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시민의식과 행동 : 선거 과정을 중심으로

The Political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People Affecting Politics : Focusing on the Election Process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1994, v.1 no.1, pp.54-68
김혜숙(Hai-Sook Kim)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정치개혁법의 국회 통과로 깨끗한 정치 풍토를 위해 올바른 시민의식과 행동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우리 사회의 구조적ㆍ제도적 정치 비리의 문제와 맞물려 있는 그릇된 시민의식과 행동의 문제를 금품ㆍ향웅 수수, 투표기권, 흑색선전 유포, 지역연고 위주의 투표 및 선거 운동원 및 동원 청중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그 실태와 원인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문제에 개입되어 있는 심리 기제는 다수의 행동 여부에 의해, 또 타인의 평가에 의해 행동의 정당성이 결정되는 의식구조, 「뇌물」과 「인사ㆍ성의 ㆍ존경」의 혼동, 몰개성화, 투표 효능감 저하ㆍ정치무력감, 왜곡 유도되어진 집단주의 성향에 의한 정당 선호 등으로 분석하였다. 보다 주체적이고 성숙한 시민정신과 행동을 함양하기 위해서 시민운동의 활성화와 확대, 학교교육에서의 공정한 투표행동의 경험을 통한 역할연습과 정치사회화 그리고 이러한 사회교육ㆍ학교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정치의식과 행동 관련 연구 분야의 활성화가 제안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assage of the political reform act made the righteous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people more important for the establishment of clean political climate in the future. The problems of unhealthy and weak citizenship and behavior of people that had been intertwined with the problems of the structural and systemized irrationality in politics are identified as follows: the problems of requesting as well as receiving the monetary and treating offers, abstention from voting, spreading unrooted negative propaganda, voting based on regional relationship with the candidates and finally, the paid political canvassers and the bogus audiences at campaigning plac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involved in these problems are diverse: the fact that in our collectivistic culture, the morality judgment of behavior often relies on how the majority thinks and behaves, the confusion of the 「bribery」with「etiquetteㆍsincerityㆍrespect」, the lowing of voting efficacy, the increase in political helplessness, and finally the misled political identification based on regional relationship with the candidates. It is proposed that to further more active and mature citizenship and political behaviors of people, the expansion and activation of civil movement for clean election and politics, the education and the political socialization of children from the early ages through role playing in fair school elections and finally, more support for the research on political behaviors and attitudes are need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