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신명나는 삶: 한국사람들의 행복에 대한 이해

The Happiness as a cultural concept: Understanding “Shinmyeong”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1, pp.81-94
한민 (Clark University)
한성열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행복은 문화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행복에 대한 논의들은 이러한 전제 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한국사람들의 행복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실제로 ‘행복’이라는 표현 자체는 한국문화에서 매우 많은 맥락을 함축하고 있으며 개인의 주관적 안녕이라는 의미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사람들의 개인적인 삶의 만족은 오히려 신바람 혹은 신명이라는 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람들의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신명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사람들에게 신명이란 자기가치감의 발현과 관련 있는 감정으로서 일상생활에서 누적된 부정적 감정들을 해소하고 삶을 활력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신명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현상 및 한국사람들의 행동과 동기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으로 한국사람들의 행복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keywords
행복, 문화적 개념, 삶의 만족, 살 맛 나는 삶, 신명, happiness, culture, cultural context, shinmyeong

Abstract

Present research is conducted for understanding the happiness of Korean people. In psychology, the happiness has been studied as subjective state which an individual perceives such as wellbeing(SWB) and satisfaction of life(SOL). However, the perceptions of people would be effected by their own culture, so the happiness has to be considered as a cultural concept. “Haengbok(幸福)”, the Korean traditional concept of happiness has to be considered in various viewpoints. Many conditions will be needed to experience the feeling in Korea. However, in many cases, the “Haengbok” is formal expression. The practical term to express the feeling of happiness might be “Shinmyeong”. Shinmyeong is one of the Korean unique positive feeling. The term Shinmyeong has been used widely in the context of celebrating happy life in Korean culture. According to former studies, Shinmyeong has influence not only on people's self esteem and self resiliency but on their SWB and SOL.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Shinmyeong is introduced and discussed to extend the discussion about happiness and culture.

keywords
행복, 문화적 개념, 삶의 만족, 살 맛 나는 삶, 신명, happiness, culture, cultural context, shinmyeong

참고문헌

1.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1-25.

2.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3.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 (2002).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4.

김열규 (1982). 한국인의 신명. 서울: 주류.

5.

신도철 (1981). 한국인의 삶의 질 대연구. 정경문화

6.

요시카와 로죠 (2001). 신바람 한국 가미카제 일본. 서울: 다락원

7.

이규태 (1991). 한국인의 의식구조. 서울: 신원문화사.

8.

이누미야 요시유키 (2004). 한일 비교 성격론. 인본연구, 11, 101-124.

9.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윤주 (2006). 긍정적 환상의 한일비교: 주체성 자기와 대상성 자기에 의한 설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9-34.

10.

이누미야 요시유키, 한민, 이주희, 이다인, 김소혜 (2007).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2), 17-34

11.

이수정, 안신호 (2005).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에 대한 연구개관. 심리과학연구, 4, 123-143.

12.

이어령 (2003). 푸는 문화 신바람의 문화. 서울: 문학사상사.

13.

이장우, 이민화 (1997). 신바람 관리. 경영학연구, 24(2), 339-370.

14.

이지선, 김민영, 서은국 (2004). 한국인의 행복과 복: 유사점과 차이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115-125.

15.

최상진, 김기범 (1999). 한국인의 심정심리: 심정의 성격, 발생과정, 교류양식 및 형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8(1), 1-16.

16.

한덕웅 (2006). 한국문화에서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45-79.

17.

한민 (2007). 신명의 심리학적 개념화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한민, 한성열 (2007a). 신명에 대한 문화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83- 103.

19.

한민, 한성열 (2007b). 신명의 개념화 및 구조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2), 279-306.

20.

한민, 한성열 (2008). 신명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259- 280.

21.

한민, 최진이, 장소연, 한성열 (2008). 신명경험의 개인차,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발표논문초록집(육군사관학교).

22.

Andrew, F. M., & Withey, S. B.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Press.

23.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117-124.

24.

Deiner, E., E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 measure of globa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9.

25.

Diener, E., & Emmons, R. A. (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05-1117.

26.

Diener, E., & Diener, M. (1995).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653-663.

27.

Diener, E., & Seligman, M. E. P. (2004). Beyond money: Toward an economy of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5(2), 1-31.

28.

Diener, E., Suh, E., Lucas, R. E., &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29.

Edwards, A. L. (1957). The social desirability variable in personality assessment and research. New York: Dryden Press.

30.

Kendall, P. C., Howard, B. L., & Hays, R. C. (1989). Self-referent speech and psychopathology: The 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thinking.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3, 583-598.

31.

Kwan, V. S. Y., Bond, M. H., & Singelis, T. M. (1997). Pancultural explanations for life satisfaction: Adding relationship harmony to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1038-1051.

32.

Langer, E. J. (1975). The illusion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2, 311-328.

33.

Langer, E. J., & Rodin, J. (1976). The effects of choice and enhanced personal responsibility for the aged: A filed experiment in an institutional set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4, 191-19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