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놀이환경 변화를 통해 본 디지털문화심리학의 방향 모색

Search for the Direction of the Digital Cultural Psychology through Environmental Changes in Play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1, pp.131-154
이장주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안정근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급격한 디지털화로 우리 사회의 변화는 적응과 대처라는 새로운 심리학적 과제를 만들어냈다. 이런 변화의 핵심에는 놀이가 자리한다. 놀이는 전통사회와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노동의 부수적인 활동이었으나, 생산성과 효율이 극대화된 디지털 사회에서는 경제, 사회, 문화의 전반을 포괄하는 핵심 활동이 되었다. 그러나 놀이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여전히 산업사회 기반의 분석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였다. 이런 점을 분석하면서 디지털 문화의 핵심적인 특성인 멀티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 및 이들이 결합된 디지털 게임 이용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심리학적 영향에 대해 다루었다. 다음으로 기존의 심리학과 디지털 문화 심리학의 차이점을 자아개념, 정보처리방식, 성역할 등을 통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문화심리학의 미래 방향, 기존 심리학과의 차별성과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keywords
digital, play, digital cultural psychology, multimedia, social networks, 디지털, 놀이, 게임, 디지털문화심리학, 멀티미디어, 소셜네트워크

Abstract

Rapid social changes due to digitization have created new psychological challenges of adapting and coping. Plays are in the center of these changes. Plays used to be collateral activities of labor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industrial society, but they have become key activities embracing economy, society, culture in a digital society that has been maximized productivity and efficiency. Still, the theoretical approach of plays is based on the industrial societies. Analyzing these points, the psychological impacts of players using multimedia, social networking, and digital games utilizing both of them was dealt in this article. I dealt with multimedia, social networking, and digital games as key characteristic of digital culture.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psychology and Digital Cultural Psychology was dealt in the perspective of self-concept, information processing, and sex role. Then the conclusion on the future directions of Digital Cultural Psychology and its limitations will be followed.

keywords
digital, play, digital cultural psychology, multimedia, social networks, 디지털, 놀이, 게임, 디지털문화심리학, 멀티미디어, 소셜네트워크

참고문헌

1.

강남국 (2002). 여가사회의 이해. 형설출판사.

2.

권상희 (2008). 디지털문화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3.

김정운 (2005). 노는 만큼 성공한다. 21세기북스.

4.

류철균과 신세미 (2007). 가상세계의 재미노동과 사용자 정체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8), pp.182~190.

5.

정상철 (2010). SNS가 문화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토론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진화에 따른 문화콘텐츠 산업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자료집(2010. 11.4)

6.

정준영 (2003).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

7.

이선애 (2009). 유아와 바깥놀이 이론과 실제. 창지사.

8.

이성식, 전신현 (2007) 사이버공간의 사회심리학. 집문당.

9.

이장주 (2007). 중독담론의 이데올로기- 게임을 중심으로. 제3회 춘천국제여가심포지엄. pp.201~218.

10.

이장주 (2008). e스포츠의 여가적 발견. 현대여가연구의 이슈들(한국여가문화학회 편, pp. 67~92.), 한올출판사.

11.

이정모, 이건효, 이재호 (2004). 사이버인지심리학의 개념적 재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6(4), pp.365~391.

12.

이정우 (2000). 가로지르기. 산해.

13.

이채리 (2010). 사이버 공간에 대한 기술철학적 연구. 범한철학, 56, pp.257~282.

14.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15.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인터넷으로 인한 유․청소년 행동변화관련 실험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연구보고서.

16.

황상민 (2004). 대한민국사이버신인류: 폐인 그들이 세상을 바꾼다. 21세기북스.

17.

황상민, 한규석 (1999). 사이버 공간의 심리. 박영사.

18.

Beck, J. C., & Wade, M. (2006). 게임세대 회사를 점령하다[The Kids are Alright: How the Gamer Generation is Changing the Workplace], (이은선 역, 2006). 세종서적.

19.

Brown, S., & Vaughan, C. (2009). 플레이, 즐거움의 발견[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윤미나 역, 2010). 흐름출판.

20.

Caillois, R. (1958). 놀이와 인간[Les Jeux et les Hommes], (이상률 역, 1994), 문예출판사.

21.

Cohen, J. (2005). How to Read 프로이트[How to Read Freud], (최창호 역, 2007). 웅진지식하우스.

22.

Ellul, J. (1954). 기술의 역사[The Technological Society, trans. by J. Wilkinson(1964) New. York: Vintage], (박광덕 역, 1996), 한울.

23.

Friebe, H., & Lobo, S. (2006). 디지털 보헤미안[Wir Nennen es Arbeit], (두행숙 역, 2007). 크리에디트.

24.

Huizinga, J. (1938). 호모루덴스[Homo Ludens], (김윤수 역, 1998). 까치

25.

Kern, S. (1983).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 ~1918[The Culture of Time and Space], (박성관 역, 2004). 휴머니스트.

26.

Markur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pp.224~253.

27.

Negroponte, N. (1995).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백욱인 역, 1996), 커뮤니케이션북스.

28.

Pink, D. H. (2001). 프리에이전트의 시대가 오고 있다.[Free Agent Nation].(석기용 역, 2001). 에코리브르.

29.

Pink, D. H. (2001). 새로운 미래가 온다.[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한국경제신문.

30.

Polanyi, K. (1944). 거대한 전환: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The Great Transformation :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홍기빈 역, 2009). 도서출판 길.

31.

Ryfikin, J. (1995). 노동의 종말[The End of Work: The Decline of the Global Labor Force and the Dawn of the Post-Market Era],(이영호 역, 1996), 민음사.

32.

Ryfikin, J. (2009). 공감의 시대[The 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이경남 역, 2010), 민음사.

33.

Roos, D. (2008). How Net Generation Students Learn and Work. How stuff Works, May 5. http:// communication howstuffworks.com에서 2011년 1월 24일 추출.

34.

Seligman, M. E. P. (1975). Helplessness: Ondepression, development, anddeath. SanFrancisco. CA: Freeman.

35.

Said, E. W. (1978).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박홍규 역, 1991). 교보문고.

36.

Tapscott, D. (2009). 디지털네이티브[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이진원 역, 2009), 비즈니스북스.

37.

Triandis, H.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l: Westview Press.

38.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 Press.

39.

Yee, N. (2006). The Labor of Fun: How Video Games Blur the Boundaries of Work and Play. Game and Culture Issue, 1(1), pp. 68~7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