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의 사회변동과 여가의 의미변화: ‘놀고 있네’에서 ‘신바람’으로

Social Changes and Changes of the meaning of leisure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1, pp.115-130
최석호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기존의 여가연구는 이론을 결여한 경험적 연구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는 점과 사회구조와 개인의 인성을 분리하여 연구를 진행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은 문명화과정론에 입각하여 한국사회가 구조적인 변동을 겪음과 동시에 구성원인 한국인의 인성 역시 변동을 겪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해방을 맞은 한국사회는 근대적 국민국가 건설에 돌입하였으며 급속한 경제성장을 거듭하면서 동시에 사회적 민주화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세계화로 대별되는 제3의 사회변동에서 경제위기를 겪고 국민은 민족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함과 동시에 군사모형에서 합리적 지배모형으로 지배연합이 바뀌는 변동기의 갈등을 경험한다. 이 과정에서 여가의 사회적 의미도 ‘놀고 있네’라는 비아냥에서 ‘신바람’이라는 긍정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친다.

keywords
여가, 일, 문명화과정론, 민족정체성 정치, 인성과 사회구조, leisure, work, civilising, process, national identity politics, personality and social structure

Abstract

As Korean society w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into the modern and once again is transforming into high modern society, meanings of leisure also are changing. However there were not many researches on changes of the two and even those were rarely found that leisure studies are based on theories in Korean academic context. The study provides changes of meanings of leisure from the theory of civilizing process and a detailed and critical examination of crises of Korean national identities in globalising society. As such reminds us that at a time changing structure of psyche and society delivers a new approach to our evaluation and appreciation of leisure. During the modernizing of Korean society work was a top priority and leisure could not take any priority over all other social institutions. However in a globalising world leisure has been taking as a vital sources of Korean dynamics.

keywords
여가, 일, 문명화과정론, 민족정체성 정치, 인성과 사회구조, leisure, work, civilising, process, national identity politics, personality and social structure

참고문헌

1.

김광억 (2006). 한국문화론의 정치인류학적 단면 - 세계화와 신토불이 사이에서. 김정오․김광억․하용출․이천표 (2006). 한국사회의 정체성과 글로벌 표준의 수용. 서울대학교 출판부.

2.

김정오․김광억․하용출․이천표 (2006). 한국사회의 정체성과 글로벌 표준의 수용.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김호기 (1999). 한국의 현대성과 사회변동. 나남.

4.

박명림 (2000). 근대화 프로젝트와 한국 민족주의. 역사문제연구소.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역사비평사.

5.

윤소영 외 (2006). 2006 여가백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6.

이병천 편저 (2003).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 - 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창비.

7.

최석호 (2006). 한국사회와 한국여가 - 근대적 대중여가의 형성과 문명화. 한국학술정보.

8.

최석호 (2009). 여가의 발견 - 새롭게 열리는 여가의 세계. 일신사.

9.

Elias, Norbert. (1978). What is Sociology?. 최재현 역 (1988).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나남.

10.

Elias, Norbert. (1982). The Civilizing Process - The History of Manners. 박미애 역 (1996). 문명화과정 Ⅰ. 한길사.

11.

Elias, Norbert. (1982). The Civilizing Process - State Formation and Civilization. 박미애 역 (1999). 문명화과정 Ⅱ. 한길사.

12.

Elias, Norbert. (1983). The Court Society. 박여성 역 (2003). 궁정사회. 한길사.

13.

Elias, Norbert. (1996). The Germans - Power Struggles and the Development of Habitus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Polity.

14.

Elias, Norbert & Eric Dunning. (1986). Quest for Excitement: Sport and Leisure in the Civilising Process. Blackwell.

15.

Elias, Norbert & John Scotson. (1995). The Established and the Outsiders. 박미애 역 (2005). 기득권자와 아웃사이더. 한길사.

16.

Krieken, Robert van. (1998). Norbert Elias. Routledge.

17.

Maguire, Joseph. (1999). Global Sport: Identities, Societies, Civilizations. Polity.

18.

Rojek, Chris. (1993). Ways of Escape.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19.

Rojek, Chris. (1985). Capitalism and Leisure Theory. 김문겸 역 (2000a). 자본주의와 여가이론. 일신사.

20.

Rojek, Chris. (2000b). Leisure and Culture. Macmillan.

21.

Rojek, Chris. (1995). Decentring Leisure - Rethinking Leisure Theory. 최석호․이진형 역 (2002).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일신사.

22.

Rojek, Chris (ed.). (1989). Leisure for Leisure. Macmilla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