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유아 어머니와 외할머니 세대의 자녀관련 인식 비교: 이상적 자녀 수, 자녀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 노후부양에 대한 기대, 긍정적 자녀가치와 부정적 자녀가치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Children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Maternal Grandmothers: With Specific Focus on Ideal Number of Children, Gender Preference, Expectation Old Age Secur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f Childre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1, pp.127-152
박영신 (인하대학교)
김의철 (인하대학교)
김미숙 (인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attitudes toward children among mothers young children and maternal grandmothers,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gender preference, old age secur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f children. A total of 442 respondents, consisting of 221 young mothers (average age of 35) and 221 maternal grandmothers (average age of 63)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Park and Kwon (2005).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ranged from Cronbach α of .78 to .9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young mothers reported that they would prefer two children, while grandmothers reported that they would prefer four children. As for the ideal number of male child, young mothers reported that they would prefer that they would prefer one son, while grandmothers reported two sons. Second, as for the gender of the child, young mothers did not show a gender preference, while grandmothers stated that at least one child should be a son, especially if it is the only child. Third, grandmothers had higher expectation of old age security in their male child than young mothers but two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or the female child. Fourth, as for positive values of children, young mothers were more likely to emphasize personal aspects (i.e., psychological pleasure and happiness) and family cohesiveness, while grandmothers were more likely to emphasize social aspects (i.e., continuing the family line and old age security. As for negative values of children, young mothers were more likely to emphasize personal aspects (i.e., parental role and responsibility), while grandmothers were more likely to emphasize social aspects (i.e., family conflict and relationship). Fifth, as for factors that influenced the number of children that they decided to have, young mothers were more likely to report negative values of children (i.e., financial constraints), while grandmothers were more likely to emphasize positive values of children (i.e., continuing the family line).

keywords
자녀가치, 세대 차이, 자녀 수, 자녀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 노후부양에 대한 기대, 출산율, Values of children, generational differences, number of children, gender preference, old age security, fertility rate

참고문헌

1.

고선주 (2010). 저출산 정책: 가족과 지역사회 내의 돌봄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한국여성심리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31-60.

2.

권혜진, 김윤정, 권수진, 박선아, 안영미, 오금숙, 이경숙 (2011). 대학생들의 출산에 대한 인식: 도전으로 바라보는 출산. 청소년학연구, 18(1), 175-200.

3.

김미숙 (2010). 자녀가치와 가족가치에 대한 인식: 유아 부모와 외할머니 집단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숙, 김의철, 박영신 (2007). 유아 부모집단의 자녀가치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자녀를 돌보는 사람과 기관, 출산 계획 이유.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496-497.

5.

김미숙, 박영신 (2006). 자녀가치에 대한 토착심리: 한국 성인이 자녀를 가지는 이유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340-341.

6.

김민희, 홍주연 (2010). 대학생들의 부양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성역할 특성과 가족주의 가치관.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529-546.

7.

김의철, 박영신, 권용은 (2005). 한국 세대별 어머니 집단의 가족관련 가치의식 비교: 자녀가치와 양육태도 및 부모부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109-142.

8.

김의철, 박영신, 김명언, 이건우, 유호식 (2000). 청소년, 성인, 노인 세대의 차이와 생활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119-145.

9.

남순현 (2009). 중년기 기혼여성의 성과 일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업주부와 취업주부 비교. 인간발달연구, 16(1), 197-222.

10.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11.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결과 보도자료.

12.

부수현, 박하철, 한보라 (2005). 양육효능감과 자녀가치 및 자녀양육행동 유형에 따른 부모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98-299.

13.

성영신, 황택순, 이영철, 박규상 (1991). TV 광고에 나타난 가족 가치관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87-295.

14.

오정숙, 박영신, 김의철 (2007). 고등학생과 부모 집단의 자녀가치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4(2), 327-353.

15.

우조은, 김의철, 박영신 (2008). 세대집단별 자녀가치와 가족가치의 차이 분석: 대학생과 부모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470-471.

16.

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신의진 (2009). 저출산에 대한 여대생의 인식 및 심리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93-108.

17.

이삼식, 최효진, 오영희, 서문희, 박세경, 도세록 (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09-83.

18.

이순형, 이영미 (1997). 청소년의 가치지향과 생활만족의 관계: 집합주의 개인주의, 가족주의와 물질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4(1), 1-24.

19.

이주리 (2011). 출산 의도 및 부모 양육참여와 영아 발달 간 관계. 인간발달연구, 18(2), 43-57.

20.

정태연 (2010). 미혼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특성.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한국여성심리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61-71.

21.

조성원 (1996). 어머니와 딸: 부양행동을 중심으로 한 노모-성인 딸의 상호작용.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창간호, 118-127.

22.

조혜자, 방희정 (2005). 결혼과 출산기피의 한 이유: 여성의 관계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95-112.

23.

조희금, 송혜림, 박정윤, 권태희, 김경화, 김주현, 김혜영, 윤소영, 윤진숙, 이진숙, 정민자 (2010). 2010년 제 2차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연구보고 2010-15.

24.

최봉영 (2010). 결혼과 부모 되기.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한국여성심리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1-18.

25.

통계청 (2011). 2010년 출생통계.

26.

한기혜, 박영신, 김의철 (2009). 노부모 부양 인식에서의 세대차이: 초등학생과 중학생 및 그들의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190-191.

27.

Ahn, J. Y., Park, Y. S., & Kim, U. (2011).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taking care of elderly parents: Generational differ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arents. Paper present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of Asian Association of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p.235. December, 22-23. Bali, Indonesia.

28.

Arnold, F., Bulatao, R. A., Buripakdi, C., Chung, B. J., Fawcett, J. T., Iritani, T., Lee, S. J., & Wu, T. S. (1975). The Values of children: A cross-national study, Volume 1. Honolulu: East-West Population Institute.

29.

Arnold, F. & Fawcett, J. (1975). The Values of children: A cross-national study. Honolulu: East West Population Institute, East-West Center.

30.

Chan, D. K. S. (1994). COLINDEX: A Refinement of three collectivism measures. In U. Kim, H. C. Triandis, C. Kagitcibasi, S. C. Choi, & G. Yoon, G. (Eds.),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eory, Method,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

31.

Chang, W. G., Park, Y. S., & Kim, U. (2009). Parental support, child-rearing and values of children among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fic focus on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Paper presented at the 8th Biennial Conference of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p. 319, December 11-14, New Delhi, India.

32.

Fawcett, J. T. (1983). Perceptions of the Values of children: Satisfactions and costs. In R. Bulatao, R. D. Lee, P. E. Hollerbach, & J. Bongaarts (Eds.), Determinants of fertility in developing countries (Vol. 1, pp. 347~369).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3.

Han, K. H., Park, Y. S., & Kim, U. (2010). Taking care of elderly parents: With specific focu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Paper presented at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ndigenous & Cultural Psychology. p. 318. July 24-27. Yogyakarta, Indonesia.

34.

Kagitcibasi, C. (1996). Family and human development across cultures: A view from the other sid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5.

Kim, M. S., Kim, U., Park, Y. S., & Baak, S. Y. (2009). Value of children among parents of infants in Korea: With specific focus on positive and negative reasons for having children. Paper presented at the 8th Biennial Conference of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p. 334, December 11-14, New Delhi, India.

36.

Kim, U., & Park, Y. S. (2000). Confucianism and family values: Their impac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 Zeitschrift fur Erziehungs-wissenschaft, 3(2), 229-249.

37.

UN (2010). http://esa.un.org/unpp. 주요국가의 출산율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