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성인 남녀의 미혼에 대한 인식: 척도개발을 중심으로

A Development of Awareness Scale of Korean Men and Women on Singlen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1, pp.79-96
정태연 (중앙대학교)
정혜진 (중앙대학교)
은화리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미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한국 성인 미혼 및 기혼 남녀 490명(남: 244명, 여: 246명, 평균연령 = 35.32세)을 대상으로, 혼자 살 때 필요한 조건, 좋은 점(혹은 유리한 점)과 나쁜 점, 혼자 사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을 물어보는 개방형 질문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각 질문 내용은 경제적 측면, 관계적 측면, 성격적 측면, 자아관련 측면, 가족적 측면, 사회제도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얻은 자료를 근거로 혼자 살 때 필요한 조건, 혼자 살 때 좋은 점, 혼자 살 때 어려운 점에 대한 문항을 구성한 후, 한국 성인 총 800명(남: 400명, 여: 4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혼자 살 때 필요한 조건은 5개요인(24문항, 총설명량: 61.7%), 혼자 살 때 좋은 점은 6개요인(29문항, 총설명량: 61.4%), 혼자 살 때 어려운 점은 6개요인(31문항, 총 설명량: 64.75%)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400명(남: 200명, 여: 2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인식차원에 대한 척도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한국 사회의 미혼 및 결혼 관련 변인들과 현상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keywords
Single, marriage, childbirth, and scale development, 미혼, 결혼, 출산, 측정도구개발

Abstract

The main studying proble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which examines awareness of singleness for Korean men and women. So, firstly, study 1 fulfilled open survey related to condition for solitary life,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factors disturbing it for 490 unmarried and married people (244 men and 246 women) who are living in Seoul and capital area. And then, content analysis and category analysis were analyzed for their responses. As the result, each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economic aspect, relative aspect, characteristic aspect, eco related aspect, family aspect and social system aspect. Study 2 organized questionnaires for condition for solitary life,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based on the material obtained in study 1 and th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otal 800 adults (400 men and 400 women) who are living in Seoul, capital area, Incheon and Chungnam. As the result, the condition for solitary life extracted 5 factors including ego-maturity factor (24 questionnaires, total explanation quantity: 61.7%), strengths of solitary life extracted 6 factors including self-growth factor(29 questionnaires, total explanation quantity: 61.4 %) and weaknesses of solitary life extracted 6 factors including solitary factor(31questionnaires, total explanation quantity: 64.75 %). For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as the result of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400 people (200 men and 200 women), the suitability of awareness scale model of men and women on singleness was verified. Those results were discussed from the aspect of variables and phenomenon related to singleness and marriage of Korean society.

keywords
Single, marriage, childbirth, and scale development, 미혼, 결혼, 출산, 측정도구개발

참고문헌

1.

김경신, 이선미 (1998).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나타난 결혼 이데올로기. 한국가정학회지, 9(1), 27-43.

2.

김정례 (2005). 우리나라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태현, 전길양, 김양호 (2002). 사회변화와 결혼.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4.

문소정 (1994). 가족이데올로기. 여성한국사회연구회 4회 심포지움.

5.

박은주, 전형미 (2011). 여대생의 직업의식이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87-105.

6.

손승영 (2005). 한국사회 저출산 원인과 가족친화적 정책대안. 가족과 문화, 17(20), 285 -316.

7.

송재희 (1988). 대학생들의 이성교제 실태 및 결혼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여성부 (2003). 전국가족조사

9.

유영주 (1976). 한국가족에 있어서의 결혼 연구. 인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 2, 127-150.

10.

이삼식 (2006). 저출산 원인구조와 정책방향. 보건복지포럼, 111, 5-17.

11.

전경숙 (2010). 한국 중년의 안녕감: 행복과 삶의 의미에 대한 척도 개발 및 집단 간 비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정태연 (2006). 사회적 독립가능성과 결혼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직업의 상대적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 (2), 143-162.

13.

정현숙, 최연실, 유계숙 (1998). 결혼학개론. 상명대학교 출판부.

14.

정현아 (1984). 여대생의 자아실현성에 따른 결혼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조혜자, 방희정 (2005). 결혼과 출산기피의 한 이유: 여성의 관계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95-112.

16.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결과

18.

황지영 (2007). 대학생들의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 한국기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Buss, D. M. (1985). Human mate selection. American Psychologist, 73, 47-51.

20.

Feingold, A. (1990). Gender differences in effects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romantic attraction: A comparison across five research paradig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981-993.

21.

Feingold, A. (1992). Gender differences in mate selection preferences: A test of the parental investment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12, 125-139.

22.

Goode, W. J. (1982). The family (2nd ed.). Englewood Cliffs: Prentice-Hill.

23.

Jacobs, H, A. (1996). Gender inequality and higher education.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153-18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