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태연(중앙대학교) ; 김종대(연세대학교) pp.1-30
이누미야요시유키(서정대학교) ; 한성열(고려대학교) pp.31-8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기 사생관의 전체적 구조를 밝히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자살, 임신중절, 장기기증 등의 청년기와 관련이 깊은 생명윤리문제에 대한 태도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그 배경에 있는 내세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종합적인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우선 선행 연구들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합적인 새로운 사생관 척도 제작을 시도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내세관 특성(내세지향성, 현세회귀성), 죽음의 의미(해방, 자연, 집대성, 좌절, 충격, 허무),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죽음수용, 죽음관심), 생명존중의지(자살억제의지, 중절억제의지, 장기기증의도) 등의 개념적 정의 및 조작적 정의를 재정립하였다. 이로써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생관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생관의 내부구조를 밝힐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된 것이다. 또한 그 동안 일부 요소(예컨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등)와의 관계만이 연구가 가능했던 정신건강이나 심리적 적응 및 심리 사회적 발달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사생관 전반에 걸쳐서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ment of a synthetic scale to measure young adults' views of life and death. Participants were 610 university students. The authors developed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including several subscales of afterlife views(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meanings of death(liberation, nature, integration, collapse, impact, futility), death anxiety, death concern(death acceptance, death awareness) and life respect will(suicide inhibition, abortion inhibition, organ donation intention).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view of life and death in young adulthood. This study, therefore, could work as a stepping ston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s included in views of life and death in young adulthood and to explore the consequences and determinants of personal view of life and death.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 조혜자(이화여자대학교) pp.83-1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남성과 여성의 자아해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남성들의 성 고정관념 점수가 여성들보다 높았고 이런 현상은 자아해석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여성들은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낮지만 자아해석은 매우 고정형적으로 하고 있었다. 성 고정관념의 활성화효과는 남성들에게는 나타나지 않고 여성들에게만 나타나,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자아해석을 덜 고정형적으로 하는 탈동일시 경향을 보였다. 영역별로는 역할 영역에서 남성은 고정관념을 수용하는 반면 여성들은 거부하는 양상이 나타났고, 외모 영역에서는 남녀 모두 고정관념을 수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능력영역에서는 남성들은 고정관념이 활성화될 때 더 고정형적인 자아해석을 하는데 비해 여성들은 탈동일시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처방적인 성 고정관념을 자아에 반영하는 경향은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성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정도에 따라 고정관념 고-저 집단을 나누어 자아해석을 살펴 본 결과, 남녀 모두 성 고정관념이 낮은 사람들은 높은 사람들에 비해 자아해석이 덜 고정형적이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에는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성 고정관념이 낮은 사람들이 고정형적인 자아해석을 더 많이 억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 고정관념이 그 수혜자인 남성과 피해자인 여성의 자아해석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쳐, 거부되기도 하지만, 자아에 반영되고 실천되어 성 고정관념을 유지시킬 수 있다고 해석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men's and women's self-construals do change according to gender-stereotype ac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en have stronger gender-stereotypes and construe self more gender-stereotypic way than women. In general, women showed having less gender-stereotype but they construed self more stereotypic way. And the stereotype activation affected only on women to construe self less stereotypic way. Both men and women do accept physical appearance stereotypes more than other domains of gender-stereotype when they construe their selves. Gender-role stereotypes are more accepted by men than women, and gender-stereotypes of ability are more accepted by men but refused by women when stereotype was activated. And men accepted prescriptive gender-stereotype more than women. People of high gender-stereotype group construe self more stereotypic way than those of low stereotype group. But in low gender-stereotype group, women construe self less stereotypic way when stereotype is activated than when not. These results are taken to show, among others, that self-stereotyping of targe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s are man or woman, and that self stereotyping of an individual contributes to build a mechanism of maintaining gender-stereotype of a society to which he or she belongs.

박영신(인하대학교) ; 김의철(중앙대학교) ; 탁수연(인하대학교) pp.107-14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일탈 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토착심리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1,038명이었으며, 보호관찰 청소년 268명과 그들의 부모, 고등학생 251명과 그들의 부모로 구성되었다.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집단별 부모관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모두 이 세상에서 가장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믿고 신뢰하는 이유로서 혈연관계가 가장 중요하였다. 둘째, 부모 집단별 자녀관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은, 자녀가 보호관찰을 받는 일탈 청소년이든 학교를 잘 다니고 있든, 모두 혈연관계로 맺어진 자녀이기 때문에 무조건 믿는다는 생각을 과반수 의 부모가 하였다. 또한 두 부모집단 모두 자녀가 성실한 태도를 갖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도록 기대하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자녀 양육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의 내용에서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 부모는 자녀의 불순종을, 일반 청소년 부모는 자녀의 성적이나 대학진학 등 학업문제와 자녀교육을 뒷받침해야 하는 교육비 부담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양적 자료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구조적 환경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은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가 낮았으며, 친부모가 아니거나,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서 가출경험이 많았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이 부모에 대한 신뢰가 낮았고, 부모의 양육태도를 더욱 적대적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보호관찰 청소년의 부모가 자녀에 대해 더욱 낮은 신뢰를 보였다. 자녀 양육태도에서도 더욱 갈등을 느끼고, 적대적이었으며, 자녀 때문에 희생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가 시도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focusing specifically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 total 268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their parents and 251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two studies. In the first study, qualitative results indicate that both groups of adolescents were most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than any other person and reason for their trust is reported to be based on blood relationship. Similarly, majority of parents of both groups reported trusting their children because of the blood relationship. Parents hope that their children will be sincere a person and will be able to maintain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 Parent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ere more likely to report disobedience as being most problematic, whereas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report providing social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being the most difficult. In the second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four groups and the following set of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family backgrou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as lower, they are less likely to live with both parents or natural parents, and more likely to have ran away from home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and more likely to view their parents as being hostile. Third, parents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e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children, more likely to view their relationship as being conflictual and hostile, and feel that they had to sacrifice for their children when compared with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delinquency are discussed.

신행우(고려대학교) ; 이종한(대구대학교) ; 채정민(고려대학교) ; 한성열(고려대학교) ; 허태균(고려대학교) pp.147-163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 정착에서 경험할 문화적 적응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북한 이탈주민들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조사 분석하여, 남한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기존연구의 결과들과 비교 그 의미를 논의하였다. 상황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측정하는 척도를 수정 사용하여, 다양한 스트레스 유발 원인(내부/외부, 영속/일시, 대인/개인)에 의한 가상 스트레스 상황에서 북한 이탈주민들의 대처방식(적극/소극, 접근/회피, 인지/정서/행동)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남한주민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연구결과(한성열, 허태균, 채정민, 김동직, 2001)에서 보고된 결과들, 즉 남한주민들이 스트레스 상황에 따라 선호하는 대처방식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시적인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우울 정도(CES-D의해 측정된)가 낮은 북한 이탈주민들이 적극적이고 접근적인 행동적 대처방식을 더 선호하였고,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상황에서는 적극적인 대처와 접근적인 대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나아가, 개인적인 또는 대인관계에서 비롯된 스트레스 상황에서 선호되는 대처방식에도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차이가 단기적으로 북한 이탈주민들의 적응과 장기적으로 미래의 통일과정에서의 심리적 갈등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본 연구의 제안점과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and compare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rth Korean refugees with those of South Koreans in the purpose to predict and prepare psychological conflicts expected to occur during the Korean reunification. Adapted from Han, Hur, Chae, and Kim(2001), North Korean refugees recorded their coping strategies that they would employ in stressful situations varying in term of three aspects of stress causes - 2(locus: internal/external) × 2(stability: temporal/enduring) × 2(context: individual/interpersonal) - and the response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three dimensions(active/passive, approach/avoidance, cognitive/affective/ behavioral). In the temporal stress situations, adaptive North Korean refugees preferred active over passive, approaching over avoiding, and behavioral over cognitive/affe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more than maladaptive North Korean refugees did. Also, in the stressful situations caused by external causes, they were more likely to take active rather than passive, approaching rather than avoiding copying. Although active copying strategies were preferred to passive ones by adaptive North Korean refugees in individual stressful situations, approaching copying strategies were preferred to avoiding ones by them in interpersonal stressful situations. These finding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pattern of South Korean's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same situations.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were discussed in the view of psychological integration during Korean reunifica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