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기독교인의 종교성향에 따른 수치심과 죄책감의 차이에 대한 연구

The Difference in the Christians' Shame and Guilt-Feeling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Propensi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4, pp.469-486
송욱 (서울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김윤주 (한양사이버대학교)
한성열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 기독교인 711명을 대상으로 종교성향에 따른 수치심, 죄책감을 비롯한 자의식적 정서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종교성향, 수치심 및 죄책감의 관계를 살펴본 뒤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과 자의식적 정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종교성향을 네 집단으로 나누고, 수치심과 죄책감을 비롯한 자의식적 정서에서의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연령은 내재적 종교성향 및 외재적 종교성향 모두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교회출석년수는 내재적 종교성향 및 수치심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재적 종교성향은 죄책감과 정적 상관, 수치심과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외재적 종교성향은 이와 정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셋째, 종교성향집단에 따른 자의식적 정서의 집단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친종교성향집단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게, 비종교적 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죄책감의 경우 내재적 종교성향집단이 외재적 종교성향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수치감의 경우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내재적 종교성향은 성숙된 종교감정인 죄책감과 외재적 종교성향은 미성숙하고 병리적인 종교감정인 수치심과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ligious propensity, shame, guilt-feeling, self-conscious feelings, TOSCA, 종교성향, 수치심, 죄책감, 자의식적 정서, TOSCA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hristians' self-conscious feelings - shame and guilt-feeling etc. -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propensity. For this 711 christians were participated. First,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demographic variables, religious propensity and self-conscious feelings, and then tested the differences in the self-conscious feelings according to 4 religious propensity - pro-religious, intrinsic-religious, extrinsic-religious and non-religious -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intrinsic religious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uilt-feeling than extrinsic religious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shame. In conclusion, christian's intrinsic-religious, propensity seemed to relate to mature religious attitudes, but christian's extrinsic-religious propensity to immature attitud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religious propensity, shame, guilt-feeling, self-conscious feelings, TOSCA, 종교성향, 수치심, 죄책감, 자의식적 정서, TOSCA

참고문헌

1.

김기범, 임효진 (2005), ‘사람됨’ 준거위반과 도덕적 정서로서의 화(火)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3), 1-21.

2.

김영인 (2004), 기독교인의 종교성향과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의 상관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남기숙 (2002).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수치심과 죄책감의 구분문제, 심리과학 11-1.

4.

노상헌 (2004). 열두번째 만남 : 어린영혼과 벅찬 세상, 뉴라이프Ⅰ워크북. 서울: 뉴라이프 카운슬링센터.

5.

노상헌 (2005). 열두번째 모임: 상처와 그 후유증, 뉴라이프Ⅰ워크북. 서울: 뉴라이프 카운슬링센터.

6.

류설영 (1999).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죄책감, 수치심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병권 (1997). 기독교 노인의 종교성향과 삶의 만족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재연 (1993). 종교성향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현령 (2002). 자기불일치와 수치심, 죄책감의 관계-자기불일치 중요도와 자기기준 선호도의 조절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심수명 (1993). 기독교인의 종교성향에 따른 자아분화와 죄책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심종온 (1999). 수치심 경향성, 죄책감의 경향성 및 사건귀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혜진 (1991), 내적-외적 종교성향과 편견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누미야 요시유키 (1997). 통제소재와 종교성향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누미야 요시유키, 최일호, 한성열 (2002). 내세관의 사회심리학: 일상생활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1), 143-144.

15.

이승구 (1992). 종교성향과 타 교파에 대한 배타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형수 (2003). 수치심의 지각정도에 따른 대처방식과 우울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칠수 (2004). 기독교인의 종교성향과 자녀양육태도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상진, 김기범 (2000). 체면의 심리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185-202.

19.

Allport, G. W., & Ross, J. M. (1967),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and prejud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432-443.

20.

Barrett, K. C. (1955). A functionalist approach to shame and guilt. In J. P. Tangney & K. W. Fischer(Eds.), Self- Conscious emotion: 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pp. 25-63). New York : Guilford Press.

21.

Bradshaw, J. (1988). Healing the Shame That Bind You. Florida Health Communication Incorporation.

22.

Buss, A. H. (1957).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1(2), 343-349.

23.

De Rivera, J. (1984). The structure of emotional relationship. In P. Shaver(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igy: Emotions, relations, and health(pp. 116-145). Beverly Hills, CA : Sage.

24.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Psychological Issues Monographs, 1(Whole No. 1).

25.

Freud, S. (1953). Three essays on theory of sexuality. In. J. Strachey (Ed.),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 7, pp. 135-243). London: Hogarth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05).

26.

Freud, S. (1961). Civilization and its discintents(J. Strachey, Trans.). New York: Norton. (Original work published 1930)

27.

Hogan, R., & Cheek, J. (1983). Self-concepts, self-presentations, and moral judgement. In J. Suls & A. G. Greenwald(Eds.), Psychology perspectives on self(Vol. 2, pp. 249-273).

28.

Hood, R. W. (1970). Religious orientation and the report of religious experience,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9, 285-291.

29.

Hood, R. W. (1972). The conceptualization of religious purity in Allport's typology,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24, 413-419.

30.

Izard, C. E. (1977). Human emotions. New York: plenum.

31.

James, W. (1902).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A Study in Human Nature, New York: The Modern Libraray.

32.

Kugler, K., & Jones, W. H. (1992). On conceptualizing and assessing guil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2), 318-327.

33.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4.

Morrisson, A. P. (1996). The Culture of Shame.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35.

Mosher, D. L. (1966). The development and multi- trait- multi-method matrix analysis of three measures and three aspects of guilt.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30(1), 25-29.

36.

Piers, G., & Singer, M. B. (1971). Shame and guilt: A psychoanalytic and cultural study. New York: Norton. (Original work published 1953).

37.

Sang H. Roh. (2000). Shame, Guilt, and Cul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heaton College.

38.

Scheff, T. J. (1987). The shame-rage spiral: A case study of an interminable quarrel. In H. B. Lewis (Ed.), The role of shame in symptom formation (pp. 109-149). Hillsdale, NJ: Erlbaum.

39.

Tangney, J. P. Wagner, P. E., & Gramzow, R. (1989). The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Fairfax, VA: George Mason University.

40.

Tangney, J. P. (1990). Asse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proneness to shame and guilt: Development of the Self-Conscious Affect and Attribution Inventory. Journal of Personslity and Social Psychology, 59(1), 102-111.

41.

Tangney, J. P. (1991). Moral affect: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3), 598-607.

42.

Tangney, J. P. (1995a). Recent advances in the empirical study of empirical study of shame and guilt.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8, 1132-1145.

43.

Tangney, J. P. (1995b). Shame and guil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J. p. Tangney & K. W. Fischer(Eds.), Self-conscious emotions: Shame, guilt, embarrssment, and pride. (pp. 114-139). New York: Guilford Press.

44.

Tangney, J. P., Niedenthal P. M., Covert M. V., & Barlow D. H. (1998). Are Shame and Guilt Related to Distinct Self-Discrepanc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1), 256-268.

45.

Wheeler, G. (2000). Self and Shame: A Gestalt Approach. Gestalt Review, 4, 221-244.

46.

Wurmser, L. (1981). The mask of shame.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