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북한 문화이질성: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을 중심으로

North Korea-South Korea culture heterogeneity in psych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4, v.10 no.2, pp.79-101
채정민 (고려대학교)
이종한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남북한 통일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남북한 문화이질성 논란을 심리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들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여기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정착 초기에 이 문화이질감을 상당히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 자체가 곧바로 문제로 드러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대한 대처의 전략으로서 남한 문화지향성을 얼마나 구사하느냐 하는 매개변인의 기능이 중요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즉, 남한 문화지향성을 중심으로 적절하게 대처하게 되면 자기효능감을 높게 가질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심리적 적응 수준도 높았다. 그런데, 이 심리적 적응 수준은 생활만족도와 같은 긍정적 지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 지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여기서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이 우울감이 높았고, 우울증상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경우가 해당 집단의 43% 수준에 이르는 정도로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남북한 문화이질감 극복을 위해 남한문화 적응 지향성을 많이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질감 그 자체만을 문제시하는 것보다는 이에 대해 대처하는 전략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culture, psychological adaptation, North Korean Defector, heterogeneity, reunification, culture, psychological adaptation, North Korean Defector, heterogeneity, reunification, 문화, 심리적 적응, 북한이탈주민, 이질성, 통일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understand and resolve psychologically the issue of North Korea-South Korea's cultural heterogeneity which is treated importantly in unification debates. We collected data from 181 North Korea Defectors through survey, and found out that the North Korea Defectors perceived cultural heterogeneity so much especially at the early settlement stage. However, this fact itself didn't give a serious suggestion, What is significant was how much South Korean cultural orientation they had as a coping strategy. When they coped with South Korean cultural orientation, they showed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furthermore they demonstrated high level of psychological adaptation. By the way, this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itive index such as life satisfaction, but correlated with negative index such as depression. That is, low self-efficacy group showed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43% of them could be classified as a depression-symptom group. Thus, we can conclude that it is rather helpful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have South Korean cultural orientation for overcoming North Korea-South Korea's cultural heterogeneity, and coping strategy is more important than cultural heterogeneity itself.

keywords
culture, psychological adaptation, North Korean Defector, heterogeneity, reunification, culture, psychological adaptation, North Korean Defector, heterogeneity, reunification, 문화, 심리적 적응, 북한이탈주민, 이질성, 통일

참고문헌

1.

(1998) 자기효능감과 도덕적이탈(I) 연령에 따른 변화.,

2.

(1999) 문화소통과 문화 통합 통일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 서울대학교 출판부

3.

(2002) 남,북한인의 가치관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4.

(2000) 북한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태도 ,

5.

(1998) 한국 문화의 이중성에 관한 소고,

6.

(2001) 탈북주민의 가치정향에 대한 비교 연구,

7.

(1994)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통일,

8.

(2000) 통일과 남북청소년, 연세대학교 출판부

9.

(1994) 드러난 얼굴과 보이지 않는 손 한국사회의 커뮤니케이션 구조,

10.

(1995) 또 하나의 북한 사회-사회구조와 사회의식의 이중성 연구, 나남출판

11.

(2004) 김정일 정권 10년:북한의 사회변화 통일연구원 개원 기념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12.

(1993) 남북한의 경제심리 비교 남북의 장벽을 넘어서 통일과 심리적 화합,

13.

(1997) 남북한 이질성 극복을 위한 심리사회적 조망,

14.

(1999)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15.

(1998) 남북한 생활문화의 이질화와 통합(II) - 북한의 가족아동소비시간 생활 조사분석을 중심으로,

16.

(1993) 남북한의 이데올로기 갈등과 사회발전 남북의 장벽을 넘어서 통일과 심리적 화합,

17.

(2000) 북한이탈주민 문제의 종합적 정책방안 연구 ,

18.

(1999) 남북한 생활문화의 이질화와 통합(III) - 북한의 의식주 생활 조사분석을 중심으로. ,

19.

(1997) 북한출신 주민(탈북자 포함) 심리사회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성곡학술문화재단

20.

(2000) 통일의 심리학적 접근: 21세기 민족통일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21.

(1998) 분단시대의 통일학, 한울

22.

(1999) 남북한 통합의 사회문화적 접근: 의의, 현실 및 모색. , 서울대학교 출판부

23.

(1995) 세계화시대의 통일과 여성 세계화시대의 통일과 지방화 ,

24.

(1996) ‘북조선’과 ‘남한’의 동질성과 이질성 또 하나의 문화통일 소모임 통일된 땅에서 더불어 사는 연습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5.

(1998) 반공,반제 규율사회의 문화 ,권력,

26.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대학원

27.

(2002) 북한이탈주민용 문화적응 전략 척도 개발 ,

28.

(2000) 북한의 문화적 특성과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

29.

(2001)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성향에 관한 연구,

30.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31.

(1977) Self-efficacy: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32.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3.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McGraw-Hill

34.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35.

(1999) A theory of fairnes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36.

(1988) Judgements of variability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1992)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s training and parent management training in treatment of antisocial behavior in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8.

(1997) Individual and collective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Self-enhanc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self-criticism in Japan,

39.

(2002) Unpackaging" acculturation aspects of accultuation as predictors of traditional sex role attitudes.,

40.

(1977)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41.

(1987) Ethnic community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Vietnamese refuge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