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노년기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일본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Parental, Occupational Role Reconstru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nd Old Aged Japanese Married Men and Wome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0, v.16 no.1, pp.81-101
장수지 (경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 자녀의 독립과 은퇴에 직면하는 중․노년기에 부모 및 직업역할의 비중축소를 통한 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2)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역할 재구조화는 부모 및 직업역할에 대한 집착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일본의 기혼남녀 378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회수율 48.3%). 그 결과, 부모 및 직업역할에 집착할수록 그 역할에 대한 상실불안감이 증대되어 심리적 안녕감이 저하되는 경로가 여성에게서 확인되었다. 역할집착의 개인차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자율성이 높고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며 사회적지지망이 협소할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여성의 경우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고 사회적지지망이 좁을수록 부모역할에 집착하였으며, 성역할태도가 비전통적일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노년기의 역할 재구조화의 중요성 및 성별 사회화 과정에 따른 역할 재구조화의 성차와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keywords
역할 재구조화, 심리적 안녕감, 부모역할, 직업역할, 성차, role reconstru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al role, occupational role, gender difference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occupational role reconstru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 and old age, (b)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factors to affect parental/occupational roles reconstruction. The role reconstruction was measured as the extent to obsess with parental and occupational role in transition. Mail survey was conducted on 378 Japanese married men and women in ages between 50 and 69. As results, the hypothetical pathway was identified in women as follows. The obsession with parental and occupational roles raised parental and occupational role loss anxiety. And both of role loss anxiety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For men, obsessed with the occupational rol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utonomy, gender role attitude, social support network. For women, gender role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occupational and parental role obsession, and social support networks had significant impact on parental role obsession.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role reconstruction in middle and old age, gender difference in role reconstruction according to gender role socialization.

keywords
역할 재구조화, 심리적 안녕감, 부모역할, 직업역할, 성차, role reconstru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al role, occupational role, gender difference

참고문헌

1.

고인균 (1987). 중년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증에 관한 상관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명자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3.

김애순 (1993). 중년기 위기감(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3(2), 1-14.

4.

김애순, 윤진 (1993). 중년기 위기감(1): 그 시기 확인 및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3(1), 1-16.

5.

김애순 (2006).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시그마프레스.

6.

김후경, 이순철, 오주석 (2007). 고령자의 상실감과 자아통합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17-32.

7.

김현순 (1994). 중년 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우울 성향과의 관계. 서울여대 석사학위 논문.

8.

김현화, 조병은 (1992). 성격 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1), 207-228.

9.

김태현 (2007). 노년학, 교문사.

10.

박군석 (2009). 은퇴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은퇴전 직종에 따른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2), 291-318.

11.

신기영 (1991). 중년기주부의 위기감과 사회관계망지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161-178.

12.

오명옥, 고효정, 박청자 (2000).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4(1), 17-31.

13.

왕석순, 서병숙 (1995). 중년기 적응 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한국노년학, 15(1), 54-73.

14.

이은아 (2006). 중년기 기혼남녀의 성역할 태도와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과학회지, 9(1), 25-42.

15.

임정빈, 정혜정 (1997). 성역할과 여성: 여성학 강의. 학지사.

16.

장휘숙 (2002). 여성심리학, 박영사.

17.

정옥분 (2008). 성인노인심리학, 학지사.

18.

통계청 (2008). OECD 국가지표.

19.

青木邦子 (1993)高齢化社会における女性(文化的土壌と幸福感)自立概念の整理と自立性尺度の作成. 東京女子大学比較文化研究所紀要, 54, 79-122.

20.

北村琴美,, 無藤隆 (2001). 成人の娘の心理的適応と母娘関係: 娘の結婚出産というライフイベントに着目して. 発達心理学研究, 12, 46-57.

21.

北村琴美, 無藤隆 (2003). 中年期女性が報告する娘との関係と心理的適応との関連, 心理学研究, 74,9-18.

22.

新村出 (2008). 広辞苑.

23.

新村出 編 (2008). 広辞苑 第六版. 岩波書店.

24.

鈴木淳子 (1991). 平等主義適性役割態度:SESRA(短縮版)の信頼性と妥当性の検討および日米女性の比較, 社会心理学研究, 6, 80-87.

25.

松山久美 (2003). Identity確立と中高齢期における役割喪失感. 東京大学修士学位論文.

26.

岡本祐子, 松下美知子 (2004). 女性のためのライフサイクル心理学. 福村出版.

27.

乙部由子 (2006). 中高年女性のライフサイクルとパートタイム:スーパーで働く女たち. ミネルヴァ書房.

28.

清水紀子 (2004). 中年期の女性におけるこの巣立ちとアイデンティティ. 発達心理学研究, 15, 52-64.

29.

Atchley, R. C. (1982). Adjustment to loss job at retirement. Adult Development and Aging.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30.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the life-cycle. Psychological Issues, 1, 18-164.

31.

Glenn, N. D. (1975).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postparental stage: Some evidence from national survey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 105-110.

32.

Hooyman, N. R. & Kiyak, H. A. (2008).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Allyn and Bacon.

33.

Iwao, S. (1993). The Japanese Woman: Traditional Image and Changing Reality, The Free Press.

34.

Levinson, D. J. (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Knopf.

35.

Liville, P. W. (1985). Self complexity and affective extremity: Don't put all of your eggs in one cognitive basket. Social Cognition, 3(1), 94-120.

36.

Liville, P. W. (1987). Self complexity as a cognitive buffer against stress-related ill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4), 663-676.

37.

Lowenthal, M., Thurnher, M., & Chiriboga, D. (1975). Four stages of life. San Francisco: Jossey-Bass.

38.

Lubben, J., Blozik, E., Gillmann, G., Iliffe S., Kruse, W., Beck, J. C., & Stuck, A. E. (2006). Performance of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Among Three Europea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Populations. The Gerontologist, 46(4), 503-513.

39.

Matsumoto, D. (2002). The New Japan: Debunking seven cultural stereotypes. Intercultural Press.

40.

Neugarten, B. L. (1974). Age groups in American society and the rise of the young-old. Annu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s, Sept., 187-198.

41.

Neugarten, B. L. (1979). Time, age, and the life cycl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6(7), 887-894.

42.

Newman, B. M., & Newman, P. R. (1995). Development through life-A psychological approach (6th Ed.),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Inc.

43.

Peck, R. C. (1968). Psychological developments in the second half of life. In B. L. Neugarten (Ed.),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4.

Rubin, L. B. (1979). Women of a certain age. N. Y.: Harper and Row.

45.

Sobel, M. E.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Ed.), Sociological methodology,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