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문화와 그릇된 교육의식 및 관행

Korean Culture and Misconception on Educa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1994, v.1 no.1, pp.95-107
한성열(Seong-Yeul Han)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교육계의 부정과 비리는 거의 대부분의 국민에게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계의 부정과 비리를 척결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연구와 토론의 방향은 주로 교육제도의 구조적인 문제점이나 교육담당자의 그릇된 관행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본고에서는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그릇된 관행, 그리고 이러한 그릇된 의식이나 관행의 원인이 되는 문화적인 토대를 살펴보았다. 우선 동양문화의 특징을 집단주의 혹은 관계지향적이라고 규정하였다. 이러한 문화의 특징은 첫째, 집단의 이익이 개인의 이익보다, 외적인 사회적 의무를 완수하는 것이 개인의 내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 보다 우선한다. 둘째, 상호호혜성의 규범이 은혜를 입거나 호의를 받은 것을 빚으로 생각하고 그것을 갚는 것을 의무로 한다. 셋째, 사회적 행동이 타자지향적이다. 넷째, 사회적 상호작용의 형태는 조화와 원활함을 유지하고 공개적인 갈등을 피하는 것이다. 한국문화의 특징으로는 첫째, 집단성이 강하다. 따라서 개인이 가족에서 독립하지 못하고, 또 개인이 집단 속에서 미분화된다. 둘째, 정서성이 강하다. 셋째, 샤머니즘적 전통이 강하다. 따라서 자신의 행동의 성패를 운명으로 돌리고, 적극적인 성취용이 부족하여 체념에서 오는 낙천주의와 수용성이 강하다. 넷째, 유교전통이 강하다. 따라서 남존여비사상이 강하고 조상숭배나 형식주의가 강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화적인 풍토에서 학부모들이 그릇된 교육관행을 지속하는 이유는 첫째로 남이 하니까 한다. 둘째는 나만 안하면 자녀가 피해를 받을까봐 두렵다. 셋째, 나의 자녀를 남과 다르게 차별화한다 등으로 나타난다. 사회구조적인 문제는 그 기저에 깔려 있는 문화적인 토대와 개개인의 의식의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야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학부모 스스로가 집단주의적 사고와 행동경향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과 다른 행동을 할 때 수반되는 지나친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 또 사회문화적으로도 개인의 가치와 개인의 결정을 존중하는 문화를 가꾸도록 노력해야 한다.

keywords

Abstract

Although actual number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volved in corruption and misbehaviors in education are few, they exert an important effect on many Korean parents and students directly or indirectly or indirectly. Therefore many researches and symposiums have been held recently to correct these phenomena. But the main theme of these efforts focus on the educational system and teachers. This article dealt with parents` misconceptions about education and the cultural basis which fosters these misconceptio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culture might be summarized as collectivism and relation/situation-orientedness. The main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may be characterized as collectivity, emotionality, shamanism and confucious tradition. Therefore in Korea the views, needs and goals of the ingroup are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oneself. In these cultural climate, Korean parents keep doing misbehavior on education although they themselves know it is not good. They think that other parents also misbehave, that doing differently from other parents may exert bad effect on their children, and that to pass the very competative entrance examination to university, they have to do their best economically.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ed that one of the best way of preventing misbehaviors and corruptions in education is to encourage parents` determination that they do not misbehave, even though others do. And, Korean culture should changed in the direction of putting emphasis upon individual`s needs and opinions so that traditional collectivistic value become harmonious with new individualistic valu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