 만족도와, 부모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과 여가활동을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행복과 가족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과 함께 하는 일상적 활동들이 중년기 행복, 건강 및 가족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 경험적 결과임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가족식사, 가족간 통화, 가족 여가활동, 삶의 질, 중년기, family meal, phone conversation with family, family leisure activities, well-being, middle-age group

Abstract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family plays a crucial role in health and wellbeing in lif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however, exam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activities together with family members in middle-aged adult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meal, phone conversation with family, and family leisure activities on happiness, health, and family relationship. Total 286 middle-aged adults (M=50.13)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pendent variables were happiness (SWB), physical and psychological illness symptoms, family satisfaction, sex satisfaction,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This research showed that (1) frequency of meal with famil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family relationship, and negatively physical/psychological illness symptoms; (2) high frequency of talking on the phone with family resulted in that high level of happiness, family satisfaction, sex satisfaction,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lower illness symptoms; (3) the more participants spent leisure time with family, the happier and the more family satisfaction they feel. Findings suggest that activities together with family members in middle-aged adults may enhance their happiness, health,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e implication for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가족식사, 가족간 통화, 가족 여가활동, 삶의 질, 중년기, family meal, phone conversation with family, family leisure activities, well-being, middle-age group

참고문헌

1.

SBS 미래한국리포트 (2006). 행복의 조건과 가족의 미래. 제4차 미래한국리포트.

2.

고경애, 정민정 (2007). 가족기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301- 320.

3.

고선주 (2012).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1), 53-78.

4.

구재선, 김의철 (2006).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77-100.

5.

김경민, 한경혜 (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 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211-230.

6.

김명자 (1991).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과 위기감. 대한가정학회지, 29(1), 203-216.

7.

김민녀, 채규만 (2006).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자의 결혼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55-671.

8.

김범준, 박영숙, 전영민 (2005). 경제적 어려움, 대처행동, 가족간 의사소통이 주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37-59.

9.

김은미, 구재선, 최상진 (2003). 행복에 대한 사회문화적 표상.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373-374.

10.

김은준 (2008). 모바일테크놀로지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휴대전화를 매개한 여성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1), 216-244.

11.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 99- 142.

12.

나은영 (2001). 한국인과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 텔레콤월드, 1(2), 1-20.

13.

노지혜, 이민규 (2011).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159-183.

14.

문숙재, 윤소영, 차경욱, 천혜정 (2005). 여가문화와 가족. 서울: 도서출판 신정.

15.

박경숙 (1993). 중년기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년기 여성이 인지한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13(1), 121-135.

16.

박민자 (2006). 행복가족의 요소와 의미. 가족과 문화, 18(4), 183-205.

17.

박영신, 김의철 (2011). 중년기 성인 남녀의 행복 형성요인: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 65-108.

18.

박지현, 김태현 (2011).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229-257.

19.

변해심 (2000). 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참여와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 응집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9(1), 170-178.

20.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1.

양영아 (1996). 중산층의 가족여가활동 실태와 요구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2.

윤현숙, 유희정 (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 31.

23.

윤소영, 윤 주 (2008). 가족여가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4.

이연숙, 김외숙, 이기영, 조희금, 이승미, 김하늬, 한영선 (2012). 가족공유 여가시간 및 결정요인: 부부, 미취학자녀, 그 외 가족 및 친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199-227.

25.

이정호, 김미량 (2008). 중년기 남성의 여가생활형태와 가족기능.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2(2), 139-151.

26.

진화림, 손승혜 (2008). 대학생과 그 부모 집단의 영상통화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9, 101-133.

27.

천혜정 (2004). 가족여가 참여 동기 및 가족 여가 활동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2), 1-13.

28.

최길례 (2003). 가족의 여가활동이 정서적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3), 175-184.

29.

최길례, 강봉화 (2003). 가족의 여가활동이 가족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 1023-1034.

30.

텔레콤리포트 (2008). 전국민의 72.2% ‘휴대전화 이용’. http://www.mktinsight.co.kr에서 2011년 9월 10일에 인출.

31.

통계청 (2011). 2010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가구부분). http://www.census.go.kr/ hcensus/index.jsp에서 2011년 9월 1일에 인출.

32.

하오령, 권정혜 (2006).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 건강과 역할만족도: 역할갈등, 완벽주의 및 가족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3), 675-696.

33.

한국경제신문 (2008년 10월 13일자). 행복의 제1요소는 화목한 가정. http://www.hankyung. com/new 에서 2011년 8월 29일에 인출.

34.

홍성화 (2003). 가족단위 여가활동 참여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 57- 71.

35.

Crossley, A., & Langdridge, D. (2005). Perceived sources of happiness: A network analysi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6, 107-135.

36.

Diener, E., & Seligman, M. E. P. (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13, 81-84.

37.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38.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 302.

39.

Eisenberg, M. E., Neumark-Sztainer, D., Fulkerson, J. A., & Story, M. (2008). Family meals and substance use: Is there a long-term protective associa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3, 151-156.

40.

Eisenberg, M. E., Olson, R. E., Neumark-Sztainer, D., Stroy, M., & Bearinger, L. H. (2004). Correlations between family mea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58, 792-796.

41.

Fiese, B., Tomcho, R., Douglas, M., Josephs, K., Poltrock, S., & Baker, T. (2002). A review of 50 years of research on naturally occurring family routines and rituals: Cause for celebrat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6, 381-390.

42.

Franko, D. L., Thompson, D., Bauserman, R., Affenito, S. G., & Striegel-Moore, R. H. (2008).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Family cohesion and healthy eating behaviors in adolescent girl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1, 360-367.

43.

Fruh, S. M., Fulkerson, J. A., Mulekar, M. S., Kendrick, L. A. J., & Clanton, C. (2011). The surprising benefits of the family meal. The Journal for Nurse Practitioners, 7, 18-22.

44.

Fulkerson, J. A., Kubik, M. Y., Story, M., Lytle, L., & Arcan, C. (2009). Are there nutritional and other benefits associated with family meals among at-risk youth?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5, 389-395.

45.

Gibaud-Wallston, J., & Wandersman, L.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Meeting, Toronto, Canada.

46.

Goldenberg, I., & Goldenberg, H. (2000). Family therapy: An overview (5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김득성 외 공역 (2001). 가족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47.

Hill, M. S. (1988). Marital stability and spouses shared time. Journal of Family Issues, 9, 427 -451.

48.

Iso-Ahola, S. E. (1980).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isure and recreation. Iowa: WM. C. Brown company.

49.

Jacob, J. I., Hill, E. J., Allen, S. M., & Mead, N. L. (2008). Dinnertime as a mediator between work hours and work and family outcome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36, 310-327.

50.

Kessler, R. C., Kendler, K. S., Heath, A. C., Neale, M. C., & Eaves, I. J. (1992). Social support, depressed mood, and adjustment to stress: A genetic epidemiologic investig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257-272.

51.

Keyes, C. L. M., & Ryff, C. D. (1999).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In S. L. Willis & J. D. Reid(Eds.), Middle aging: Development in the third quarter of life (pp.161-180). Orlando, FL: Academic Press.

52.

Kiser, L. J., Medoff, D., Nurse, W., Black, M. M., & Fiese, B. H. (2010). Family mealtime Q-sort: A measure of mealtime practic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4, 92-96.

53.

Kunstler, R. (1992). Forging the human connection: Leisure services for the homeless. Park and Recreation, 27, 42-45.

54.

Lachman, M. E. (2004). Development in mid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 305-331.

55.

Larsen, R. J., & Kasimatis, M. (1991). Day-to-day physical symptom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duration, and emotional concomitants of minor daily illness. Journal of Personality, 59, 387-423.

56.

Levinson, D. J., Darrow, C. M., Klein, E. G., Levinson, M. H., & McKee, B. (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Knopf.

57.

Mactavish, J. B., & Schleien, S. J. (1998). Playing together growing together: Parents' perspectives on the benefits of family recreation in families that include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Therapeutic Recreation Journal, 32, 207-230.

58.

Neumark-Sztainer, D., Eisenberg, M. E., Fulkerson, J. A., Story, M., & Larson, N. I. (2008). Family Meals and disordered eating in adolescents.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162, 17-22.

59.

Noller, P., & Fitzpatrick, M. A. (1990).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832-843.

60.

Orthner, D. K. (1975). Leisure activity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marital care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 91-102.

61.

Orthner, D. K., & Mancini, J. A. (1991). Benefits of leisure for family bonding. In B. L. Driver, P. J. Brown, & G. L. Pterson(Eds.), Benefits of leisure (pp.215-301). State College, PA: Venture.

62.

Robbins, A., & Wilner, A. (2001). Quarterlife crisis: The unique challenges of life in your twenties. New York: Putnam.

63.

Satir, V. (1983). Conjoint family therapy (3rd ed.).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64.

Sen, B.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family dinner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after adjusting for other family characteristics. Journal of Adolescence, 33, 187-196.

65.

Sheldon, K. M., & Elliot, A. J. (1999). Goal striving, need-satisfaction, and longitudinal well-being: The self-concordance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 482-297.

66.

Vangelisti, A. L., & Banski, E. G. (1993). Is the u-curve of marital satisfaction an illustion? A 40-year study of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230-239.

67.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68.

Welsh, E. M., French, S., & Wall, M. (2011).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al frequency and individual dietary intake: Does family cohesion play a role?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3, 229-235.

69.

Wethington, E., Kessler, R., & Pixley, J. (2004). Turning points in adulthood. In O. G. Brim, C. D. Ryff, & R. Kessler(Eds.), How healthy are we: A national study of well-being in midlif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0.

Whitbourne, S. K. (2001). Adult development and aging: Biopsychosocial perspectives. New York: John Wiley & Sons.

71.

Zabriskie, R. B., & McCormick, B. P. (2001). The influences of family leisure patterns on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ing. Family Relation, 50, 281-289.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