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The Longitudinal Effect of Leisure on Happiness and Health in Midlif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4, pp.415-434
류승아 (서울대학교)
김경미 (서울대학교)
최인철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여가생활은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여가가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지 못하여 그 인과관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나 평균 수명이 80세에 달하는 오늘날 중년기는 노년기 못지않게 새로운 관심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의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총 145명으로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5세 사이의 중년기에 해당하였다. 설문은 10개월을 간격으로 재실시 되었으며, 여가생활에 관한 질문은 여가만족도와 여가참여시간을 조사하였다. 행복과 건강에 관한 설문 내용은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건강 불편증상, 신체적 건강 불편증상, 및 수면의 질 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방법은 위계적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1차 조사 시기의 여가만족도와 여가참여시간이 1차 때의 각 종속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2차 시기의 종속변인에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여가만족도는 10개월 후의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건강 불편증상, 그리고 수면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참여시간은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및 신체적 건강 불편증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여가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여가, 중년기, 행복, 건강, 종단연구, leisure, middle aged adults, happiness, health, longitudinal study

Abstract

Leisure is an important role on happiness and health in midlife. Nevertheles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using a longitudinal method in Korea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eisure on happiness and health.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and time for leisure activities on happiness(SHS) and health-related variables(psychological symptoms, physical symptoms, and quality of sleep) in middle aged adults(40-65 years) by longitudinal data. Two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0 months' interval and total 145 respondents(M=49.45) participated in both survey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at both leisure satisfaction and time for leisure activities in the first time have an effect on happines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in the second time after controlling for each happiness and health variables in the first time as well as demographic variables. We found that leisure satisfaction influenced beneficially on happiness(SHS), psychological symptoms, and quality of sleep after 10-month. Similarly, time for leisure activities had effect on happiness(SHS), psychological symptoms, and physical symptoms after 10-month. The implication for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여가, 중년기, 행복, 건강, 종단연구, leisure, middle aged adults, happiness, health, longitudinal study

참고문헌

1.

강재성, 김재운 (2006). 교사의 여가활동 참여가 직무트스레스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교육연구, 10, 1-16.

2.

경향신문 (2011, 6월 5일). 우리나라 수면장애 환자 5년 새 갑절 증가. http://news.khan.co.kr/에서 2011, 9월 1일 인출.

3.

구태훈 (2005).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상희, 홍종배 (2008). 세대별 여가문화소비유형과 삶의 만족도 연구: 여가소비경향, 자기정체성, 대인관계, 여가소비만족도, 삶의 만족도간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46, 63-103.

5.

김경미, 류승아, 최인철 (2011). 삶의 의미가 노년기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 503-523.

6.

김명주 (1994). 직장인의 여가인지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8, 39-48.

7.

김승권, 장영식, 조흥식, 차명숙 (2008). 한국인의 행복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김은미, 최명구 (2006).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행복과의 관계. 아동교육, 1, 155-172.

9.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 99- 142.

10.

김정운, 이장주 (2003). 여가와 삶의 질: 중년부부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 1-10.

11.

김정운, 이장주 (2005).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 1-15.

12.

김지선, 이훈 (2008). 삶의 지향성에 따른 일과 여가의 의미분석. 관광연구논총, 20, 79 -100.

13.

김현화 (1991).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혜경 (2009).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생활만족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우울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12, 112-119.

15.

박원임, 문용, 박문환 (1996). 중년기 직장인의 여가장애지각과 지각된 여가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제 34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48-154.

16.

보건복지부 (2011). OECD Health Data 2011.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tat. mw.go.kr/에서 2011, 9월 15일 인출.

17.

성영신, 고동욱, 정준호 (1996). 여가의 심리적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9, 17 -40.

18.

신갑호, 문용 (1999). 노인의 여가동기와 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모델. 한국체육학회지, 38, 158-169.

19.

원형중 (1994). 여가활동 참여가 수도권 거주 노인의 고독감,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4, 90-104.

20.

윤소영 (2009). 행복한 사회와 문화정책의 방향. 한국사회학회/한국문화관광연구원 공동 학술 심포지움. 서울: 프레스센터.

21.

이동원 (2007). 행복연구의 복지정책에 대한 시사점. 제 5차 한국종합사회조사 심포지엄. 서을: 삼성경제연구소.

22.

이영기, 이종경 (1993). 연령별 여가와 일의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2, 419-427.

23.

이태현, 박민식, 이성노 (2010). 중년남성의 운동참여 형태에 따른 신체상과 생활만족도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 421-435.

24.

이희범, 한혜원 (2000). 노년기 여가참여 형태와 여가만족과의 관계. 한국레크리에이션 학회지, 19, 213-224.

25.

임승현, 남경완, 남인수 (2009). 고등학생이 지각한 여가기능이 여가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8, 251-263.

26.

정병웅 (1996). 직업과 여가의 관계에 관한 개념적 고찰. 관광개발논총, 5, 171-190.

27.

정영린 (1997).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조광익 (1996). 노동과 여가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 관광연구논총, 8, 233-261.

29.

채선애, 한성열 (2002). 여가활동, 여가동기,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 17-31.

30.

최지혜 (2007).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와의 관계.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한주희, 강은주 (2010). 직무복잡성, 역할갈등 및 역할 모호성이 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의 참여 정도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29, 103-119.

32.

황향희 (2004).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가유형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3, 177-192.

33.

Ackerman, S., Zuroff, D. C., & Moskowitz, D. S. (2000). Generativity in midlife and young adults: Links to agency, commun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0, 17-41.

34.

Argyle, M. (1987). The psychology of happiness. Methuen & Co. Ltd.

35.

Argyle, M.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London: Penguin Books.

36.

Beard, J. G., &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 20-33.

37.

Bolger, N., & Eckenrode, J. (1991). Social relationships, personality, and anxiety during a major stressful ev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440-449.

38.

Borland, D. C. (1978). Research on middle age: An assessment. The Gerontologist, 18, 379-386.

39.

Brim, O. G., Ryff, C. D., & Kessler, R. C. (2004). How healthy are we? A national study of well-being at midlife.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s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research and practice. Psychiatry Research, 28, 193-213.

41.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117-124.

42.

Cheek, N. H., & Burch, W. R. (1976). The social organization of leisure in human society. New York: Harper and Row.

43.

Dunkerly, D. (1975). Occupation and societ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44.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W. W. Norton & Co., Inc.

45.

Evandrou, M., Glaser, K., & Henz, U. (2002). Multiple role occupancy in mid-life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in Britain. Gerontologist, 42, 781-789.

46.

Grossbaum, M. F., & Bates, G. W. (2002). Correlat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t midlife: The role of generativity, agency and communion, and narrative them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6, 120-127.

47.

Harahousou, Y. (2006). Leisure and ageing. In C. Rojek, S. M. Shaw, & A. J. Veal(Eds.), A handbook of leisure studies (pp.231-249). New York: Palgrave Macmillan.

48.

Hunter, S., & Sundel, M. (1989). Middle myths: Issues, findings, and practical implications. Newburg Park, CA: SAGE.

49.

Iso-Ahola, S. E. (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owa: William C. Brown Publishers.

50.

Knapp, M. (1976). Predicting the dimension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31, 596-604.

51.

Larsen, R. J., & Kasimatis, M. (1991). Day-to-day physical symptom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duration, and emotional concomitants of minor daily illness. Journal of Personality, 59, 387-423.

52.

Lu, L. (2011). Leisure and depression in midlife: A Taiwanese national survey of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 137- 147.

53.

Lu, L., & Hu, C. H. (2005). Personality, leisure experiences and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6, 325-342.

54.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im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 137-55.

55.

Ministry of Social Development (2006). The social report 2006. Wellington, New Zealand: Ministry of Social Development.

56.

Moen, P., & Wethington, E. (1999). Midlife development in a life course context. In S. L. Willis, & J. D. Reid(Eds.), Life in the middle: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in middle age. San Diego: Academic Press.

57.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06, April 19).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2007-03. Retrieved from http://www.cdc.gov/nchs/data/nvsr/ nvsr54/nvsr54_14.pdf

58.

Noller, P., Feeney, J. A., & Peterson, C. (2001). Personal relationships across the life span. London, UK: Psychology Press.

59.

Parker, S. R., & Smith, M. (1976). Work and leisure. Dubin, R.(ed.), Handbook of work, organization and society. Chicago: Rand MacNally College Publishing.

60.

Peterson, C., Park, N., & Seligman, M. E. P. (2005).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ull life versus the empty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6, 25-41.

61.

Pressman, S. D., Matthews, K. A., Cohe, S., Martire, L. M., Scheier, M., Baum, A., et al. (2009). Association of enjoyable leisure activities wi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 being. Psychosomatic Medicine, 71, 725-732.

62.

Rovio, S., Kareholt, I., Helkala, E. L., Viitanen, M., Winblad, B., Tuomilehto, J., et al. (2005).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t midlife and the risk of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Lancet Neurol, 4, 705-711.

63.

Russell, R. V. (1996). Pastimes: The context of contemporary leisure. Dubuque. IA: Brown & Benchmark Publishers.

64.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6- 78.

65.

Ulrich, R. S., Dimberg, U., & Driver, B. L. (1990). Psychophysiological indicators of leisure consequenc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 154-166.

66.

Willis, S. L., & Reid, J. E. E. (1999). Life in the middle: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in middle age. San Diego: Academic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