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동체의식의 함양에서 본 한국 학교교육의 문제점

Problems of Korean School Education Seen from the Standpoint of Enhancement of Community Spiri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8, v.14 no.특집, pp.469-485
정태연 (중앙대학교)
전경숙 (중앙대학교)
박은미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데 기여하고 있는지 여러 문헌과 자료들에 근거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공동체의식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주제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덕교육,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및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의 학교교육은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데 그 목적을 두기 보다는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적 기능에 국한되어 있었다. 도덕교육은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자원봉사활동도 점수를 따기 위한 의무적인 활동의 성격이 강했다. 학생들의 학교와 한국국민 및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도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결론에서, 이러한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공동체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community spirit, moral schooling, volunteer activity, and societal evaluation., 공동체의식, 도덕교육, 자원봉사활동, 사회인식.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e through literature review if Korean formal schooling plays role in enhancing community spirit on the part of students. Seen as quite relevant to community spirit, moral schooling,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evaluation of the Korean society were examined.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schooling orients itself to instrumental functions for personal goals rather than heightens community spirit of students. Moral schooling remains formal and superficial, and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are mandatory in nature for getting good marks. Further, students' evaluation of their school, Koreans and the Korean society are quite negative. In conclusion, methods for enhancing community spirit were discussed.

keywords
community spirit, moral schooling, volunteer activity, and societal evaluation., 공동체의식, 도덕교육, 자원봉사활동, 사회인식.

참고문헌

1.

강완숙, (1998) 가족의 가치지향과 부모의 도덕성 및 훈육이 청소년의 시민적 자질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2.

권순미, (2004)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이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Vol. 2004, No.3.

3.

김동수, (2007) 누가 부정행위를 허용하는가?,

4.

김미숙, (1998) 자원봉사센터의 현황과 효율적 운용방안, 보건복지포럼

5.

김 욱, (2007) 대학생의 사회봉사 활동 참여도와 정책적 함의: 참여빈도, 참여기간, 참여강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6.

김의철, (2004) 청소년과 부모세대의 한국 사람과 공공기관 및 국가에 대한 신뢰 분석, 한국심리학회 2004년도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

김의철 ; 박영신, (2004)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 청소년과 성인의 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

김인영, (2002) 한국사회 신뢰와 불신의 구조(거시적 접근), 소화

9.

김중대, (1998)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비교 연구: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및 비 수강학생을 중심으로,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학술논문집

10.

김중대, (1999) 한ㆍ일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비교연구, 복지행정학회

11.

김진송, (1999)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실문화연구

12.

박종주, (1992) 한국 청소년의 도덕성?공익성 실태분석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 연구

13.

서울특별시립 청소년자원봉사센터, (2006) 청소년봉사활동 의식조사보고서,

14.

오옥환, (2002) 한국사회의 교육열:기원과 심화, 교육과학사

15.

원영준, (1995) 미국의 자원봉사활동과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한국청소년연구

16.

이경은, (2000) 청소년 사회참가활동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17.

이미식 ; 김희재, (2006) 도덕과 교육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도덕의식 조사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18.

이숙종, (1994) 후기 산업사회 새로운 도덕성(2): 후기 산업사회에서 새로운 도덕성 정립을 위한 교육의 과제와 전망(Ⅱ), 기독교사상

19.

이재민, (2004)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과 추계공동학술대회

20.

정순우, (2007) 공부의 발견, 현암사

21.

정태연, (2001) 대학생 자녀와 그 부모가 평가한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2.

정태연 ; 김명원, (2003) 중등교육과정에 따른 여학생의 학습적 및 심리적 특성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

정태연 ; 송관재, (2006) 한국인의 가치구조와 행동 판단에서의 이중성: 대학생, 성인 및 탈북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24.

조휘일, (1998) 자아실현과 지역사회공동체 형성을 위한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개정판, 홍익재

25.

지은림, (2004)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담임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 비교, 교육발전연구

26.

천희영, (2000)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사회봉사 경험과 참여욕구에의 영향요인, 청소년복지연구

27.

통계청, 2006년 사회통계조사결과 (가족, 보건, 사회참여, 노동),

28.

표갑수, (1993) 중,고등학생의 중퇴요인과 대책:중퇴자와 재학자의 비교, 한국청소년연구

29.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7) 자원봉사 프로그램 백과, 사회복지협의회

30.

한덕웅, (2000) 한국사회에서 사회 문제의 지속과 변화: 1994와 비교,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31.

한상욱, (1999) 부모의 도덕적 기대가 중등학생의 도덕적 자기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2.

현외성, (1998) 대학사회봉사론, 유풍출판사

33.

홍연숙, (2000)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 및 중단원인에 대한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34.

홍후조, (2004) 학교교육을 통한 사회적 신뢰의 형성과 확대, 한국심리학회 2004년도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5.

황갑진, (2002) 학생의 학교불신 원인에 관한 연구: 민주화시기에 가정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6.

Tajifel, H., (1979)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In: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Brooks/Cole

37.

Tajifel, H., (1982)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