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중점화기법을 통해 본 남녀 대학생의 "성공/실패"에 대한 암묵적 표상

A Study of College students' implicit representations of 'success/failure' by dual-priming task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8, v.14 no.1, pp.101-123
조혜자 (이화여자대학교)
방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조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김현정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어머니와 연합된 성공/실패에 대한 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어머니/바구니와 성공/실패를 이중점화자극으로 100ms 동안 제시하고 난 뒤, 150ms 후(SOA 250ms)에 수용/거부와 관련된 목표자극(probe)을 제시하고 어의판단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조건의 반응이 통제조건보다 빨랐으며, 수용에 대한 반응이 거부 반응보다 빨랐고, 여자집단의 반응이 남자보다 빨랐다. 연구 2에서는 남녀별로 애착 고집단과 저집단을 나누어, 어머니와 성공/실패를 이중점화시킨 뒤 수용/거부에 대한 어의판단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성공/실패와 수용/거부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나, 성공-수용에 대한 반응은 가장 빨랐고, 실패-수용, 실패-거부, 성공-거부의 순으로 반응이 느려졌다. 한편 남자집단에서는 애착고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자집단에서는 3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여자 애착 고집단에서는 성공-수용, 성공-거부에 대한 반응차이가 크지 않았고, 실패-거부에 대한 반응이 매우 느렸으나, 여자 애착 저집단에서는 성공-수용은 매우 빠른데 비해 성공-거부는 매우 느렸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 긍정성 및 성별, 애착유형에 따라 다른 성공/실패 도식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keywords
애착유형, 성공/실패 도식, 어의판단과제, 자기 긍정성, 이중점화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implicit representations of success/failure associated with mother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presented 'mother' or 'basket' as a context prime and 'success' or 'failure' related words as second primes for 100ms, and were asked to make lexical decisions about 'accept' or 'reject' related words and non-words after 150 ms (SOA 250ms). Results revealed that lexical decision times on the mother condition were more rapid than the ones on the basket condition, and lexical decision times on the acceptance condition were more rapid than the ones on the rejection condition, and female participants showed shorter times than male students did. In study 2, we divided participants into four groups by gender and attachment styl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uccess/failure and acceptance/reje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quickest lexical decision times on the success-acceptance condition, and slowed times on failure-acceptance, failure-rejection, and success-rejection condition in order.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attachment group were found in males, but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s were found in females. In highly attached females, lexical decision times in success-acceptance condition were not differed from ones in success-rejection condition, and slowed times in failure-rejection condition. Low attached females showed very rapid times in success-acceptance condition, but very slow times in success-rejection condi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elf-positivity and success/failure scheme depending on gender and attachment styles.

keywords
attachment style, success/failure scheme, lexical decision task, self-positivity, dual priming task
투고일Submission Date
2008-02-19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