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전망, 영역별 삶의 목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loyment Prospects, Life Aims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8, v.14 no.4, pp.19-37
오현숙 (한신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년 동안 악화돼온 청년실업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부정적인 취업전망과 같은 사회인지 요인이 대학생의 삶의 목표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자아관, 현실관, 미래관 및 삶의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삶의 목표와 만족도 검사 FLL’ 및 지각된 취업전망에 관한 질문을 통한 조사를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3개 종합대의 239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FLL의 총 34개 문항의 영역별 삶의 목표들은 요인분석에 의해서 6개 상위 목표, 즉 자기애적 목표, 가족애/대인적 목표, 개인-경제적 목표, 사회공익적 목표, 도덕적 목표, 정치. 이념적 목표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전체 집단은 군집분석 결과 취업전망이 서로 다르며, 취업전망이 긍정적일수록 목표가 더 충족된 것으로, 또한 목표를 이루는 자신의 효능감이 더 높으며 아울러 영역별 삶의 목표에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총 3개의 집단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취업전망에 따른 집단 간의 특성 차이를 유리한 또는 불리한 취업전망의 두 집단으로 구분한 뒤, t-검증을 통하여 비교해보았을 때는, 이들 두 집단 간에는 청년실업인지도 및 성별, 나이, 학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불리한 취업전망의 집단은 가족애/대인적 목표, 개인-경제적 목표, 사회공익적 목표 영역에서 유리한 취업전망의 집단보다 목표들을 유의하게 더 중요한 것으로 인지하였다. 반면 이들은 가족애/대인적 목표 영역을 제외하고는 비교집단에 비해 목표들이 유의하게 덜 이루어졌다고 판단했으며(부정적 현실관), 자기애와 도덕적 목표 영역을 제외한 4개의 영역에서 목표를 이룰 능력이 자신들에게 더 적게 있다고 평가했다(부정적 자기효능감). 이들은 또한 삶의 만족도에서는 가족애/대인적 목표, 그리고 도덕적 목표 영역을 제외하고 4개의 전 영역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덜 만족하는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미래관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결과와 함께 취업전망의 문제를 중요한 사회인지적 요인으로 다루어야 하는 이유가 논의되었다.

keywords
취업전망, 삶의 목표, 삶의 만족도, 자아관, 현실관, 미래관, employment prospects, life aims,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view of reality, view of the future

Abstract

The youth unemployment issue has not shown any improvement in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ow employment issue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 their life aims, self-efficacy, view of reality, view of the future, and life satisfaction. 239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ssessed through the instrument FLL and questions about employment issues, their life aims, life satisfaction and also their employment perspective. A total of 34 items of the FLL were divided through factor analysis into six higher life aims, self-love, family love and interpersonal aims, personal-financial aims, social-public aims, moral aims and political and ideological aims. Using Cluster analysis, three group profil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employment perspective such as a better view of reality, better self-efficacy, and better life satisfaction. A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two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favorable or unfavorable employment perspectiv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groups in the perception of youth unemployment or in social-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academic year. However, in life aims, the unfavorab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in the domains of family love and interpersonal aims, personal -financial aims, and social-public aims than the favorable perspective group. Conversely, thi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negative view of reality in most life domains, as it evaluated that its aims are more poorly achieved than the comparable group. Also, the unfavorable perspective group showed a lesser degree of self-efficacy in most life domains and the same in the category of life satisfaction, i.e., lesser satisfaction in all life domains except for family love, and moral aim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groups in the view of the futur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other social-cognitive factors for life satisfaction found in preceding studies.

keywords
취업전망, 삶의 목표, 삶의 만족도, 자아관, 현실관, 미래관, employment prospects, life aims,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view of reality, view of the future

참고문헌

1.

(2007) 경향신문 (2007-08-17). 취업자 수 두 달 연속 30만 명 늘어. 청년취업은 감소세 지속,

2.

(2007) 경향신문 (2007-10-22). 청년층 고용사정 갈수록 나빠져,

3.

김금운, (1999) 1999학년도 재학생 실태조사 연구, 학생생활연구

4.

김유현, (2007) 2007학년도 신입생 실태 및 의식조사, 한신대학교 학생상담센터

5.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 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008) 내일신문 (2008-06-13). 인력수급 불일치 해소방안,

7.

류혜숙, (2005) 대학혁신의 방향. 한국대학, 이대로 좋은가, 한신대 학술원 사회과학연구소 2005년 심포지엄

8.

(2008) 머니투데이 (08-07-13). 경총, 일자리 영향 평가제도 도입 제안,

9.

박영신, (1999)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2008) 아시아투데이 (08-07-16). 6월 신규취업자 3년 4개월이래 최저치; 5월보다 3만 4천명 감소, 고용부진 심화,

11.

이정혜, (1998) 대학생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2.

조명한, (1994) 청소년의 삶의 질,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13.

차경호, (1995) 한국, 일본 및 미국 대학생들의 삶의 질 비교, 1995년 한국심리학회 춘계 심포지엄

14.

차경호, (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개인중심주의-집단중심주의 성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5.

황정규, (1997) 한국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심리적 건강, 신체 건강: 심리-사회적 형성 요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한국청소년문화,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6.

차경호, (2001)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 만족도, 청소년상담연구

17.

한성열, (1995) 삶의 질과 내재적 동기의 실현,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8.

Andrews,F.M.,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Plenum

19.

Campbell,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 being, American Psychologist

20.

Costa, P. T., Jr, (1980) Influence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on subjective well-being: Happy and unhappy peo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Social psychology

21.

Diener,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22.

Diener,E., (1994)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3.

Diener,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24.

Diener,E., (1995)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5.

Diener,E., (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6.

Diener, E., (2003) The evolving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happiness, Advances in Cell Aging and Gerontology

27.

Diener, E.,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28.

Emmons,R.A., (1985) Personality corelates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9.

Emmons,R.A., (1986) Imfluence of impulsivity and sociability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0.

Freedman,J.L., (1978) Happy People, Harcourt Brace Jocanovich

31.

Jerusalem,M., (1987) Selbstkonzept, Aengstlichkeit und Sozialklima von jugendlichen Migranten: Arbeitsbericht des Instituts fuer Psychologie, Freie Universitaet Berlin

32.

Kraak, B., (1987) Der Fragebogen zu Lebenszielen und zur Lebenszufriedenheit (FLL), Beschreibung, Theorie, Anwendung, Frankfurt a.M: Deutsches Institujt fuer Internationale Paedagogische Forschung

33.

Matlin,M.W., (1979) Individual differences in pollyanann polyannais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34.

McMahn,I.D., (1973) Relationships between causal attributions and expectancy of su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Maslow,A.H., (1967) A theory of metamotivation: a biological rooting of the value-life,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36.

Maslow,A.H., (1987)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 Row

37.

Rosenberg,M., (1979)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38.

Scitovski,T., (1976) The joyless economy: An inquiry into human satisfaction and consumer dissatisf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9.

Wilson,W., (1967)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Psychological Bulleti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